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3년의 율곡 이이

$36.72
SKU
978893064013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7/30
Pages/Weight/Size 161*230*26mm
ISBN 9788930640138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오늘 우리에게 율곡은 누구인가? 훌륭하지만 별 관계가 없는 현자인가? 그의 삶과 사상은 아직 유효한가? 그가 오늘의 한국 사회에 있다면 어떤 주장과 처신을 할 것인가?’

숭실대학교 철학과 곽신환 교수가 1970년대 대학원생 때부터 율곡 이이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오면서 줄곧 품었던 생각이다. 40여 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하면서, 율곡의 생애 마지막 1년을 통해 율곡의 철학과 삶을 살펴보고 그로부터 16세기 이후 조선의 정치·사회의 틀과 유학사의 맥락을 폭넓게 들여다보는 책을 출간했다.

저자는 율곡에게서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의 사상에 토대를 둔, 세계와 인간에 대한 긍정적이고 통합적인 태도와 함께 자신의 삶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화복(禍福)에 대한 소행(素行)적 자세를 눈여겨본다. 율곡은 누구라도 진리의 구현자가 될 수 있고, 속임이 없는 마음과 참된 이치를 추구하는 태도로 주어진 처지에서 해야 할 도리를 찾아 온전히 구현하는 자가 거룩한 사람이고 행복한 사람이라는 생각으로 살아갔다. 이러한 율곡의 사상과 삶의 태도는 오늘의 사회를 더 높고 멀리 나아가게 할 우리들의 책임과 사명감을 일깨운다.
Contents
서문 … 5

1장. 1583년의 율곡 이이
1. 산림에서 다시 조정으로, 1581-2년의 율곡 … 17
2. 계미년 기록 문헌 … 24
3. 율곡에 몰아치는 탄핵 … 30
4. 1583년 조정의 풍우(風雨) … 41
5. 율곶 강마을의 밤 - 도학자와 유지(柳枝) … 102
6. 비방 무고에 대한 율곡의 대응 … 121
7. 심통원 심의겸과 율곡의 관계 … 127
8. 율곡의 사후에 일어난 비방과 엽등(獵等) 논란 … 135

2장. 성리학적 진리의 담지(擔持)
1. 성리학적 진리 사회의 담지(擔持) … 143
2. 필부성인(匹夫聖人)과 사대부 도통론(道統論) … 145
3. ‘속임 없기[毋欺]’의 철학 - 실리(實理)와 실심(實心) … 152
4. ‘고궁(固窮)’의 진유(眞儒) … 156

3장. 주돈이 본원(本源)론의 이해와 추존
1. 성리학의 비조(鼻祖) 찾아가기 … 163
2. 본원(本源)적 사고, 『태극도설(太極圖說)』 … 164
3. 영명(靈明)한 존재의 주재성과 기질 변화 … 169
4. 학성(學聖)의 선배 뒤꿈치를 좇아 … 171

4장. 소옹 선천역학의 이해와 수용
1. 소옹 - 하늘의 시민 … 175
2. 「획전유역부(?前有易賦)」의 역학 … 184
3. 광활(曠闊)한 마음과 사통팔달의 철학 … 193
4. 허명(虛明)한 마음, 풍월(風月)의 정회(情懷) … 197

5장. 주재자(主宰者)와 화복(禍福)
1. 주재(主宰) - 조화(造化) … 203
2. 화복(禍福)과 소행(素行) … 209
3. 몸의 주재 - 마음 … 216
4. 조화에의 간섭과 교화(敎化) … 221

6장. 실리(實理)·실심(實心)의 자연관
1. 당대 사회적 현안 대책 … 229
2. 실리(實理) 자연관 … 232
3. 실심(實心) 자연관 … 243
4. 실리와 실심의 화해(和諧) … 255

7장. 행도(行道)와 수교(垂敎)
1. 도학(道學)과 진유(眞儒) … 263
2. 문묵 입신(文墨立身)의 행도(行道) … 266
3. 포황(包荒) 빙하(馮河)의 자세 … 269
4. 물러서기와 수교(垂敎) … 272

8장. 율곡과 우계 -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사귐
1. 조선 유자의 입신(立身) 트랙 … 283
2. 율곡과 우계의 화이부동(和而不同) … 287
3. 덕업(德業) - 그 동귀(同歸)와 수도(殊途) … 291
가. 거업(擧業)과 행도(行道) … 291
나. 사승과 사상적 편력 … 297
다. 시의(時宜)와 시비(是非) … 301
라. 자득과 의양, 분석의 칼날과 온화한 절충 … 304
마. 『격몽요결(擊蒙要訣)』과 『주문지결(朱門旨訣)』 … 307
4. 친구의 눈에 비친 철학자의 모습 … 311

9장. 율곡에 대한 송시열의 존숭과 지수(持守)
1. 율곡·우암의 관계 … 319
2. 우암의 퇴계에 대한 존숭과 극복 … 322
3. 기발이승(氣發理乘)의 세계관과 사서(四書) 연구 … 327
4. 율곡연보 및 문집 보정(補正) … 334
5. 율곡을 계·술하기와 넘어서기 … 342

10장. 율곡학과 화서학파
1. 율곡학의 19세기적 복류(伏流)와 용출(湧出) … 345
2. 화서학파의 율곡학 지수(持守) … 349
3. 화이(華夷)론에서 정사(正邪)론으로 … 356
4. 주리(主理)적 이기론 … 369
5. 같은 뿌리 다른 꽃 - 동근(同根) 이화(異花) … 375

11장. 율곡 성리설과 전우
1. 학문(學問)의 퇴계·이기(理氣)의 율곡 … 377
2. 사·칠 발출의 퇴계만년정설과 율곡설의 부합 … 382
3. 합리기(合理氣)의 마음과 기(氣)로서의 마음 … 393
4. 존성학(尊性學) … 396

참고 문헌 … 402
찾아보기 … 407
Author
곽신환
1954년 충북 옥천 출생으로, 대전고, 숭실대학교 철학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 논문 「주역의 자연관과 인간관」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2년부터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성리학, 주역철학, 한국철학사 등 동아시아철학을 연구하며 강의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 철학과 교관(전임강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철학종교연구실 파견교수, 대만 교육부 한학연구중심 초빙교수, 미국 뉴욕주립 버펄로대학 방문교수로 연구하였고, 숭실대학교에서 학생처장, 교육대학원장, 교무처장, 대학원장,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장을 역임하였다. 한국학술진흥재단 비상임전문위원, 한중철학회 회장, 주역학회 회장, 율곡학회 회장, 철학연구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주자학술상, 열암학술상, 율곡학술대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역서로 『주역의 이해』(서광사, 1990), 『철학에의 초대』(서광사, 1992), 『중국철학의 정신』(서광사, 1993), 『직하철학』(철학과현실사, 1995), 『주자언론동이고』(소명출판, 2002), 『조선유학자의 지향과 갈등』(철학과현실사, 2005), 『태극해의』(소명출판, 2009), 『소강절의 선천 역학』(예문서원, 2012), 『우암 송시열』(서광사, 2012), 『조선유학과 소강절 철학』(예문서원, 2014), 『윤산온?공의와 배려의 행로』(숭실대학교출판부, 2017), 『편하설?복음과 구원의 글로벌화』(숭실대학교출판부, 2017), 『주역의 지혜』(서광사, 2017) 등이 있다.
1954년 충북 옥천 출생으로, 대전고, 숭실대학교 철학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 논문 「주역의 자연관과 인간관」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2년부터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성리학, 주역철학, 한국철학사 등 동아시아철학을 연구하며 강의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 철학과 교관(전임강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철학종교연구실 파견교수, 대만 교육부 한학연구중심 초빙교수, 미국 뉴욕주립 버펄로대학 방문교수로 연구하였고, 숭실대학교에서 학생처장, 교육대학원장, 교무처장, 대학원장,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장을 역임하였다. 한국학술진흥재단 비상임전문위원, 한중철학회 회장, 주역학회 회장, 율곡학회 회장, 철학연구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주자학술상, 열암학술상, 율곡학술대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역서로 『주역의 이해』(서광사, 1990), 『철학에의 초대』(서광사, 1992), 『중국철학의 정신』(서광사, 1993), 『직하철학』(철학과현실사, 1995), 『주자언론동이고』(소명출판, 2002), 『조선유학자의 지향과 갈등』(철학과현실사, 2005), 『태극해의』(소명출판, 2009), 『소강절의 선천 역학』(예문서원, 2012), 『우암 송시열』(서광사, 2012), 『조선유학과 소강절 철학』(예문서원, 2014), 『윤산온?공의와 배려의 행로』(숭실대학교출판부, 2017), 『편하설?복음과 구원의 글로벌화』(숭실대학교출판부, 2017), 『주역의 지혜』(서광사, 2017)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