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2년 총선 과정에서 나타난 유권자 의식을 통해 남녀 유권자의 정치의식, 남녀 지역구 후보자에 대한 인식, 여성 대표성 실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있다. 제19대 총선에서 여성후보가 출마한 지역을 중심으로 선거 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를 파악하고 여성대표성 제고를 위해 이에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방법
Ⅱ. 남녀 유권자 분석과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1. 남녀 유권자의 정치의식과 여성 대표성 확대
2. 19대 총선에서의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가. 지역구
나. 비례대표
3. 제19대 총선 유권자 투표율 및 성별 분석
가. 유권자의 여성후보자에 대한 인식 변화
나.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남녀유권자 및 성별 투표율
다. 성별 투표율 비교
라. 조사대상 지역구 후보자 득표수
Ⅲ. 제19대 총선에서의 남녀 유권자의 정치의식 및 여성후보자에 대한 투표 분석 결과 : 여성후보 출마 4개 지역구를 중심으로
1. 조사개요
가. 조사목적
나. 조사설계
다. 조사내용
라. 응답자 특성
2. 남녀 유권자 정치의식
가. 남녀 유권자 정치 및 선거관심도
나. 남녀유권자의 이념적 성향에 대한 자기 판단
다. 남녀 유권자의 정치 관심도 측정
라. 여성후보자 인지 도움 매체
마. 남녀 유권자의 지지후보 결정하는데 도움받은 매체
바. 지역구 여성 후보자의 득표에 유용한 주요 매체
3. 남녀 유권자의 투표 행태
가. 남녀 유권자의 총선 투표 후보자 결정시기
나. 지역구 내 여성 후보자 인지
다. 지역구 내 출마한 여성 후보인지 시기
라. 남녀 유권자의 여성 후보자에 대한 인식
마. 남녀 유권자의 여성 후보자에 대한 긍정적 평가 의견
바. 남녀 유권자의 여성 후보자 부정적 인식 의견
사. 남녀 유권자의 여성 후보 지지 투표 여부
아. 남녀 유권자의 여성 후보자 투표 동기
자. 남녀 유권자의 여성 후보자 비선택 동기
차. 남녀 유권자의 여성후보 공천의 저대표성에 대한 인식
카. 남녀 유권자의 정당 정책-여성 후보자 30% 공천-인지 여부
타. 여성 대표성 제고 필요성에 대한 의견
파.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증가 방안
하. 남녀 유권자의 ‘여성 대표성 증가와 사회변화’ 의견
4. 소결
Ⅳ.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와 연관하는 여성 대표성 제고 방안
1. 유권자의 역할
가. 유권자의 양성불평등 인식 타파
나. 여성 유권자의 정치 관심도 제고
2. 정부의 역할
가. 양성평등 교육의 지원
나. 여성 정치인 육성 기구의 설치 및 운영
3. 정당의 역할
가. 주요 당직 여성할당제 도입
나. 정당차원에서 여성 청년층 발굴 및 육성 강화
4. 여성계의 역할
가. 정당과 연대를 통한 후보 발굴, 선거지원 강화
나. 다양한 방식의 정치 세력화 방안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