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산당 100년의 변천

혁명에서 ‘신시대’로
$19.44
SKU
979119143212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6/30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91432121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혁명과 건설, 발전의 시대를 지나 ‘신시대’로
다양한 관점과 맥락으로 들여다본 중국공산당 100년사

중국공산당 창당 100년을 맞아, 한국의 중국 연구자들이 이론?노선, 경제, 조직, 외교, 노동운동, 젠더 등 다방면으로 100년사를 살펴본다. 시기를 혁명, 건설, 발전 그리고 신시대로 구분해 접근한 것은 중국공산당 100년의 역사적 맥락이 보편과 특수, 혁명과 건설, 지양과 계승의 길항 관계 속에서 역사적 실험을 해왔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열린 토론과 더 풍부한 논의를 위해 필자들 사이의 상충되거나 논쟁이 될 있는 입장들을 통일하지 않고 살렸다.

중국공산당은 당과 홍군이 국가와 군대를 만들고 운영한 특이한 경험을 가지고 탈냉전 속에서 소련과 동유럽이 몰락했음에도 살아남아 집권경쟁력을 과시하고 있다. 향후 중국의 지속적인 부상과 미국 패권의 상대적 하락에 따라 국제질서의 판도가 흔들릴 가능성마저 점쳐지고 있다.

중국공산당의 역사는 비단 일국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며, 세계와 동아시아 지역 그리고 한반도에도 각기 다른 질문을 던지고 있다. 즉,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국가의 의미, 세계 자본주의에 깊게 포섭된 중국의 미래, 중국 사회주의체제의 원심력과 구심력, 한반도 분단체제와 평화체제에 대한 중국의 역할 등 다양한 토론의 주제가 공론장에서 대기하고 있다.

Contents
프롤로그: 중국공산당 100년, 이해의 확장을 위해 _이희옥
1. 두 개의 백 년과 신시대의 호명
2. 혁명과 건설의 시대
3. 사회주의의 실험: 발전의 시대
4. 신시대에 놓인 도전
5. 이 책의 구성
6. 새로운 토론을 위해

제1장 중국공산당 100년: 혁명에서 신시대까지 _안치영
1. 창당과 혁명을 통한 새로운 국가의 건설
2. 사회주의 건설과 굴절: 중국적 사회주의 건설의 한계
3. 개혁개방과 중국특색 사회주의: 시장경제로의 전환과 인민의 정치생활의 탈정치화
4. 신시대와 강대국으로의 여정: 중국적 보편을 향한 역사적 전환
5. 나가며: 새로운 시험

제2장 이론적 논쟁과 노선 투쟁 _하남석
1. 들어가며
2. 공산당 창당과 중국혁명: 어떻게 혁명을 할 것인가?
3. 대약진과 문화대혁명: 어떻게 사회주의를 건설할 것인가?
4. 개혁개방으로의 노선 전환: 어떻게 개혁을 할 것인가?
5. 당에서 지식인으로: 신좌파 대 자유주의 논쟁
6. 나가며: 논쟁이 사라진 신시대

제3장 사회주의 경제와 자본주의 사이에서 _서봉교
1. 들어가며
2. 1921년 공산당 창당에서 1966년 문화대혁명: 공산주의 이상사회 건설의 실패
3. 1978년 개혁개방에서 1989년 톈안먼 위기: 부분적 시장경제 도입의 한계와 부작용
4. 1992년 남순강화에서 1993년 사회주의 시장경제: 자본주의 시장경제 시스템 발전을 통한 공산당의 체제 위기 극복
5. 19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와 국유기업 구조조정: 자본주의적 소유권 개혁
6. 2001년 중국의 WTO 가입: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시스템을 통한 경제부흥의 선택
7.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국부(國富)에서 민부(民富)로의 정책 전환
8. 미·중 무역 분쟁 이후의 중국공산당

제4장 사회동원과 조직화 _장영석
1. 들어가며
2. 혁명기, 사회의 형성과 지원
3. 건설기, 사회의 개조와 동원
4. 개혁개방기, 사회의 복원과 관리
5. 나가며

제5장 대외인식과 외교정책 노선 _강수정
1. 들어가며
2. 중국혁명 시기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4. 개혁개방 이후
5.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6. 나가며

제6장 노동자 조직의 역사와 변화 _장윤미
1. 들어가며
2. 혁명의 시기: 혁명 정당과 노동운동 조직화
3. 사회주의 건설 시기: 당과 공회 간의 긴장과 당국체제의 완성
4. 개혁개방 시기 시장화 정책과 노동계급의 주변화
5. 개혁개방 2.0의 신시대, 노동자 조직의 포섭과 배제
6. 나가며

제7장 문예정책과 근현대문학 _임춘성
1. 문학의 위기와 출로
2. 선전선동 - 사회주의적 개조 - 검열
3. 좌익작가연맹과 〈옌안 문예 연설〉
4. 중화전국문학예술공작자대표대회를 통한 정책의 관철과 사회주의적 개조
5. 사상해방과 검열
6. 중국 근현대문학사에 대한 성찰

제8장 혁명과 젠더 _김미란
1. 들어가며: 중국여성해방을 분석하는 세 키워드
2. 5·4 시기: 민족적 위기와 이슈의 ‘여성화’, 연애와 우생
3. 소비에트 시기: 농촌으로 간 혁명가들, 그리고 젠더갈등
4.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결혼’을 통한 정치와 ‘인민’ 만들기
5. 개혁개방 시기: 인구정책과 이동, 젠더질서의 재구성
6. 나가며

에필로그: ‘신시대’ 중국의 역사 다시 쓰기 _백승욱
1. 역사를 다시 쓴다는 의미
2. 중국현대사 서술의 쟁점: 관료자본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3. 세계적 시각에서 다시 보는 중국현대사의 쟁점
4. 신시대?
Author
이희옥,백승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