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23.76
SKU
979112885973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1/28
Pages/Weight/Size 128*188*0mm
ISBN 9791128859731
Categories 소설/시/희곡 > 고전문학
Description
남조 양나라의 은운이 지은 것으로 송나라 유의경의 『세설신어』의 뒤를 이어 나온 지인류 필기 문헌으로, 국내 초역이다. 지인 고사는 물론이고 민간 전설과 지괴 고사 등 광범위한 내용이 담겨 있다. 사료적 가치도 높을뿐더러 문학 작품으로서 읽는 재미도 주는 책이다.
Contents
진(秦)·한(漢)·위(魏)·진(晉)·송(宋)나라의 여러 황제
1. 진 시황(1)
2. 진 시황(2)
3. 한 고조(1)
4. 한 고조(2)
5. 한 고조(3)
6. 한 고조(4)
7. 한 문제
8. 한 무제(1)
9. 한 무제(2)
10. 한 무제(3)
11. 한 무제(4)
12. 한 무제(5)
13. 한 성제(1)
14. 한 성제(2)
15. 한 성제(3)
16. 한나라의 황제
17. 위 무제(1)
18. 위 무제(2)
19. 위 명제(1)
20. 위 명제(2)
21. 진 명제
22. 진 성제
23. 진 간문제(1)
24. 진 간문제(2)
25. 진 간문제(3)
26. 진 간문제(4)
27. 진 간문제(5)
28. 진 간문제(6)
29. 진 간문제(7)
30. 진 효무제(1)
31. 진 효무제(2)
32. 진 효무제(3)
33. 송 무제(1)
34. 송 무제(2)


주(周)·육국(六國)·전한(前漢) 사람
35. 주왕
36. 개자추
37. 왕자교
38. 노자(1)
39. 노자(2)
40. 공자와 안회
41. 공자와 안회
42. 재아와 안회
43. 자로와 안회
44. 공자와 자로
45. 공자와 뽕 따는 여자
46. 공자와 자하
47. 주공
48. 진나라 때의 속요
49. 공자 우물
50. 귀곡선생과 소진·장의
51. 장량과 사호
52. 장량
53. 번쾌와 육가
54. 가의(1)
55. 가의(2)
56. 동중서
57. 문옹
58. 동방삭(1)
59. 동방삭(2)
60. 동방삭(3)
61. 양웅(1)
62. 양웅(2)


후한(後漢) 사람
63. 마원
64. 원안(1)
65. 원안(2)
66. 최원
67. 호광
68. 마융
69. 곽태와 이응
70. 이응
71. 이응과 진기
72. 이응과 섭계보
73. 이응과 진번
74. 이응과 진식
75. 진번과 서치
76. 서치
77. 하옹과 장기
78. 왕찬과 장기
79. 장형과 채옹
80. 왕윤과 채옹
81. 채옹
82. 정현
83. 정현과 공융
84. 순거백
85. 허건과 허소
86. 허소
87. 진기와 진심
88. 진기
89. 예형
90. 예형과 공융
91. 공융
92. 조조와 양표
93. 사마휘와 방
94. 사마휘
95. 주총과 정소


위(魏)나라 사람
96. 유정
97. 왕찬
98. 반욱
99. 손옹
100. 관녕
101. 관로
102. 왕랑과 화흠
103. 화흠과 진기 형제
104. 조식
105. 부손
106. 평원 사람
107. 가난한 독장수
108. 동소
109. 어떤 호위 군졸
110. 하안과 혜강
111. 왕필
112. 사마사와 하후현
113. 종육과 종회
114. 종회(1)
115. 종회(2)
116. 완간(1)
117. 완간(2)


오(吳)·촉(蜀)나라 사람
118. 제갈량 때의 하급 관리
119. 제갈량(1)
120. 제갈량(2)
121. 제갈량과 사마의
122. 손책과 원술
123. 고소
124. 고옹
125. 심준
126. 심형
127. 제갈각과 한문황
128. 제갈각
129. 섭우
130. 손호
131. 손호와 육개
132. 어떤 빈객


진(晉)나라 사람
133. 산도
134. 위관
135. 배해
136. 왕융
137. 두예
138. 장화(1)
139. 장화(2)
140. 장화(3)
141. 장화(4)
142. 장화(5)
143. 장화(6)
144. 장화(7)
145. 장화(8)
146. 양수(1)
147. 양수(2)
148. 하후담과 반악
149. 석숭과 반악
150. 손초와 왕제
151. 왕제의 시종
152. 오언
153. 배위
154. 육기와 반악
155. 육기
156. 육기 형제
157. 육기의 명견
158. 유보
159. 완첨
160. 송대
161. 손작


송(宋)·제(齊)나라 사람
162. 부량
163. 소갱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Author
은운(殷芸),김장환
남조 양나라의 문학가로, 자는 관소며 진군 장평 사람이다. 성격이 활달하고 사소한 예절에 구애받지 않았으나 함부로 사람들과 교유하지 않아서 문하에는 잡객이 없었다. 학문에 정진하여 여러 책을 널리 섭렵했다. 제 무제 영명 연간(483∼493)에 의도왕 소갱의 행참군을 지냈으며, 양 무제 천감 초년(502)에는 서중랑주부가 되었다. 천감 13년(55)에 서중랑 예장왕 소종의 장사가 되었는데, 소종이 안우장군으로 전임되자 은운은 안우장사가 되었다. 이때 양 무제가 그에게 칙명을 내려 『소설』을 짓게 했다. 그 뒤 동궁학사성에서 일하다 59세로 죽었다. 『양서』 권41과 『남사』 권60에 그의 전이 있다.
남조 양나라의 문학가로, 자는 관소며 진군 장평 사람이다. 성격이 활달하고 사소한 예절에 구애받지 않았으나 함부로 사람들과 교유하지 않아서 문하에는 잡객이 없었다. 학문에 정진하여 여러 책을 널리 섭렵했다. 제 무제 영명 연간(483∼493)에 의도왕 소갱의 행참군을 지냈으며, 양 무제 천감 초년(502)에는 서중랑주부가 되었다. 천감 13년(55)에 서중랑 예장왕 소종의 장사가 되었는데, 소종이 안우장군으로 전임되자 은운은 안우장사가 되었다. 이때 양 무제가 그에게 칙명을 내려 『소설』을 짓게 했다. 그 뒤 동궁학사성에서 일하다 59세로 죽었다. 『양서』 권41과 『남사』 권60에 그의 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