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이후의 한류

$20.52
SKU
979118566196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4/30
Pages/Weight/Size 135*200*30mm
ISBN 9791185661964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팬데믹 시대 한국 콘텐츠의 생산-유통-소비를 재난-문화-인간의 관점에서 다각도로 탐색하는 한류 정책서
Contents
1부 재난-문화-인간
1. 왜 재난은 때로 ‘축복’일 수 있는가?: 코로나19가 부각시킨 한류의 저력
강준만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
2. 문화는 삶과 죽음을 안고
김예란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3. 코로나19 이후, 연결의 지혜: 페스트, 대중문화 그리고 한류
박한선 (정신과 전문의·신경인류학자)

2부 코로나19 이후 문화콘텐츠산업의 재구성
1. 한국 예능, 독보적이거나 고립적이거나
권성민 (카카오엔터테인먼트 PD)
2. 넷플릭스의 한국 상륙, 그 이후
이호수 (SK텔레콤 고문)
3. 스트리밍 시대의 텔레비전 그리고 시청자
노창희 (미디어미래연구소 센터장)
5. 글로벌 혼종화 시대의 지적재산권
백욱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교수)

3부 포스트코로나 시대, 균형의 미학
1. 디지털 시대 라이브니스의 재구성
지혜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
2. “공연은 계속돼야 한다(The Show Must Go On)”
장지영 (국민일보 문화스포츠레저부장)
3. IP 나눔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
김기륜 (한국방송작가협회 저작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