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예술철학 : 1826년 강의

$30.24
SKU
979116684165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5/22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66841651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우리는 미의 철학에 어떻게 다가갈 수 있을까?”
독일 관념론의 거장 헤겔, 예술을 사유하다
체계적 예술규정으로서의 1826년 예술철학 강의


헤겔은 예술철학 강의에서 역사 속에 발전하는 정신, 스스로를 알아 가는 절대지가 예술이라는 직관적 영역에서 어떻게 현상하고 구체화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는 강의의 서두에서 예술은 종교와 철학과 함께 절대정신의 영역에 속하며, 다른 분야와 동일하게 절대정신을 그 내용으로 다룬다고 명시한다. 이러한 예술에 대한 고찰, 특히 역사의 세 시기에 다양하게 전개된 예술에 대한 고찰은 정신의 발전을 이해하는 맥락에서 이뤄지므로 정신철학적이라고 할 수 있다.

헤겔은 1826년 여름학기에 ‘미학 또는 예술철학’이란 제목으로 4시간짜리 강의를 진행하였다. 본서에서 번역한 폰 데어 포르텐의 강의직필본 원고는 베를린 국립도서관에 프로이센 문화재로 소장되어 있다. 이념, 이념상의 규정, 그리고 각 예술형식들에 관한 서술에서 동서고금의 다양한 문학작품들과 신화들을 인용하여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언급된 예시들은 풍부한 인륜적, 철학적 의미를 포함하며, 각 시대의 예술작품에 반영된 실체적 주관성 및 인륜성을 시사하므로 미학강의의 중요한 요소들이 된다. 헤겔 미학의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그 진정한 의미를 찾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Contents
책머리에
일러두기

헤겔 예술철학 1826년 강의

소개글
감사의 말
알림글

도입부
a. 예술철학에 대한 의구심
b. 예술의 내용 또는 궁극목적에 관한 여러 가지 상념들
a) 자연의 모방
b) 열정들의 환기
c) 도덕적 목적
d) 역사적인 것

분류
1. 일반부분
a. 미 이념 자체와 그것의 더 자세한 규정들
b. 그 형식들에서의 미 이념
2. 특수부분

제1부 또는 일반부분

제1장
I. 이념 일반과 이념상
1. 이념 일반
2. 이념상
II. 예술미의 더 자세한 규정
1. 그 객관성에서의 예술미: 우리는 예술미 그 자체, 예술미의 본질적 측면들을 점검해야만 한다
1) 형식적 개념
2) 행위
a. 특유의 자립성
b. 상황
a) 물리적인 것으로서의 충돌
b) 자연적인 것으로서의 충돌
c) 세 번째 모순, 자연이 된 불의
d) 인간 행위에 의한 충돌
c. 상황에 대한 반작용
3) 성격 또는 인간
4) 외적 규정성의 구체적인 것
2. 그 주관성에서의 예술미: 예술가 속에 있는 한에서의, 창조적 주체 속에 있는 그대로의, 그러니까 아직 나오지 않은 한에서의 예술작품

제2장: 미 일반이 현상하는 보편적 방식들 또는 미의 특수한 형식
I. 상징적 형식, 형태화
1. 배화교적 직관
2. 인도적 직관
a. 주관적 형태
b. 원초적 자연대상들을 의인화하기
c. 형상으로 나타난 사고
d. 순수한 사고의 출현
3. 이집트적 직관: 그 자체로서의 상징
4. 정신적인 것과 감각적인 것의 구분
a. 유대적 직관: 자연적인 것의 폄하
b. 오리엔트 범신론
c. 의미와 형태의 자유화
첫 번째 관계: 이솝 우화, 비유담, 교훈담
두 번째 관계: 수수께끼, 알레고리, 은유
부록
II. 고전적 형식, 형태화
III. 낭만적인 것
1. 자기 자신으로 있는 정신의 내면성
a. 그리스도의 역사
b. 고통을 통한 화해(마리아)
c. 공동체의 설립(순교자들, 성인전들, 기적들)
2. 개인들 내 정신성의 긍정적인 현재
a. 신적인 것의 세속적인 것으로의 이행
b. 사랑과 충성
c. 명예
d. 특유한 용맹성
3. 외적인 것 그 자체의 자유라는 추상적 형식주의
a. 형식적 성격
b. 행위와 사건
c. 산문적인 것과 유머러스한 것

제2부 또는 특수부분

I. 건축
1. 상징적 건축술
2. 고전적 건축술
3. 고딕 또는 게르만 건축술
II. 조각
1. 의복
2. 관념성과 개별성
3. 그리스 측면상
III. 회화
1. 대상들의 종류
2. 그룹 짓기 또는 구성
3. 채색
IV. 음악
1. 박자
2. 음조
3. 악기
4. 멜로디
V. 시문학
1. 원래 시적인 언어
2. 숙고된 시적 언어
3. 운율학적인 것
4. 시문학의 분류
a. 서사시
b. 서정시
c. 극
비극
희극

원주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필자 소개
Author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권정임
독일관념론을 대표하는 철학자. 튀빙겐 신학교에서 수학 후, 가정교사 시절을 거쳐 예나에서 대학 강의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자신의 사상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뉘른베르크에서 김나지움 교장을 역임한 후 181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교수가 되었을 때 비로소 논리, 자연, 정신을 아우르는 고유한 철학 체계를 공표하였다. 1818년 피히테의 후임으로 베를린 대학의 교수로 취임한 이래 형이상학(논리학), 철학사, 미학(예술철학), 종교철학, 법철학(자연법 및 국가학), 역사철학(세계사의 철학), 주관정신의 철학(인간학과 심리학), 자연철학 등에 관한 강의를 여러 차례 실시하였다. 헤겔 자신이 직접 출간한 주요 저서로 『정신현상학』, 『논리학』, 『엔치클로페디』, 『법철학』 등이 있으며 정치, 경제, 종교, 교육, 예술 분야에 대한 다양한 글을 남겼다. 헤겔 사후, 미출간 강의 원고 및 필기록들이 정리된 『철학사 강의』, 『미학 강의』, 『종교철학 강의』, 『역사철학 강의』 등이 주요 저서와 함께 전집으로 출간되었으며, 강의 필기록의 발굴 및 출간 작업은 최근에도 지속되고 있다.
독일관념론을 대표하는 철학자. 튀빙겐 신학교에서 수학 후, 가정교사 시절을 거쳐 예나에서 대학 강의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자신의 사상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뉘른베르크에서 김나지움 교장을 역임한 후 181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교수가 되었을 때 비로소 논리, 자연, 정신을 아우르는 고유한 철학 체계를 공표하였다. 1818년 피히테의 후임으로 베를린 대학의 교수로 취임한 이래 형이상학(논리학), 철학사, 미학(예술철학), 종교철학, 법철학(자연법 및 국가학), 역사철학(세계사의 철학), 주관정신의 철학(인간학과 심리학), 자연철학 등에 관한 강의를 여러 차례 실시하였다. 헤겔 자신이 직접 출간한 주요 저서로 『정신현상학』, 『논리학』, 『엔치클로페디』, 『법철학』 등이 있으며 정치, 경제, 종교, 교육, 예술 분야에 대한 다양한 글을 남겼다. 헤겔 사후, 미출간 강의 원고 및 필기록들이 정리된 『철학사 강의』, 『미학 강의』, 『종교철학 강의』, 『역사철학 강의』 등이 주요 저서와 함께 전집으로 출간되었으며, 강의 필기록의 발굴 및 출간 작업은 최근에도 지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