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가지 물건으로 보는 우주의 역사

NASA 과학자가 선정한 인류의 지혜로운 도구들
$21.38
SKU
979119347611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1/2 - Wed 0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12/30 - Wed 0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1/08
Pages/Weight/Size 140*210*30mm
ISBN 9791193476116
Categories 자연과학
Description
“100가지 물건과 함께 떠나는 우주 탐험!”
우주복, 계산기, 망원경, 탐사차, 로봇, 우주선…
인간의 창의력과 도전을 담은 찬란한 유산들

인류는 오래전부터 하늘을 올려다보며 호기심을 품어 왔다. 그리고 해와 달과 행성의 움직임, 별자리와 계절의 연관성, 일식과 월식의 신비, 지평선과 일출·일몰의 위치 등에서 어떤 반복성과 규칙성을 발견했다. 이러한 인식은 곧 달력 제작, 종교 행사, 건축 설계, 수학과 과학의 기초로 이어졌으며 오늘날 우주 탐험의 초석이 되었다. 『100가지 물건으로 보는 우주의 역사』는 NASA 과학자인 스텐 오덴발드가 선정한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인류의 위대한 도구 100가지’를 담은 책이다. 인류 최초의 기록으로 알려진 기원전 7만1,000년의 ‘블롬보스 동굴의 황토 그림’부터 만드는 데에만 24년의 시간과 108억 달러가 쓰인 2022년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까지 고대와 현대를 아우르는 우주 물건 100가지가 풍부한 사진과 함께 소개된다. 저자는 단지 물건들을 설명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 물건을 중심으로 성장한 지식 체계와 인류의 역사를 함께 엮는다.

이 책이 특별한 것은 흔히 알려진 천문학의 도구인 계산기와 지도, 망원경과 위성, 태양계를 탐사하는 로봇에 대한 정보도 있지만, 우주가 아닌 일상에서 더 익숙한 물건들도 함께 소개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고무 오링(Oring, 물 따위가 새는 것을 막는 데 쓰는 원형 고리)’은 정원의 호스나 스쿠버 장비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로켓 연료 부스터의 부품 사이를 메우는 밀폐재로도 사용된다. 이 물건이 책에 실린 이유는 우주탐사 역사상 최악의 비극이었던 챌린저 우주왕복선 사고의 원인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은 물건의 반대쪽 극단에는 인간이 지금까지 만든 가장 복잡한 기계이자 가장 큰 과학 장비인 ‘대형 강입자 충돌기’가 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인간의 창의력이 얼마나 빠르게 가속화했는지 실감할 수 있다. 맨 처음에 실린 두 유물 사이의 간격은 3만 년이지만 책의 후반에 실린 물건들 사이의 간격은 겨우 몇 년에 불과하다. 여기서 읽을 수 있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인간은 마음만 먹으면 (그리고 자원만 있다면) 뭐든 이뤄 낼 수 있다! 그리고 독자들 앞에는 여전히 수많은 도전이 기다리고 있다!
Contents
추천의 글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존 매더
서문

1 블롬보스 동굴의 황토 그림 :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
2 아브리 블랑샤르 뼈 판 : 고대의 태음력
3 이집트 항성시계 : 천체의 정량화를 위한 첫 시도
4 네브라 하늘 원반 : 휴대용 플라네타륨
5 암미사두카의 금성 판 : 현대 천문학의 기초가 된 문서
6 세넨무트의 성도 : 세밀하게 묘사한 하늘
7 메르크헤트 : 천문학과 건축의 결합
8 님루드 렌즈 : 망원경 작동을 위한 기본 요소
9 그리스의 혼천의 : 최초의 천체 계산기
10 디옵트라 : 별의 정확한 위치를 기록하다

11 안티키테라 기계 : 휴대용 천체 계산기
12 히파르코스의 성표 : 천체 지도의 기초
13 아스트롤라베 : 별을 이용한 시간 측정
14 둔황 성도 : 최초의 완벽한 성도
15 알 콰리즈미의 대수학 교본 : 우주를 계산하는 능력의 증대
16 드레스덴 코덱스 : 마야의 천문학을 엿보다
17 차코 캐니언의 태양 단검 : 빛과 나선으로 하늘에 표한 경의
18 조반니 데 돈디의 아스트라리움 : 중세 후기의 정교한 계산기
19 빅혼 메디슨 휠 : 별을 가리키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기념물
20 엔시스하임 운석 : 하늘에서 떨어진 돌

21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 우주의 중심을 바꾼 코페르니쿠스의 책
22 튀코의 벽걸이 사분의 : 그밖의 정밀한 천문학 도구들
23 갈릴레이의 망원경 : 현대 천문학의 시작
24 계산자 : 1960년대 우주 계획을 이끈 계산기
25 접안 마이크로미터 : 가장 정밀한 천문학적 관측 장비
26 시계식 회전 장치 :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새로운 방식
27 자오환 : 성표 작성을 도와주는 기발한 도구
28 스키디 포니 성도 : 천체를 기록한 신성한 꾸러미
29 그을린 유리로 태양 관측하기 : 천체 관측을 대중화한 일식 안경의 원조
30 자이로스코프 : 로켓이 똑바로 날아가게 해 주는 도구

31 전지 : 우주선의 동력
32 필라트르와 다를랑드의 열기구 : 최초의 비행
33 윌리엄 허셜의 12m 망원경 : 당대 최대 규모의 과학 기기
34 분광기 : 별의 구성 물질을 알아내다
35 다게레오타이프 카메라 : 천문학 사진의 시작
36 태양 전지판 : 우주선의 동력
37 파슨스타운의 리바이어던 : 마지막 망원경
38 크룩스관 : 핵입자의 감지와 측정
39 3극 진공관 : 전자공학의 탄생
40 이온 로켓엔진 : 획기적인 추진 장치

41 후커 망원경 : 가장 유명한 망원경
42 로버트 고다드의 로켓 :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
43 밴더그래프 발전기 : 입자 가속 기술의 시초
44 코로나그래프 : 언제든 관측 가능한 일식
45 잰스키의 회전목마 전파 망원경 : 전파 천문학의 탄생
46 V-2 로켓 : 우주에 띄운 최초의 인공물
47 에니악 : 최초의 현대적 컴퓨터
48 콜로서스 마크 2 : 프로그래밍 가능한 최초의 컴퓨터
49 전파 간섭계 : 우주 관측 방식의 획기적인 발전
50 열 차폐막 : 지구로의 안전한 귀환

51 집적회로 : 우주 탐사를 위한 연산력의 토대
52 원자시계 : 시간을 이용해 우주를 측정하다
53 우주의 고정 장치 : 숨겨진 영웅들
54 수소선 전파 망원경 : 성간 물질의 탐구
55 엑스선 망원경 : 우주를 보는 새로운 창
56 수소 폭탄 : 별빛 뒤에 숨겨진 파괴적인 힘
57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기 발전기 : 태양이 없는 곳에서 전기를 얻는 법
58 원자력 로켓엔진 : 더 빠르게 우주로
59 스푸트니크 : 몇 달 만에 끝난 소련의 승리
60 뱅가드 1호 : 가장 오래된 우주 쓰레기

61 루나 3호 : 달의 뒷면을 처음으로 엿보다
62 무한 루프 자기 테이프 레코더 : 우주에서의 데이터 저장
63 레이저 : 새로운 빛으로 보다
64 우주 음식 : 우주 시대의 요리
65 우주복 : 생명을 유지해 주는 제2의 피부
66 신컴 2호와 3호 : 우주의 상용화
67 비디콘 카메라 : 천체의 전자 사진
68 스페이스 블랭킷 : 체온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
69 휴대용 기동 장치 : 우주에서 유영하기
70 아폴로 1호 블록 I 해치 : 우주여행의 위험에 대한 경고

71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 : 월드 와이드 웹의 시작
72 핫셀블라드 카메라 : 우주 최초의 셀카
73 아폴로 11호의 월석 : 다른 세계에서 온 최초의 지질학 샘플
74 CCD 이미저 : 필름 없이 찍는 우주의 사진
75 달 레이저 거리 측정 재귀 반사체 : 레이저로 측정한 지구와 달의 거리
76 아폴로 달 텔레비전 카메라 : 달에 첫발을 내딛는 장면을 찍다
77 홈스테이크 금광의 중성미자 검출기 : 최초의 중성미자 검출기
78 루노호트 1호 : 또 다른 세계를 방문한 최초의 로봇
79 스카이랩의 운동용 자전거 : 우주에서 건강을 유지하는 법
80 레이저 지구역학 위성 : 지구의 진짜 모습을 발견하다

81 스무트의 마이크로파 복사계 : 빅뱅 우주론의 확증
82 바이킹호의 샘플 채취용 로봇 팔 : 다른 행성의 표면을 탐사하는 로봇
83 고무 거울 : 적응 광학계를 사용한 망원경
84 다섬유 분광기 : 100개의 은하를 한 번에
85 베네라 착륙선 : 금성 표면의 탐사
86 챌린저호의 파손된 오링 : 사소한 부품이 부른 역사적 참사
87 코스타 : 허블 우주 망원경을 새롭게 바꾼 장치
88 CMOS 센서 : 초정밀 천체 이미지
89 앨런 힐스 운석 : 외계 생명체 탐색의 본격화
90 소저너 : 로봇을 이용한 화성 탐사의 시작

91 중력 탐사선 B : 일반 상대성 이론의 검증
92 라이다 : 인간의 손길이 필요 없는 자동 도킹
93 대형 강입자 충돌기 : 인간이 만든 가장 복잡한 기계
94 케플러 우주 망원경 : 우주에 띄운 세계 최대의 디지털카메라
95 큐리오시티 탐사차 : 우주를 탐사하는 놀라운 로봇
96 화성 궤도선 망갈리안 : 저렴하게 화성 클럽에 가입한 인도
97 3차원 인쇄로 만든 래칫 렌치 : 우주에서 무엇이든 만드는 기술
98 중력파 간섭계 LIGO : 시공간의 물결을 탐색하다
99 이중 소행성 경로 변경 실험 : 소행성 충돌로 인한 멸망을 막는 법
100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 새로운 발견의 시대가 열리다
Author
스텐 오덴발드,홍주연
NASA 과학자, 천문학자, 작가.
하버드 대학교에서 천체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NASA 고다드 우주비행 센터에서 일하며, 우주 임무를 위한 과학 교육 등에 참여했다. 현재 NASA 고다드 우주비행 센터에서 우주과학 교육 컨소시엄의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천문학자에게 물어보세요(Ask The Astronomer)》 《우주를 발견하다(Discovering The Universe)》 《우주의 역사(Cosmic History)》 등이 있다.
NASA 과학자, 천문학자, 작가.
하버드 대학교에서 천체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NASA 고다드 우주비행 센터에서 일하며, 우주 임무를 위한 과학 교육 등에 참여했다. 현재 NASA 고다드 우주비행 센터에서 우주과학 교육 컨소시엄의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천문학자에게 물어보세요(Ask The Astronomer)》 《우주를 발견하다(Discovering The Universe)》 《우주의 역사(Cosmic History)》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