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조세·재정정책 방향의 재검토

연구보고서 2021-06
$6.48
SKU
979115932718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2/31
Pages/Weight/Size 152*232*20mm
ISBN 9791159327186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본고는 코로나19 이후 악화된 중장기 재정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조세 및 재정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 먼저 제2장에서는 2060년까지 현행의 총수입 및 총지출 관련 법과 제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전제하에서 2060년까지의 기준선 재정전망 결과를 소개하고, 정부의 2060년 국가채무비율 관리목표 달성에 필요한 네 가지 정책수단의 국가채무비율 개선효과를 평가하여 제시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R&D의 GDP 대비 비율은 세계 최고수준이나 총요소생산성 개선수준은 OECD 국가들 중 하위권이라는 점과, 2002년 이후 연구개발을 제외한 기타지식재산생산물 투자가 침체된 점을 고려하여 연구개발 이외의 무형자산투자가 TFP 개선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검토했다. 기타 무형자산투자 확대는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자연적 세수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4장에서는 다양한 재정준칙 유형의 장단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정책환경을 고려하여 지출증가율과 GDP 대비 총지출 비중을 관리하는 지출준칙이 유효한 재정준칙의 대안이며, 합리적 가정하에 도출된 수지준칙이 함께 설정되는 것이 급증하는 국가채무의 증가속도를 관리하는 데 바람직한 정책대안으로 제시됐다.
Contents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참고문헌

제2장 장기재정전망과 재정여력 확보방안

 제1절 서 론
 제2절 기준선 장기재정전망 결과
 제3절 위험요인 분석
 제4절 재정여력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
 제5절 결 론
 참고문헌
 부 록

제3장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연구개발 지원체계 개편 방향

 제1절 서 론
 제2절 총요소생산성과 선행연구 고찰
 제3절 총요소생산성과 경제성장, 무형자산투자의 국제비교
 제4절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제5절 시사점 및 제도 개선방향
 참고문헌

제4장 재정의 지속가능성

 제1절 서 론
 제2절 최근의 재정대응 현황과 재정지표 변화 추이
 제3절 우리나라와 일본의 재정준칙 논의과정
 제4절 재정준칙과 재정여력의 관계 분석
 제5절 재정준칙과 재정지출 경기순응도의 관계 분석
 제6절 재정준칙과 경제위기의 관계 분석
 제7절 우리나라 여건을 고려한 재정준칙 도입방안
 참고문헌

제5장 정책시사점

ABSTRACT
Author
김학수,이태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