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사회교리는 교회의 목자들이 당대의 정치 · 경제 · 문화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교회의 사회적 전통(social tradition)을 논리 정연하게 체계화하려는 시도이다. 이 책은 기본적인 전제들을 살펴보고, 사회생활의 큰 틀을 이루는 정치와 경제 그리고 국제 관계의 관점에서 가톨릭 사회교리 요점을 101개의 질의응답 방식으로 매우 쉽게 풀어내고 있다.
Contents
추천의 글
일반 배경 1-8
가톨릭 사회교리가 무엇인가요?/ 사회교리를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어떤 문헌들이 있나요?/
사회교리 문헌은 모두 로마(교황청)에서 발표하나요?/ 사회교리 문헌은 누가 쓰나요? 교황? 주교? 등
교회론과 관련한 현안들 9-16
사회교리 문헌이 교황, 주교들의 모임, 개별 주교 또는 다수의 조언자가 작성한 것이라면,
그 가르침은 어떤 권위가 있나요?/ 사회교리를 형성하는 데 평신도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요?/
교회가 해야 할 일은 신자들의 영적 삶을 돌보는 일이라고 봅니다. 구태여 교회가 나서서 정치적, 경제적 문제에 대해 떠들 필요가 있을까요? 등
기본 주제들
공동체주의 17-20
사회교리 문헌을 관통하는 기본 관점이나 사상이 있나요?/ 개인주의와 집산주의의 오류란 무슨
뜻이죠?/ 개인의 자유는 어떻게 되나요? 등
인간의 존엄성 21-23
사회교리의 출발점이 인간의 존엄인 이유가 있나요?/ 인간의 존엄을 출발점으로 삼는다는 것은
공동체보다는 개인을 강조하는 데에 힘을 실어주는데, 그보다는 공동체를 더 강조해야 되는 것
아닌가요?/ 아주 질이 나쁜 사람들, 비인간적인 행동을 하고 스스로 인간임을 포기하는 것 같은
사람들의 존엄은 어찌 되나요? 등
인권 24-27
인권과 인간의 존엄은 무엇으로 연결되나요?/ 오늘날 교회가 승인하는 인권이란 무엇인가요?/
사회교리에서 인권이 왜 그렇게 중요한 거죠? 등
공동선 28-32
공동선이란 정확히 무엇인지요?/ 공동선은 사회주의 사상인가요?/ 정확히 연대란 무슨 뜻이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우선적 선택’이란 말이 무슨 뜻이지요? 등
정의 33-39
교회가 말하는 정의란 무엇인가요?/ 문헌에서 말하는 여러 종류의 정의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사회정의와 일반 정의는 어떻게 연관되나요? 등
사회 제도들 40-42
우리 모두는 죄인이기 때문에 개인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만일 사회도 전환이 필요하다면
그 얘긴 사회도 죄인이라는 뜻인가요?/ 사회교리에서는 가정을 어떻게 보고 있나요? 등
정치 생활 43-50
사회교리에서는 국가의 역할을 어떻게 보나요?/ 보조성을 ‘작을수록 더 낫다’ 혹은 ‘작은 정부일수록 더 낫다’는 뜻으로 보면 될까요?/ 사회교리는 민주적 투표 제도를 어떻게 보고 있나요? 등
경제 생활 51-70
사회교리가 처음 대응한 것이 노동자들이 처한 곤경이었다면, 교회의 전통은 노동의 체험을 어떻게
이해했나요?/ 사회교리는 노동의 기본 권리로 정당한 임금을 받을 권리를 말하고 있는데요, 도대체
정당한 임금이 뭐죠?/ 교회의 가르침은 자본주의를 승인하나요? 등
국제(사회) 생활 71-92
만일 예수님이 우리의 참 평화라면, 전쟁에 관한 문서를 내놓기 전에 평화에 대해 말하는 것이 맞는 것 아닌가요?/ 이 세상에서 우리가 찾는 ‘정당하고 안정적인 평화’란 정확히 어떤 것이죠?/ 사회교리
에서 제시하는 정당한 전쟁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빈부격차 해소를 위한 처방은 무엇인가요? 등
특별한 관심들 93-101
여성에 관한 관점은 어떤지요?/ 사회교리는 인종주의와 인종관계에 대해서도 가르치나요?/
오늘날 큰 현안 가운데 하나는 이민 문제인데, 이에 대해 사회교리의 가르침은 어떤지 알고 싶어요./
사회교리는 사형제도에 대해 어떻게 보고 있는지요? 등
미주
Author
케네스 R. 하임스,박동호
작은형제회 소속으로 1971년 사제 수품. 듀크대학교에서 종교와 공공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보스턴대학에서 신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고, 버지니아대학, 하워드대학 신학교 및 세인트존스대학교의 객원교수이기도 하다. 그는 가톨릭 사회 가르침, 공적인 삶과 정치에서 종교의 역할, 전쟁의 윤리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면서 많은 책과 기사를 저술하고 편집했다.
Fullness of Faith: The Public Significance of Theology(신앙의 충만함: 신학의 대중적 중요성), Modern Catholic Social Teaching: Commentaries and Interpretations(현대 가톨릭 사회교리: 주석과 해석) 등 다수가 있다.
작은형제회 소속으로 1971년 사제 수품. 듀크대학교에서 종교와 공공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보스턴대학에서 신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고, 버지니아대학, 하워드대학 신학교 및 세인트존스대학교의 객원교수이기도 하다. 그는 가톨릭 사회 가르침, 공적인 삶과 정치에서 종교의 역할, 전쟁의 윤리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면서 많은 책과 기사를 저술하고 편집했다.
Fullness of Faith: The Public Significance of Theology(신앙의 충만함: 신학의 대중적 중요성), Modern Catholic Social Teaching: Commentaries and Interpretations(현대 가톨릭 사회교리: 주석과 해석)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