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제주도방언의 어휘 연구

$18.18
SKU
9788962927580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12/17
Pages/Weight/Size 153*224*28mm
ISBN 9788962927580
Description
“시골 백성들이 쓰는 말은 어렵고, 앞은 높고 뒤가 낮다(村民俚語艱澁 先高後低).”

[동국여지승람](1486)에 기록되어 있는 제주도방언에 대한 평가다. 이런 평가는 [제주풍토록](김정), [남명소승](임제), [남사록](김상헌), [탐라지](이원진) 등의 문헌에서도 보인다. 이는 육지에서 제주로 이주해오는 요즘 사람들에게서도 한결같게 듣는 말이다. 제주도방언이 어렵다는 것은 다른 지역의 방언과 달리 음운 체계, 문법 체계, 어휘에서 많은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그 다름과 어려움은 사람들로 하여금 제주도방언을 끊임없이 연구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제주도방언은 제주 사람들이 전래적으로 써온 말로, 그들의 삶과 정신과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언어문화유산이다. 제주도방언의 유다름은 제주도의 독특한 인문 자연 환경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제주도방언의 음운 체계와 문법 체계 속에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수많은 어휘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제주도방언의 어휘를 도서지역어(島嶼地域語)라는 자연환경적 측면과, 문화와 민속이라는 인문환경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연구하고 그 용어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제주도방언에 대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고, 현장에서 직접 캐낸 어휘자료와 제보자들의 연구 자료들을 토대로 정리하였다.

이 책은 제1부 ‘제주도방언과 제주바다’, 제2부 ‘제주도방언과 제주문화’, 제3부 ‘제주학 정립을 위한 용어 몇 가지’ 등 3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에는 [제주바다의 소라ㆍ고둥ㆍ전복 이름], [제주도방언의 어류 명칭], [제주도 부속 섬 방언의 어휘 비교 연구],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 등 제주바다와 관련한 논문 4편이 수록되었다. 제2부에는 [‘선문대할망’과 그 別稱], [제주의 떡 이름], [제주도 ‘구덕’과 ‘차롱’ 이름], [제주도방언의 김치 명칭과 특징 연구] 등 제주문화와 관련한 4편의 글이 실려 있다. 제3부에는 석사학위논문 가운데 다양하게 불리는 용어 정립이 필요한 ‘지명’과 ‘구비전승’, ‘관념어’ 관련 자료를 뽑아 엮었다. ‘지명’은 ‘한라산, 영실, 천지연, 선흘곶’에 대해 다루었고, ‘구비전승’은 ‘선문대할망, 이여도, 잠녀’, 관념어는 ‘서귀포칠십리, 여다(女多), 육지, 중산간’을 대상으로 고찰한 것이다.

특히 제주도방언을 공부하는 사람들, 그리고 제주의 언어문화유산을 보전하는 데 애쓰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제주도방언과 제주바다

제1장 제주바다의 소라.고둥.전복 이름
1. 머리말
2. 소라.고둥.전복 이름
3. 소라.고둥.전복 이름 관련 언중 의식
4. 맺음말

제2장 제주도방언의 어류 명칭
1. 머리말
2. 제주도방언의 어류 명칭
3. 어종에 따른 명칭 분류
4. 맺음말
[부록] 제주도방언의 어류 명칭

제3장 제주도 부속 섬 방언의 어휘 비교 연구 ? 우도.비양도.가파도를 대상으로 -
1. 머리말
2. 제주도 세 부속 섬의 인문 자연환경
3. 제주도 세 부속 섬의 어휘 분포 비교
4. 제주도 부속 섬의 어휘 특징
5. 맺음말

제4장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의 어촌생활어를 대상으로?
1. 머리말
2. 제주도 도서지역의 항목별로 조사된 어휘
3. 제주도 도서지역의 어촌생활어 생태 지수
4. 맺음말
[부록 1] 생태 지수 조사 설문지에 따른 지역별 조사 어휘
[부록 2] 제주도 도서지역의 어촌생활어 생태지수 조사 종합 분석표


제2부 제주도방언과 제주문화

제1장 ‘선문대할망’과 그 別稱
1. 머리말
2. ‘선문대할망’ 이름
3. ‘선문대할망’ 이름 고찰
4. 맺음말

제2장 제주의 떡 이름
1. 머리말
2. 자료 속의 제주의 떡
3. 제주 떡의 분류
4. 마을별로 살펴본 제주의 떡
5. 제주 떡에 얽힌 민속
6. 맺음말

제3장 제주도 ‘구덕’과 ‘차롱’ 이름
1. 머리말
2. 제주도 ‘구덕’ 이름
3. 제주도 ‘차롱’ 이름
4. 맺음말

제4장 제주도방언의 김치 명칭과 특징 연구
1. 머리말
2. ‘김치’의 어원에 대한 재해석
3. ‘제주도 김치’의 종류별 명칭과 특징
4. 맺음말


제3부 제주학 정립을 위한 용어 몇 가지

제1장 지명-한라산, 영실, 천지연(天池淵), 선흘곶
1. 한라산
2. 영실
3. 천지연(天池淵)
4. 선흘곶

제2장 구비전승-선문대할망, 이여도, 잠녀
1. 선문대할망
2. 이여도
3. 잠녀

제3장 관념어-서귀포칠십리, 여다(女多), 육지, 중산간
1. 서귀포칠십리
2. 여다(女多)
3. 육지
4. 중산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