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수 金笠詩集 小考

$17.28
SKU
979116836022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Wed 05/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Wed 05/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23
Pages/Weight/Size 150*225*25mm
ISBN 9791168360228
Categories 소설/시/희곡 > 고전문학
Description
조선 최고의 천재시인 김삿갓
그의 인생과 시 세계를 낱낱이 파헤치다!


김립은 조선팔도 방방곡곡 문전걸식 유랑하며 우리 민족 고유의 한과 울분을 가슴속 깊이 억누른 채 부패하고 몰락해가는 성리학의 윤리적 가치에 애처롭게 매달리는 사회지배층을 통렬한 풍자, 조롱, 희작시로 피 토하듯 질타하며 대놓고 비판한 개혁시인이였으며 저항시인이었다. 몰락한 가문의 선비로서 헐벗고 굶주린 民草들 편에 섰으며, 저항할 힘도 없는 그들을 대상으로 공정과 상식이 없는 게임을 벌이며 일방적 착취를 일삼던 조선조 양반 기득권 세력의 칼에 의연히 맞서 筆鋒을 휘두른 김립. 연암 박지원, 다산 정약용과 같은 수많은 實事求是 개혁자들을 철저히 외면한 채 망국의 막다른 길에 이른 조선 중후기의 세상을 신랄하게 비판·조롱하며 개벽천지 신세계를 읊은 천재시인 김립의 시문학 작품은 우리의 과거와 현재까지 걸어온 길,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걸어가야 할 미래의 길에 관한 인문학적 비전을 제시하는 연결고리가 될 것이다. 이 책은 약 80년 전 발간된 이응수의 『김립시집』을 21세기의 시각으로 바라본, 현대식 해석의 결정판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김병연, 김삿갓이 되다

1장 | 김삿갓(김립)에 대하여
1. 김삿갓 설화의 발단에 대하여
2. 난고(蘭皐) 김병연(金炳淵)에 대하여
3. 김삿갓이라 불리는 인물의 복수성(複數性)에 대하여
4. 김삿갓과 유사한 삶을 살았던 조선과 외국의 시인들
5. 김삿갓의 방랑 전후 시대적 상황
6. 김삿갓 설화의 구성과 전개

2장 | 김립시집 소고
1. 들어가기 전에
2. 일러두기
3. 김병연(金炳淵) 연보(年譜)
4. 소고(小考)에 부쳐
5. 머리말(頭序)
6. 蘭皐平生詩(난고평생시)
7. 論鄭嘉山忠節死 嘆金益淳罪通于天(논정가산충절사 탄김익순죄통우천)
8. 海藏集, 記金蓑笠事(해장집, 기김사립사)
9. 이응수의 고증(考證)


제2부
金笠詩集 편역

1장 | 들어가며
1. 自序 - 이응수
2. 金笠略譜(김립약보)
3. 家系, 年譜
4. 詳解 金笠詩集 前篇 李應洙 註

2장 | 乞食 篇
1. 이십수하
2. 봉우숙촌가
3. 사각송반죽일기
4. 개성인축객
5. 실제
6. 환갑연
7. 빈음
8. 간음야점
9. 자상
10. 증환갑연노인

3장 | 人物 篇
1. 다수부
2. 나부 1
3. 나부 2
4. 상배자만
5. 가련기시
6. 노파
7. 증기
8. 학성방미인불견
9. 추풍방미인불견
10. 증모녀
11. 가상초견
12. 희증처첩
13. 증노기
14. 조유관자
15. 조연장관자
16. 노음
17. 노인 자조
18. 구루
19. 조지사
20. 진일수두객
21. 조산촌학장
22. 훈계훈장
23. 선인영상
24. 견걸인시
25. 팔대시가

4장 | 詠物 篇 - 其一
1. 영립
2. 관
3. 망건
4. 등화
5. 등
6. 로
7. 영영
8. 음영
9. 염
10. 박
11. 기
12. 연죽 1
13. 연죽 2
14. 직금
15. 목침
16. 요항
17. 연
18. 지
19. 필

5장 | 詠物 篇 - 其二
1. 낙화음
2. 낙엽음
3. 낙엽 2
4. 설중한매
5. 명초
6. 과
7. 태
8. 벌목
9. 빙
10. 설 1
11. 소설경
12. 설경
13. 설일
14. 설 2
15. 설 3

6장 | 動物 篇
1. 계 1
2. 계 2
3. 구
4. 묘 1
5. 영묘
6. 묘 2
7. 어
8. 응
9. 슬
10. 와
11. 조
12. 노우

7장 | 山川樓亭 編
1. 금강산 1
2. 금강산 2
3. 금강산 3
4. 금강산 4
5. 입금강
6. 묘향산
7. 구월산
8. 등함흥구천각
9. 안변표연정 1
10. 안변표연정 2
11. 여조운경상루
12. 화김립
13. 안변노고봉과차음
14. 대동강연관정
15. 등문성암
16. 등광한루
17. 모투강제음
18. 한식일등북루음
19. 개성
20. 관왕묘
21. 간산
22. 유산음
23. 영남술회
24. 청효종

8장 | 雜篇
1. 우음
2. 춘야우음
3. 우감
4. 즉음
5. 자영
6. 자고우음
7. 파자시
8. 경세
9. 간빈
10. 산소소출
11. 출새
12. 마도
13. 상원월
14. 문승
15. 하정주
16. 은사
17. 잡영
18. 사향 1
19. 사신
20. 사향 2
21. 즉경
22. 안혼
23. 추음
24. 화전

9장 | 附錄
1. 김삿갓과 金剛山(금강산)
2. 김립시집 증보판 論評 - 이응수

맺음말
참고문헌
Author
김립,이응수,문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