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안록

$24.62
SKU
979112885979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1/28
Pages/Weight/Size 128*188*0mm
ISBN 9791128859793
Categories 소설/시/희곡 > 고전문학
Description
온갖 종류의 고사를 간결한 문장 형식과 소박한 언어로 묘사해 현실 사회의 각종 모순을 신랄하게 풍자함으로써, 독자들의 웃음을 자아내는 동시에 깊은 생각에 젖게 한다. 특히 비루하고 천박하고 탐욕스럽고 우매하고 인색한 부정적인 인간 군상의 언행을 제재로 하여 현실성이 강하고 애증의 태도가 분명하다. 생활의 교과서가 될 만한 책으로 국내에 처음으로 번역되어 더욱 의미가 있다.
Contents
논란
1. 석동통(1)
2. 석동통(2)
3. 석동통(3)
4. 석동통(4)
5. 석동통(5)
6. 노가언
7. 조소아


변첩
8. 서지재
9. 서릉(1)
10. 서릉(2)
11. 서릉(3)
12. 설도형
13. 노사도
14. 후백(1)
15. 후백(2)


혼망
16. 왕덕
17. 호현 사람
18. 유진
19. 동자상 마을 사람
20. 항아리 모자
21. 어떤 서생
22. 동주 사람
23. 어떤 바보
24. 진숙견
25. 정원창
26. 어떤 며느리의 축원
27. 호현의 어떤 사람
28. 괵주 녹사
29. 상청노


조초
30. 왕원경
31. 노원명
32. 마씨와 왕씨
33. 유흑달
34. 장영
35. 맛없는 술
36. 배씨
37. 가원손과 왕위덕
38. 후백(1)
39. 후백(2)
40. 구미호
41. 찐 떡과 꿀
42. 방울 소리 신호
43. 우전(1)
44. 우전(2)
45. 간옹
46. 안영(1)
47. 안영(2)
48. 변소
49. 장예
50. 장유
51. 설종
52. 제갈각(1)
53. 제갈각(2)
54. 비의와 제갈각
55. 왕융의 부인
56. 양수
57. 손자형
58. 채홍
59. 육기(1)
60. 육기(2)
61. 제갈회와 왕도
62. 한박
63. 왕현
64. 손소
65. 석발 증세
66. 왕원경
67. 석동통(1)
68. 석동통(2)
69. 석동통(3)
70. 후백(1)
71. 후백(2)
72. 후백(3)
73. 후백(4)
74. 후백(5)
75. 후백(6)
76. 후백(7)
77. 후백(8)
78. 유작
79. 산동 사위
80. 말더듬이
81. 이적
82. 이영
83. 영호덕분
84. 최행공
85. 변인표
86. 장손현동(1)
87. 장손현동(2)
88. 장손현동(3)
89. 장손현동(4)
90. 송수
91. 봉포일
92. 등현정(1)
93. 등현정(2)
94. 등현정(3)
95. 등현정(4)
96. 두효
97. 두연업
98. 노려행
99. 천자문으로 아룀
100. 산동 좌사
101. 정계명
102. 제갈각(1)
103. 제갈각(2)
104. 번흠
105. 유도진
106. 조사언
107. 노사도
108. 유적
109. 조신덕
110. 구양순
111. 유행민
112. 두방
113. 감흡
114. 설려독
115. 안릉 좌사
116. 봉포일
117. 산동 사람
118. 사팔뜨기와 코맹맹이
119. 곱사등이
120. 전씨 부인
121. 고오조
122. 방씨
123. 은안
124. 한 땅 사람
125. 오장신
126. 허풍 떨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Author
후백(侯白),김장환
자가 군소(君素)이며 위군(魏郡) 임장(지금의 허베이성(河北省) 린장현) 사람으로, 학문을 좋아하고 재기가 민첩했으며 골계와 언변에 능했다. 수재(秀才)에 천거되어 유림랑(儒林郞)이 되었다. 위의(威儀)를 내세우지 않고 우스갯소리를 잘해 그가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시장처럼 북적댔다. 수(隋) 문제(文帝) 양견(楊堅)이 그를 불러 비서성(秘書省)에서 국사(國史)를 수찬하게 했으며, 나중에는 오품의 식록(食祿)을 주었으나 한 달여 만에 죽고 말았다. 『수서(隋書)』 권58 「육상전(陸爽傳)」에 그의 전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 저작으로는 『계안록』 외에 『정이기(旌異記)』 15권이 있다.
자가 군소(君素)이며 위군(魏郡) 임장(지금의 허베이성(河北省) 린장현) 사람으로, 학문을 좋아하고 재기가 민첩했으며 골계와 언변에 능했다. 수재(秀才)에 천거되어 유림랑(儒林郞)이 되었다. 위의(威儀)를 내세우지 않고 우스갯소리를 잘해 그가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시장처럼 북적댔다. 수(隋) 문제(文帝) 양견(楊堅)이 그를 불러 비서성(秘書省)에서 국사(國史)를 수찬하게 했으며, 나중에는 오품의 식록(食祿)을 주었으나 한 달여 만에 죽고 말았다. 『수서(隋書)』 권58 「육상전(陸爽傳)」에 그의 전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 저작으로는 『계안록』 외에 『정이기(旌異記)』 15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