회화로 읽는 1930년대 시문학사

문학과 미술의 탈경계적 만남과 창조
$18.36
SKU
978896324251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2/12/20
Pages/Weight/Size 160*25*20mm
ISBN 9788963242514
Categories 소설/시/희곡 > 시/희곡
Contents
서문: 문학과 미술의 탈경제적 만남과 창조

시와 회회의 상상력과 현대예술의 탄생
영혼의 이미지와 창조적 언어
문학상상력의 원천으로서의 회화
언어의 조형화와 현대시학의 탄생

한국현대예술의 발전과 문학-미술의 상호관련성
근대문학 초창기 문학인과 미술인의 교류
시와 회화의 만남과 현대미학의 탄생

종합예술의 꿈과 문예지의 출현
김동인과 창조, 문학과 미술 교류의 토대
창조의 후예들, 영대와 백조
전통 재인식을 통한 현대예술의 창안 문장

김기림: 야수파적 감각과 미래주의 시학
원시성의 동경과 역동적 예술
근대문명의 속도와 기계의 미학

김광균: 풍경의 인상주의적 재현과 멜랑콜리
정서의 조형화와 이미지즘
시간을 사는 존재들의 풍경

이상: 아방가르드 시학과 추상주의
언어의 조형성과 텍스트의 입체화
초현실주의적 상상력과 미학적 자유
상상적 이미지로 가득찬 시와 그림: 이상과 구본웅

서정주: 화집 속의 여성 이미지와 창조적 판타지
1930년대 화단과 이상화된 여성 이미지
그리스 신화적 육체성과 관능적 여성 이미지
'여성의 육체'라는 기호와 남성 판타지

정지용: 문인화의 전통과 정신주의 미학
화문, 정지용과 길진섭의 여행
신문인화, 시와 그림의 만남
절제와 여백의 상상력

한국 근대 시인과 회화적 상상력
임화와 아방가르드 미학
오장환과 새 인간의 탄생
이중섭의 서정과 인정
백석과 삽화가 정현웅

참고문헌
색인

그림목록
Author
김진희
문학평론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부교수.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출발과 경계로서의 모더니즘-오규원론」이 당선되어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교수로 근대 문학 초창기 문학 장(場)의 형성, 한국 근대문학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번역과 비교문학, 동아시아 지식론 등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서로 『생명파시의 모더니티』, 『근대문학의 장(場)과 시인의 선택』, 『회화로 읽는 1930년대 시문학사』, 『한국근대시의 과제와 문학사의 주체들』, 『소통과 교류의 동아시아』(공저), 『동아시아 근대지식과 번역의 지형』(공저), 『근대지식과 저널리즘(공저) 등이 있고, 평론집으로 『시에 관한 각서』, 『불우한, 불후의 노래』, 『기억의 수사학』, 『미래의 서정과 감각』 등이 있다. 편서로 『김억 평론선집』, 『모윤숙 시선』, 『노천명 시선』, 『한무숙 작품집』 등의 편서가 있다. 2014년 김달진 문학상 비평 부문에서, 2016년 김준오 시학상을 수상했다.
문학평론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부교수.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출발과 경계로서의 모더니즘-오규원론」이 당선되어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교수로 근대 문학 초창기 문학 장(場)의 형성, 한국 근대문학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번역과 비교문학, 동아시아 지식론 등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서로 『생명파시의 모더니티』, 『근대문학의 장(場)과 시인의 선택』, 『회화로 읽는 1930년대 시문학사』, 『한국근대시의 과제와 문학사의 주체들』, 『소통과 교류의 동아시아』(공저), 『동아시아 근대지식과 번역의 지형』(공저), 『근대지식과 저널리즘(공저) 등이 있고, 평론집으로 『시에 관한 각서』, 『불우한, 불후의 노래』, 『기억의 수사학』, 『미래의 서정과 감각』 등이 있다. 편서로 『김억 평론선집』, 『모윤숙 시선』, 『노천명 시선』, 『한무숙 작품집』 등의 편서가 있다. 2014년 김달진 문학상 비평 부문에서, 2016년 김준오 시학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