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은 감정에 대한 참다운 인식을 탐구하는 과학이며, 그렇기 때문에 ‘철학사’는 감정과학의 역사입니다. 국민대학교 문화교차학과 ‘감정과학교실’은 감정과학의 논리를 이해하기 위해 서양 철학을 고대 중세 근현대로 나누고 각 시기별로 엄선된 13권의 철학 고전을 객관식 문제로 만나봅니다.
Contents
● 서문 / 8
● 구성과 특징 / 10
● 감정과학의 논리와 그 기초로서 공리 / 14
01.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 다시, 생김의 진실로
『방법서설』 소개 ……………………………………………… 19
문제 1
중세 신학에 대한 나의 이해 / 42
1 지문 분석
1 문제 정답
문제 2
진리 탐구 방법의 확립 / 60
2 지문 분석
2 문제 정답
문제 3
신의 존재를 이해하는 나 / 80
3 지문 분석
3 문제 정답
『방법서설』 객관식 문제 정리 …………………………… 126
02. 스피노자의 『에티카』
: 생김의 희극으로부터 놀이의 희극
『에티카』 소개 ……………………………………………… 143
문제 1
거인의 어깨 위에 선 나 / 168
1 지문 분석
1 문제 정답
문제 2
내 몸-생김의 희극 / 178
2 지문 분석
2 문제 정답
문제 3
내 몸-놀이의 희극 / 212
3 지문 분석
3 문제 정답
『에티카』 객관식 문제 정리 ……………………………… 250
■ 인용 및 참고문헌 …… 278
■ 찾아보기 ……………… 282
Author
성동권
성균관대학교에서 맹자(孟子)의 사단확충(四端擴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민대학교 문화교차학과에서 ’ 조교수(감정과학전공)로 '감정과학'(Science of Feelings)을 공부하고 있고, '감정과학연구소'에서 감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무엇인지 동양과 서양의 고전에서 찾고 있다. 저서로는 ‘칸트의 순수이성 재고(再考)’, ‘평화에 대한 철학적 탐구’, ‘전쟁에 대한 철학적 탐구’가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맹자(孟子)의 사단확충(四端擴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민대학교 문화교차학과에서 ’ 조교수(감정과학전공)로 '감정과학'(Science of Feelings)을 공부하고 있고, '감정과학연구소'에서 감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무엇인지 동양과 서양의 고전에서 찾고 있다. 저서로는 ‘칸트의 순수이성 재고(再考)’, ‘평화에 대한 철학적 탐구’, ‘전쟁에 대한 철학적 탐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