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2. 연구 내용 16
3. 연구 방법 17
4. 연구 범위 및 한계 25
Ⅱ.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영유아 삶의 변화 27
1. 영유아 양육 환경의 변화 29
2. 교육·보육 환경의 변화 39
3. 소결 51
Ⅲ. 미국, 독일, 한국의 코로나19 방역과 교육·보육 환경 비교 55
1. 코로나19 국가 방역 정책 비교 57
2. 교육·보육 환경 비교 74
3. 소결 96
Ⅳ. 미국, 독일,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교육·보육 정책 분석 99
1. 미국 102
2. 독일 156
3. 한국 195
4. 소결 211
Ⅴ. 미국, 독일,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교육·보육 정책 평가 219
1. 미국 221
2. 독일 240
3. 한국 254
4. 소결 270
Ⅵ. 정책 제언 279
1. 국제비교를 통한 시사점 280
2. 향후 대응 방향 제안 286
참고문헌 301
Abstract 379
부록 381
부록 1. 전문가 조사(국문) 381
부록 2. 전문가 조사(영문) 389
부록 3. 전문가 조사(독문) 398
부록 4.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방역지침(한국) 408
부록 5. 3개국 전문가 조사 결과 요약(전체) 411
부록 6. 온라인 국제 심포지엄 포스터(국문/영문)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