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 원고지 4만여 장, 20권 분량의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를 소설 속 공간을 기준으로 한 권으로 소개 정리한 책이다. 경상남도 평사리에서 출발한 이야기는 등장인물들의 여정을 따라 진주, 통영, 부산, 마산, 서울, 일본, 용정, 연해주까지 확장된다. 이를테면 『토지』를 10개의 공간으로 나누어 읽는, ‘한 권으로 읽는 『토지』’의 공간 버전인 셈이다.
이 책은 『토지』를 이미 읽은 독자들에게는 희미해진 소설 내용을 환기하는 역할을, 소설을 읽다 말았거나 드라마로만 아는 독자들에게는 방대한 소설의 얼개를 세우고 구체성을 부여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특히 아직 『토지』를 읽지 않은 독자들은 이 책 한 권만 보면 읽지 않고도 읽은 척할 수 있으니 무척 가성비 높은 독서가 될 터이다.
등장인물들의 동선을 따라 10개의 장으로 되어 있으나, 순서대로 읽지 않아도 좋다. 소설을 읽지 않은 독자는 책 뒤쪽에 실은 ‘자료’부터 읽으면 좋다. 『토지』의 각 부 줄거리가 소상하고도 간결히 정리되어 있다. 텍스트보다 이미지에 끌리는 독자는 각 장의 사진과 해설부터 읽어도 좋다.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본문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본문 속 예문들만 따라 읽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인용문들은 『토지』 외에도 박경리의 다른 소설과 에세이, 인터뷰 등에서 가려 뽑은 것들이다. 가타부타 게으른 독자는 뒤의 QR코드를 찍어 동영상을 보면 된다.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에서 촬영한 ‘토지 문학기행원주 하동 통영편’을 감상할 수 있다. ‘토지학회’에서 제작한 동영상은 2020년 하동군의 지원을 받아 하동 평사리를 중심으로 13개의 공간을 나누어 해설한 것이다.
소설 『토지』를 읽었건 읽지 않았건, 매 페이지마다 서희와 길상, 용이와 홍이, 양현과 영광의 숨소리가 들리는 듯 풍요롭고 가성비 높은 독서를 약속한다.
Contents
프롤로그
1 하동 평사리_소설의 시작과 끝
《토지》는 왜 평사리에서 출발하는가?
소설의 ‘끝’, 끝나지 않은 이야기
2 지리산_반역과 생명의 공간
지리산으로 가는 사람들
반역과 저항의 공간
화해와 생명의 공간
3 간도와 용정_사잇섬, 굴러온 돌의 생존법
도피처 혹은 해방구
간도에서의 결정적인 세 장면
4 진주_이동과 정주定住, 혹은 제2의 고향
“철없는 아가씨들”, 박경리의 여고 시절
서희가 진주로 간 까닭은?
근대적 모빌리티의 공간
5 통영_삶과 죽음, 재생의 뱃길
나의 살던 고향은
화물차 기사가 된 농부의 아들
통영 나비장과 해저터널에서 생긴 일
6 경성_말 많은 먹물들의 담론, 서사의 계기와 소문의 진상
‘역사’와의 접속, 경성발京城發 이야기
경성의 도시 경험과 식민지적 근대성
7 부산_공간의 이중성, 도시는 그렇게 만들어진다
‘연락連絡’의 도시, 모순의 공간
“두고 보자”, 저항과 투쟁의 논리
8 만주와 하얼빈_고토 회복의 의지, 동포에 대한 헌사獻辭
왕년에 우리는, 재만在滿 동포에 대한 헌사
영웅과 보통 사람들의 역사 이야기
9 연해주_그곳에 우리가 있었다
‘연해주’라는 심상지리心象地理
초개草芥처럼, 노블리스 오블리주
10 일본_선비와 농민, 무사武士와 상인
지키지 못한 두 가지 약속
《토지》 속 한·일 문화 비교론
에필로그
자료
《토지》 각 부部 줄거리
《토지》 문학기행 가이드
참고문헌
Author
이승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박경리의 토지 연구>,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형성과 전개>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와 역사소설에 대한 관심은 주로 역사드라마를 집필했던 아버지의 세례를 받은 것이다. 2002년 한국연구재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부터 박경리와《 토지》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였다.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임대우 강의교수를 거쳐 현재는 인천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근대문학회의 공동대표를 지냈으며, 지금은 대중서사학회 기획위원장, 한국문학연구학회와 토지학회의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박경리 선생님 사후 원주 ‘박경리 문학의 집’과 하동 ‘박경리 문학관’의 조성과 콘텐츠 작업을 진행하였다. 지은 책으로《 박경리의 토지 연구》,《 독자와 함께 읽는 토지》,《 아이와 함께 읽는 동화 토지》,《 근대 역사 담론의 생산과 역사소설》, 《토지사전》(공저),《 토지의 문화지형학》(공저),《 한국 근대문화와 박경리의 토지》(공저),《 토지와 공간》(공저),《 토지인물열전》(공저)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박경리의 토지 연구>,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형성과 전개>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사와 역사소설에 대한 관심은 주로 역사드라마를 집필했던 아버지의 세례를 받은 것이다. 2002년 한국연구재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부터 박경리와《 토지》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였다.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전임대우 강의교수를 거쳐 현재는 인천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근대문학회의 공동대표를 지냈으며, 지금은 대중서사학회 기획위원장, 한국문학연구학회와 토지학회의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박경리 선생님 사후 원주 ‘박경리 문학의 집’과 하동 ‘박경리 문학관’의 조성과 콘텐츠 작업을 진행하였다. 지은 책으로《 박경리의 토지 연구》,《 독자와 함께 읽는 토지》,《 아이와 함께 읽는 동화 토지》,《 근대 역사 담론의 생산과 역사소설》, 《토지사전》(공저),《 토지의 문화지형학》(공저),《 한국 근대문화와 박경리의 토지》(공저),《 토지와 공간》(공저),《 토지인물열전》(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