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언론문화 100년사

$41.40
SKU
979119418000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9/20 - Thu 09/2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9/17 - Thu 09/1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7/22
Pages/Weight/Size 170*240*40mm
ISBN 9791194180005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조선 시대부터 윤석열 정부까지
한국 언론문화 100년을 탐구하다

조선 시대부터 윤석열 정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주요 사건과 언론 현상을 시대사적 맥락에서 서술하고 정치와 사회제도와 연관 지은 책이다. 제1장에서는 조선시대의 언관 구조에 관한 연구를 서술했다. 언관 구조는 제도권 내에서 어떤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초기 언론이 형성되던 과정에서 정론지(政論紙)의 가능성을 논했다. 제3장에서는 조선총독부가 허가한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 세 개의 신문에 나타난 1920년부터 1940년까지의 문화정치의 실체를 논했다. 총독부와 조선의 신문이 생각했던 각각의 문화정치를 함께 논했다.

제4장에서는 사상사 측면에서 일제시대 사회주의 형성기 언론의 역할을 살폈다. 제5장에서는 초기 정론지로 다시 돌아가서 정론지가 가능했던 상황을 묘사하고, 정론지의 의미와 발전 방향을 논했다. 정론지가 어떤 상황에서 발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런 신문의 정론적 성격이 왜 종말을 고하고, 현대와 같은 색깔 없는 신문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원인을 규명코자 했다. 제6장에서는 언론 노조, 언론노동조합연맹의 역사적 의미와 그 항로에 관해서 서술했다. 이들의 계급적·신분적 속성을 논하며, 아울러 정론지의 토양, 즉 정론지에 적합한 신분적 속성에 관심을 가졌다.

제7장에서는 기술 결정론적 관점에서 한국 방송 70년사를 정리했다. ‘경성방송국’이 1927년에 개국함으로써 방송 역사의 장을 열었으나 컬러, 케이블 TV를 받아들인 지금도 여전한 대외 의존적 기술과 프로그램의 실태를 분석했다. 즉 역사적 맥락으로 방송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사회, 문화적 상황에 관해서 논했다. 제8장에서는 다매체 다채널의 6공화국 시대의 언론을 논했다. 신문·방송·인터넷이 공존하는 시대의 언론 정체성에 관한 논의를 덧붙였다. 제9장에서는 6공화국 중 노무현과 이명박 정부를 다루었다. 제10장에서는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권을 다루었다. 필자가 관심을 가진 것은 공영언론을 중심으로 한 선전 선동에 대한 역사적 평가이다. 제11장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언론을 서술했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조선시대 언관 구조에 관한 연구

1. 전통 커뮤니케이션 구조
2. 대간 제도의 기본이념
3. 언관 구조
4. 언로의 실천
5. 언관과 타구조와의 역학 관계
6. 직분 강화의 유교적 인간관계

제2장 초기 정론지의 언론활동(1883~1910)

1. 정론지 연구의 필요성
2. 정론지의 발아
1) 개화파의 「한성순보(漢城旬報)」
2) 온건 개화파의 「한성주보(漢城周報)」
3) 서재필(徐載弼)의 「독립신문」
3. 정론지의 정립
1) 윤치호(尹致昊)의 「독립신문」
4. 정론지의 와해
1) 급진 개화파의 「?일신문」
2) 정체성 위기의 「뎨국신문(帝國新聞)」
3) 개신 유학자의 「황성신문(皇城新聞)」
4) 저항지의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5. 정론지의 생성과 소멸

제3장 신문에 나타난 강점기시대의 문화정치(1920~1940)

1. 문화정치의 시대적 상황
2. 문화정치의 산물인 일간신문의 출현
3. 강점기 언론의 도전
4. 강점기시대의 민족문화운동
5. 신문에 나타난 강점기시대의 민족문화운동

제4장 강점기시대의 사회구조와 사회주의 언론(1920~1945)

1. 언론을 통한 평등 사상의 추구
2. 본문의 구조, 방법 그리고 쟁점
3. 강점기시대 사회주의 형성과 신문 매체(기관지)
4. 사회주의 운동의 여론화·조직화
5. 팸플릿을 통한 일제하의 대항 언론
6. 문화적 가치 실현을 위한 언론

제5장 정론지(政論紙)와 ‘신문윤리강령’(1945~1961)

1. ‘신문윤리강령’과 ‘신문윤리실천요강’의 시대적 과제
2. 해방 후 정론지의 선명성
3. 미군정기의 좌파 정론지 소멸
4. 李승만 정부하의 정론지 소멸
5. ‘신문윤리강령’과 ‘신문윤리실천요강’
6.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로서의 윤리강령

제6장 권력, 자본 그리고 언론 노조를 통한 한국 언론사의 이해(1960~1988) ― 언론의 민주적 관료제

1. 언론의 민주화
2. 관리 문화의 형성
3. 의존적 관리기구
4. 관료제의 정립
5. 언론의 민주적 관료제

제7장 한국인의 현대사로서의 방송 70년(1927~1997)

1. 한국 방송의 실제
2. 라디오 방송 시대
1) 일제 강점기하의 라디오 매체
2) 해방 후 라디오 매체
3. 텔레비전 방송 시대
1) 흑백 TV 매체
2) 컬러 TV 매체
4. 한국인의 현대사로서의 방송 70년

제8장 6공화국에서의 언론 정체성(1987~2002)

1. 6공화국과 미디어 중심주의
2. 노태우 정부와 언론의 분화
3. 김영삼 정부와 다매체
4. 김대중 정부와 디지털 미디어
5. 미디어 팽창과 언론 정체성

제9장 노무현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2003~2012)

1. 노무현 참여정부
1) 인터넷 시대의 정부
2) 인터넷과 TV의 융합
3) 새로운 정치문화
4) 미완의 언론개혁
5) 과거사 정리와 미완의 개혁
2. 이명박 정부
1) 정책운용 원리
2) 언론정책 방향과 그 실천
3) MB 기호의 제국
4) 언론의 운용
5) 신문·방송 겸용 허용과 신문법 개정
6) 인권과 과거사 정리

제10장 박근혜 정부의 국민행복과 문재인 정권(2013~2022)

1. 박근혜 정부의 개혁과 좌절
1) 정부의 개혁 구상
2) 개혁의 실천
3) ‘진지전’ 구축의 언론 활동
4) 세월호 사건으로 동력 상실
5) 개혁과 국민행복의 좌절
2. 문재인 정권의 언론과 북한
1) 언론을 앞세운 체제 개혁
2) 남북 정상회담에 따른 북한 추켜세우기
3) 언론을 통한 진지전 구축
4) 망가진 사회 체제 그리고 경제, 언론
5)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실패
6) 부정선거와 언론의 수난

제11장 윤석열 정부의 ‘반지성주의’(2022~)

1. 자유·인권·법치의 애매성
2. 살얼음판 정국에서 돌파구
3. 공영언론과 갈등심화
4. 5·18, 정율성 그리고 홍범도
5. 윤석열 정부의 ‘반지성주의’ 자리매김
Author
조맹기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명예교수이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그 후 미국 뉴욕 시립대학교에서 사회학으로 석?박사학위(1988)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했고,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교수 및 신문방송학과 교수와 언론대학원 신문출판주임, 언론대학원장을 지냈다.

단독 저서로는 『한국언론사의 이해』(2011), 『현대커뮤니케이션사상사』(2009),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언론학회 희관저술상 수상작, 2004), 『커뮤니케이션 사상사』(2001), 『한국언론인물사상사』(2006), 『레토릭의 사상사들』(2011), 『민주공화주의와 언론』(2012), 『한국언론사상 사와 실학자들』(2015), 『천관우의 언론사상』(2015), 『한국 방송과 규제 법령』(2015), 『제헌헌법의 정신과 공영방송』(2017), 『과학기술과 언론보도』(2017) 등이 있다.

공저로는 『정, 채면, 연줄 그리고 한국인의 인간관계』(임태섭 편, 1995), 『민족에서 세계로-민세 안재홍의 신민족주의론』(2002) , 『조선시대 커뮤니케이션 연구』(1995), 『언론학원론』(1994), 『박정희 시대와 한국현대사』(2007), 『한국 언론 100년사』(2006), 『안재홍 언론사상 심층연구』(2013), 『한국사 시민강좌: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2008) 등이 있다. 그 외 27편의 논문이 있다.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명예교수이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그 후 미국 뉴욕 시립대학교에서 사회학으로 석?박사학위(1988)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했고,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교수 및 신문방송학과 교수와 언론대학원 신문출판주임, 언론대학원장을 지냈다.

단독 저서로는 『한국언론사의 이해』(2011), 『현대커뮤니케이션사상사』(2009),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언론학회 희관저술상 수상작, 2004), 『커뮤니케이션 사상사』(2001), 『한국언론인물사상사』(2006), 『레토릭의 사상사들』(2011), 『민주공화주의와 언론』(2012), 『한국언론사상 사와 실학자들』(2015), 『천관우의 언론사상』(2015), 『한국 방송과 규제 법령』(2015), 『제헌헌법의 정신과 공영방송』(2017), 『과학기술과 언론보도』(2017) 등이 있다.

공저로는 『정, 채면, 연줄 그리고 한국인의 인간관계』(임태섭 편, 1995), 『민족에서 세계로-민세 안재홍의 신민족주의론』(2002) , 『조선시대 커뮤니케이션 연구』(1995), 『언론학원론』(1994), 『박정희 시대와 한국현대사』(2007), 『한국 언론 100년사』(2006), 『안재홍 언론사상 심층연구』(2013), 『한국사 시민강좌: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2008) 등이 있다. 그 외 27편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