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문전 제12권

현대 (5) : 제3공화정~제5공화정
$75.60
SKU
978897092722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20
Pages/Weight/Size 176*248*40mm
ISBN 978897092722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남북한문전(南北漢文典)은 대한민국(남한)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역사·정치·법제·행정·사회경제·사상·문화·외교·통일 등을 주제로 국내외에서 출판된 저술들을 총집대성한 후 분류와 해설한 대한민국 학계와 출판계 최초의 “문전(文典) : 문헌(文獻)과 전적(典籍)=출전(出典)”이다.
Contents
제1부 제3공화정의 대외관계

제1장 한일관계
제1절 기본자료
제2절 한일회담
제3절 한일회담 의제
제4절 한일회담추진에 대한 저항: 6·3운동 등
제5절 6·3계엄령으로부터 계엄해제까지
제6절 한일수교 이후 한일관계

제2장 한미관계
제1절 개관: 닉슨행정부 출범 이전
제2절 한국의 베트남전쟁 군사개입
제3절 월남참전7개국정상회담과 박 대통령
제4절 한국군 파병에 대한 미국의 보상
제5절 베트남참전에 대한 비판론
제6절 한미행정협정체결

제3장 유럽·동아시아·중립국·유엔과의 관계
제1절 박 대통령의 서독방문과 동백림사건
제2절 아시아·태평양지역과의 관계구축
제3절 비동맹권·공산권·유엔과의 외교

제2부 제3공화정 시기의 남북한

제1장 북한의 통일정책 및 통일전략과 한국의 대응
제1절 북한의 대내외상황: 김일성의 연설을 중심으로
제2절 한국의 대응: 『통일백서』 발행과 국토통일원 발족
제3절 북한의 베트남 파병
제4절 북한, 「자주성을 옹호하자」 발표
제5절 이수근의 귀순과 처형
제6절 통일혁명당사건

제2장 북한의 조선혁명론과 한국의 대응
제1절 북한무장공비청와대기습사건
제2절 푸에블로호사건
제3절 북한의 점증하는 대미·대남 무력도발
제4절 사토 총리의 방미 및 주은래 총리의 방북
제5절 조선로동당 제5차 대회

제3장 열강의 긴장완화 추구와 한반도정책 변화
제1절 미국의 한반도에 대한 시각의 변화
제2절 미국의 한반도정책 변화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
제3절 미국의 한반도정책 변화
제4절 강대국의 한반도정책 변화
제5절 변화하는 강대국관계 속에서의 한미관계
제6절 변화하는 강대국관계 속에서의 북한의 대응

제4장 남북대화의 시작과 한반도통일에 대한 기대
제1절 남북적십자회담의 시작과 전개
제2절 남북 비밀협상과 7·4남북공동성명
제3절 한반도통일에 대한 기대

제3부 제4공화정

제1장 기초자료
제1절 개관

제2장 정치부재 행정국가
제1절 집권세력
제2절 입법부
제3절 행정부: 행정수도건설 문제를 포함해
제4절 사법부 및 검찰

제3장 국가폭력
제1절 개관
제2절 야당정치인 및 민간인에 대한 고문
제3절 전 신민당대통령후보 김대중 납치
제4절 조작사건 발표: 긴급조치 발동 이전
제5절 유신헌법철폐운동과 대통령긴급조치 발동
제6절 민청학련조작 및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조작
제7절 여타 간첩조작사건

제4장 반대세력의 저항
제1절 야당
제2절 언론인의 자유언론실천운동과 문인의 자유실천운동
제3절 대학교: 유신체제에 대한 저항운동의 중심
제4절 교회
제5절 재야법조계
제6절 재야운동권

제5장 신흥공업국가로의 도약과 종속이론
제1절 회고록 및 구체적 사례
제2절 연구저술
제3절 근대화라는 관점에서 한국과 다른 국가와의 비교
제4절 경제성장과 박 대통령 리더십 평가
제5절 종속이론과 한국
제6절 사회구성체론과 한국

제6장 관료권위주의체제론 및 과대성장국가론
제1절 관료권위주의체제론 및 과대성장국가론과 한국
제2절 마르크스 국가론의 부활과 한국 정치학계

제7장 노동운동과 사회문화
제1절 자료 및 현장보고
제2절 노동계급의 성장과 사회계층의 형성
제3절 연구저술
제4절 교육과 사회적 불평등
제5절 사회와 문화
제6절 도시빈민
제7절 교육

제4부 유신체제의 붕괴와 신군부의 권력장악

제1장 유신체제의 붕괴 시작
제1절 외부로부터의 직접적 공격 또는 자극
제2절 요인들의 망명
제3절 내부로부터의 음모

제2장 한미관계 및 한일관계 그리고 남북관계
제1절 6·23선언: 제4공화정 대외관계의 뼈대
제2절 한미관계
제3절 한일관계: 김대중납치사건 및 육여사피격사건을 중심으로
제4절 베트남패망과 한국군철수 그리고 김일성의 방중
제5절 제3세계와의 관계: 비동맹국가회의를 중심으로
제6절 소련 및 동유럽과의 관계
제7절 국제해양법 관계
제8절 남북관계

제3장 부마항쟁과 10·26사태
제1절 부마항쟁 이전
제2절 부마항쟁
제3절 10·26사태
제4절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사후 평가

제4장 유신시기의 북한
제1절 국제학술지의 북한관계 논문
제2절 개헌
제3절 대외관계: 대남관계를 포함해
제4절 경제: 인민경제발전6개년계획 및 제2차7개년계획
제5절 사회와 문화

제5장 최규하체제에서 신군부의 권력장악에서 3김시대까지
제1절 최규하 대통령 취임
제2절 최규하 대통령취임과 12·12군사반란
제3절 서울의 봄과 3김시대

제6장 광주민주화운동(광주민중항쟁)
제1절 비상계엄령 확대와 김대중 구속
제2절 광주민중항쟁
제3절 연구저술

제7장 신군부의 제5공화정 출범 준비
제1절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제2절 전두환의 11대 대통령취임과 제5공화정 출범 준비
제3절 북한의 대내외상황

제5부 제5공화정

제1장 자료 및 개관
제1절 자료
제2절 개관

제2장 경제정책과 운용
제1절 경제자율화정책으로의 전환
제2절 김재익 대통령경제수석비서관의 역할
제3절 새로운 제도
제4절 농촌 및 농촌경제

제3장 국가폭력행사의 일상화와 언론통제
제1절 국가폭력행사에 동원된 기구
제2절 논란 속의 공안사건들
제3절 언론통제

제4장 재야운동세력 및 노동운동계의 저항
제1절 자료 및 개관
제2절 주체사상의 확산과 저항운동
제3절 노동운동

제5장 대외관계와 사회문화
제1절 제5공화정 초기
제2절 저항세력의 결집
제3절 사회와 문화
제4절 대외관계

제6장 제12대 국회총선 이후 국내정치
제1절 제12대 국회총선
제2절 삼민투위의 출범과 정부의 학원안정법 제정 시도와 좌절
제3절 야당 및 재야세력의 저항 확대

제7장 6월항쟁에서 13대 대통령선거까지
제1절 6월항쟁 직전
제2절 6월항쟁
제3절 6·29 선언과 다양한 욕구의 분출
제4절 여야합의개헌과 국민투표
제5절 제13대 대통령선거

제8장 대북·통일정책과 북한의 대내외상황
제1절 제5공화정의 대북정책
제2절 통일논의의 재연·심화
제3절 1984~1985년의 남북관계
제4절 1980년대 북한 개관
제5절 1980년대 북한경제
제6절 1980년대 북한 사회와 문화
Author
김학준
인천대학교 총장, 동아일보사 회장, 카이스트 김보정석좌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943년 중국 심양에서 출생하여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인천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조선일보 정치부 기자로 활동했다. 서울대학교대학원과 미국 켄트주립대에서 정치학 석사를 받고, 피츠버그대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1983년도에 한국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1992년 상해 의거 60주년을 기념하여 이 책의 초판에 해당하는 <매헌 윤봉길 평전>을 민음사에서 펴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 역사와 정치, 인물에 관한 다양한 도서를 집필하였다.
인천대학교 총장, 동아일보사 회장, 카이스트 김보정석좌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943년 중국 심양에서 출생하여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인천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조선일보 정치부 기자로 활동했다. 서울대학교대학원과 미국 켄트주립대에서 정치학 석사를 받고, 피츠버그대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1983년도에 한국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1992년 상해 의거 60주년을 기념하여 이 책의 초판에 해당하는 <매헌 윤봉길 평전>을 민음사에서 펴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 역사와 정치, 인물에 관한 다양한 도서를 집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