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I(글로벌발전연구원)지식나눔 제1권 『개발학자 17인, 국제개발을 성찰하다』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지금까지의 국제개발을 근본부터 재검토하고 그러한 재검토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원조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로 집필되었다. 아울러 국제개발을 ‘개발학’이라는 학문적인 관점에 입각해 고찰하고, 나아가 정책 영역에까지 확대해 논의한다. 특히, 수원국의 내생적 발전을 궁극적인 개발의 지향점으로 삼는 개발, 주민들의 참여가 배제된 원조가 아닌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원조, 일방통행적인 개발자 중심의 공여국 우월주의 대신 상호보완적이고 양방향적인 개발 관점 확립 등을 주장하고 있어, 우리나라 국제개발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데 큰 자극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Contents
서문 | 왜 개발을 되물어야 하는가?
제Ⅰ부 국제사회의 원조조류를 재고하다
제1장 워싱턴 컨센서스의 의의와 한계
제2장 빈곤감소전략의 접근방법과 한계
제3장 ‘졸업’을 향한 길
제4장 개발과 남북관계의 재고-아프리카의 관점에서
제5장 신 개발 패러다임과 자족경제-동남아시아의 관점에서
제Ⅲ부 개발을 위한 지식의 역할
제6장 독백에서 대화로
제7장 개발 연구의 보편성과 특수성
제8장 개발실천에서 ‘무지(無知)의 지(知)’
제9장 개발기관과 연구자의 역할-인간 안보와 빈곤 감소 연구를 사례로
제10장 ‘소리 없는 목소리를 듣는’ 조사를 위하여
제Ⅳ부 일본 개발 경험의 함의
제11장 일본의 개발 경험과 내발적 발전론
제12장 일본을 통해 본 개발원조의 재검토-‘대화의 비대칭성’에서 과제의 ‘동시대성’으로
제13장 개발과 농촌사회
제14장 일본의 재해대응-특징 그리고 교훈과 과제
제Ⅴ부 특별기고 ― 인문학적 관점에서의 국제개발
제15장 개발을 보완하다
제16장 개발과 윤리-포스트 세계화 시대의 전망
Author
니시카와 준,시모무라 야스타미,다카하시 모토키,노다 마사토,최민경,이태주
오스트레일리아 저자이자 학자. 저서로 《소리 없는 침공 Silent Invasion》, 《성장 집착 Growth Fetish》, 《종種의 장송곡: 우리가 기후 변화의 진실을 거부하는 이유 Requiem for a Species: Why we resist the truth about climate change》, 《반항하는 지구: 인류세人類世에 인간의 운명 Defiant Earth: The fate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등이 있다. 그가 설립한 싱크탱크 오스트레일리아연구소에서 14년간 소장을 역임했다. 캔버라에 있는 찰스 스터트 대학교 교수인 그는 옥스퍼드, 예일대학교, 파리정치대학 객원교수도 지낸 바 있다. <포린어페어즈>, <가디언>, <뉴욕타임스>, <타임스 고등교육 부록>, <네이쳐>,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등에 기고문이 실렸다.
오스트레일리아 저자이자 학자. 저서로 《소리 없는 침공 Silent Invasion》, 《성장 집착 Growth Fetish》, 《종種의 장송곡: 우리가 기후 변화의 진실을 거부하는 이유 Requiem for a Species: Why we resist the truth about climate change》, 《반항하는 지구: 인류세人類世에 인간의 운명 Defiant Earth: The fate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등이 있다. 그가 설립한 싱크탱크 오스트레일리아연구소에서 14년간 소장을 역임했다. 캔버라에 있는 찰스 스터트 대학교 교수인 그는 옥스퍼드, 예일대학교, 파리정치대학 객원교수도 지낸 바 있다. <포린어페어즈>, <가디언>, <뉴욕타임스>, <타임스 고등교육 부록>, <네이쳐>,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등에 기고문이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