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 영국 언론은 조선을 어떻게 봤을까?

『이코노미스트』가 본 근대 조선
$17.06
SKU
979119679357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1/29
Pages/Weight/Size 145*210*0mm
ISBN 9791196793579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부끄럽지만 마주봐야 할 우리의 참된 역사
영국 정론지 [이코노미스트]가 본 개화기 조선의 모습

“조선은 차라리 외국으로부터 현대적 행정 시스템의 도움을 받는 것이 조선 국민들의 이익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이코노미스트] 1909년 10월 30일자 기사

책이 묘사하는 개화기 조선의 모습은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읽기에 불편한 내용으로 가득하다. 행정은 부패하고 권력층은 정권 다툼에만 몰두하며 민중은 살아갈 희망을 잃어버린 나라. 스스로는 아무것도 결정하지 못하고 주변국들의 정세에 휘말려 운명이 결정되고야 말 허약한 나라가 바로 조선의 모습이었다. 개항 이후 조선의 경제는 일본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일본은 가망 없는 조선의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손해 보는 투자를 한다고도 했다. 심지어 지배층에 착취당하는 조선 민중에게는 일제의 국권 침탈조차 오히려 약이 될 거라는 신랄한 평가마저 내려버린다. 저자가 친일파라서, 혹은 한국에 억한 심정이 있어 이렇게 적은 것은 아니다. 당혹스럽지만, 이것이 당시 서구 사회가 조선에 대해 갖고 있는 이미지 그 자체였다. 책에서 저자가 메인 텍스트로 인용하는 영국의 정론지, [이코노미스트] 지가 개화기 조선에 내린 평가이기도 했다.

비단 조선의 기사에 집중하지 않더라도 [이코노미스트]에는 당시 서구 사회가 조선과 중국, 일본 등 동양권에 대해 갖고 있던 인식이 그대로 드러난다. 이들은 병인양요에서 프랑스군의 패배를 보며 훗날 동양인이 자기네와 동등한 무기를 입수할 미래를 걱정하기도 하고, 새로이 함대를 건설한 중국의 모습에서 걱정스런 미래가 드디어 가시화되었음을 지적하며 중국이 서양을 무력으로 몰아내는 미래를 예측하기도 한다. 청일전쟁으로 드러난 중국 군대의 현실과 일본 군대의 역량을 평가하며, 조선을 둘러싼 러시아, 중국, 일본 간 대립의 결과를 여러 방향으로 예측하기도 한다. 하지만 동양인의 잠재력을 두려워하면서도, 끝내 그들은 동양인은 서양인과 다르다는 차별적 심리를 완전히 벗어버리지 못한다. 동양인은 서구의 우월한 기술을 입수해 휘두를 때만 위협일 뿐, 근본적으로는 열등하다는 제국주의다운 선입견에서는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동양인은 서구의 기술과 문화, 정치를 받아들여 서구화를 이루어야만 비로소 열등함을 벗어던질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이 보기에 그 가장 큰 성공작이자 모범생은 청과 러시아를 물리치고 조선을 손에 넣은 제국주의의 막내, 일본이었다.

이렇듯 [이코노미스트]를 주 텍스트로 인용하며 개화기 조선의 역사를 그려낸 책, 『100년 전 영국 언론은 조선을 어떻게 봤을까?』에는 당시 제국주의 서구권 국가의 왜곡된 시각이 그대로 드러난다. 대부분 잘못된 정보를 편견으로 해석한 결과다. 게다가 조선에 대한 잘못된 정보에는 일제가 거짓으로 배포한 내용이 상당수 들어 있었다. 하지만 저자는 그 왜곡된 시각을 진지하게 분석하는 일 역시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진실이야 어떻든 그 시각은 당시 서구권 국가들이 조선을 바라보는 시각이었으며, 이들의 협조와 무관심 속에 마침내 국권을 뺏기고 만 당시 조선의 역사에서는 이 왜곡된 시각이 미래의 운명을 결정한 중요한 시각이었다는 것이다.
Contents
화보―4
『이코노미스트』에 대해서―17
들어가는 글―23

제1장 조선의 개항

조선을 너무나 사랑했던 범죄자, 오페르트의 두 얼굴―31
보이지만 갈 수는 없는 세계 최후의 개방국―39
수천 년을 이어온 중계 무역의 종말―46
◆ 조선의 산은 민둥산―52
◆ 지나치게 유능했던 조선 관료의 부패―56

제2장 서구 제국주의

목표는 완전한 시장 개방―63
아시아 국가와의 통상은 왜 군대 파견으로 귀결되나―70
서구인과 아시아인은 다르다?―76
백인의 시대는 끝나간다?―84
서양이 패배한 전쟁, 병인양요―89
영국과는 정반대인 일본의 제국주의―94
◆ 부산이 일본의 식민지였다고?―98

제3장 조선의 경제

조선의 세관 책임자는 외국인―105
먹고살기 힘든 조선의 수출품, 쌀―111
일본은 조선의 주요 무역 파트너, 그러면 조선은 일본에게 어떤 무역 파트너―?117

제4장 청나라와 조선

서양인들은 청일전쟁을 어떻게 예상했나―123
왜 청일전쟁을 한국전쟁이라 부를까―129
일본은 이제 전쟁을 끝내라는 서양의 요구―135
삼국간섭과 일본의 분노―140
일본의 식량 공급지-포모사―145
청나라 이홍장과 서구 열강의 이권―148

제5장 러시아와 조선

아관파천, 두 갈래 길에 놓인 조선의 운명―157
예고되는 러일전쟁―163
러시아의 만주 점령―169
영일 동맹―174
◆ 러일전쟁을 둘러싼 막후 관계―179

제6장 한일 합방

일본의 조선 지배에 대한 『이코노미스트』의 시각―185
이토 히로부미의 암살―192
한일병합―198
◆ 1870년대의 조선과 1900년대의 조선―203

나가는 글―208
연표―212
연도별 사건―213
Author
최성락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양미래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하다 2021년 연구와 투자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퇴직했다.

필자의 첫 책은 드라마 [오로라 공주]로 보는 한국 사회 대중심리를 연구한 『우리는 왜 막장드라마에 열광하는가』이다. 그 뒤 『경영학은 쉽다』라는 경영학 입문서를 집필하고 『대한민국 규제백과』,『한국은 자본주의 사회인가』로 한국 사회의 주요 문제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을 짚었다. 한때 사학도를 꿈꾸었고, 경영학 교수가 된 뒤에도 『조선왕조실록』 400권을 완독할 정도로 역사를 향한 변함없는 열정은 『말하지 않는 한국사』와 『말하지 않는 세계사』의 집필로 이어졌다.

그는 한마디로 ‘잡지형 인간’이다. 『말하지 않는 한국사』, 『한국이 중국을 선택한다면』, 『규제의 역설』, 『한국은 자본주의 사회인가』, 『나는 카지노에서 투자를 배웠다』. 이 밖에도 그가 쓴 수많은 책은 한 사람이 썼다고 생각하기 힘든 리스트다. 경영학과 행정학 두 개의 박사 학위를 가졌기에 자본주의나 규제 관련 책은 쓸 만도 하다.그런데 역사와 외교정책에 관한 책은 좀 뜻밖이다. 게다가 점잖은 교수가 카지노에 출입하면서 투자의 원칙과 방법을 배웠다는 책은 일부 독자들이 보면 뜨악할 수도 있다.

지난봄, 최교수와 책바보로 소문난 언론인 한 분, 그리고 편집자가 식사 자리를 가졌다. 저자가 밥값 낼 일이 있다면서 계산을 치렀다. 무슨 일이냐고 물었더니 학교를 그만두게 다고 한다. 비트코인과 미국 주식에 투자한 게 대박 났다고 한다. 학교를 회사라 부르는 그는 그 덕에 적성에 맞지 않는 교수직을 떠나 전업 투자와 연구에 몰두하겠다고 한다. 개인연구소를 만들고 있다고 한다. 소위 말하는 파이어족이 된 것이다.

이 일화를 책으로 쓰겠다던 그는 가을에 원고를 보내왔다. 언제나 그렇듯 자신의 투자 경험과 철학을 순박하게 풀어쓴 것이다. 투자에 관한 생각이 다른 분은 불편하게 볼 수도 있다. 반면 가치투자에 공감할 이들은 성공한 투자가의 경험에서 소중한 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양미래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하다 2021년 연구와 투자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퇴직했다.

필자의 첫 책은 드라마 [오로라 공주]로 보는 한국 사회 대중심리를 연구한 『우리는 왜 막장드라마에 열광하는가』이다. 그 뒤 『경영학은 쉽다』라는 경영학 입문서를 집필하고 『대한민국 규제백과』,『한국은 자본주의 사회인가』로 한국 사회의 주요 문제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을 짚었다. 한때 사학도를 꿈꾸었고, 경영학 교수가 된 뒤에도 『조선왕조실록』 400권을 완독할 정도로 역사를 향한 변함없는 열정은 『말하지 않는 한국사』와 『말하지 않는 세계사』의 집필로 이어졌다.

그는 한마디로 ‘잡지형 인간’이다. 『말하지 않는 한국사』, 『한국이 중국을 선택한다면』, 『규제의 역설』, 『한국은 자본주의 사회인가』, 『나는 카지노에서 투자를 배웠다』. 이 밖에도 그가 쓴 수많은 책은 한 사람이 썼다고 생각하기 힘든 리스트다. 경영학과 행정학 두 개의 박사 학위를 가졌기에 자본주의나 규제 관련 책은 쓸 만도 하다.그런데 역사와 외교정책에 관한 책은 좀 뜻밖이다. 게다가 점잖은 교수가 카지노에 출입하면서 투자의 원칙과 방법을 배웠다는 책은 일부 독자들이 보면 뜨악할 수도 있다.

지난봄, 최교수와 책바보로 소문난 언론인 한 분, 그리고 편집자가 식사 자리를 가졌다. 저자가 밥값 낼 일이 있다면서 계산을 치렀다. 무슨 일이냐고 물었더니 학교를 그만두게 다고 한다. 비트코인과 미국 주식에 투자한 게 대박 났다고 한다. 학교를 회사라 부르는 그는 그 덕에 적성에 맞지 않는 교수직을 떠나 전업 투자와 연구에 몰두하겠다고 한다. 개인연구소를 만들고 있다고 한다. 소위 말하는 파이어족이 된 것이다.

이 일화를 책으로 쓰겠다던 그는 가을에 원고를 보내왔다. 언제나 그렇듯 자신의 투자 경험과 철학을 순박하게 풀어쓴 것이다. 투자에 관한 생각이 다른 분은 불편하게 볼 수도 있다. 반면 가치투자에 공감할 이들은 성공한 투자가의 경험에서 소중한 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