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분 글씨 교정 (중등용)

$5.40
SKU
979116035070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6/10
Pages/Weight/Size 182*257*5mm
ISBN 9791160350708
Categories 청소년 > 청소년 생활/자기관리
Description
바른 글씨 쓰기를 통해 자기 글씨를 교정하고
평화 감수성을 키운다!
훈민정필체를 바탕으로 한 바른 글씨 교정 노트.


『하루 10분 글씨 교정』 (중등용)은 훈민정필체를 사용하여 바른글씨를 쓰도록 한 글씨교정 워크북이다. 이 책은 바른 손글씨 쓰기를 위해 노력해 온 송병훈(훈민정필체 개발자) 원장이 바른 손글씨 연습을 위해 개발한 훈민정필체를 바탕으로, 글씨 교정 연습과 평화 감수성을 키우기 위해 평화 문장 쓰기로 이루어졌다. 자음쓰기, 모음쓰기, 한 글자 쓰기, 두 글자 쓰기, 받침글자 쓰기 등 바른 손글씨 쓰기를 위한 기본 연습을 한 후에, 조재도(시인, 청소년평화모임 일함) 작가가 청소년들의 평화감수성을 키우기 위해 쓴 평화 문장 쓰기를 하면 된다.

특히 이 책은 다른 글씨 교정 책과는 달리 중고생들의 감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평화 문장을 뽑아 제시했다는 특징이 있다. 격언이나 속담 등 고리타분한 문장을 연습 문장으로 제시한 다른 책과 다르게 이 책은 주어진 평화문장 연습을 통해 평화에 대해 알고, 느끼고, 행할 수 있도록, 그리하여 일상에서 평화감수성을 기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ontents
자음 쓰기
모음 쓰기
한 글자 쓰기
두 글자 쓰기
받침글자 쓰기
평화 문장 쓰기
영어 알파벳 쓰기
숫자 쓰기
Author
조재도,송병훈
1957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청양에서 자랐다. 1985년 『민중교육』지에 시 「너희들에게」 외 4편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이 일로 필화를 겪었으며 그 후 두 차례 학교 현장을 떠나기도 하였다. 2012년 그동안 근무한 학교에서 퇴임하였고, 청소년들이 평화롭기 위해서는 어른들이 먼저 평화로워야 한다는 취지에서 ‘청소년평화모임’ 일을 10년째 하고 있다.

시 쓰기와 어린이 청소년 문제에 관심이 많아 『산』, 『소금 울음』 같은 시집과 『이빨 자국』, 『불량 아이들』 같은 청소년 소설, 『넌 혼자가 아니야』, 『쥐똥나무 똥똥이』, 『전쟁 말고 평화를 주세요』 같은 동화와 그림책을 펴내기도 하였다.

요즘엔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밥 먹고, 산에 가고, 글 쓰고, 책 읽는 일을 주로 한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 행동 반경이 좁아지면서 그야말로 단출한 생활을 한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그런 생활 속에 걸러져 나온 것들이다. 내가 듣고 읽고 생각한 말이나 문장을 고갱이 삼아 그것에 관련한 사유를 짧게 풀어낸 것이다. 인생을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나누고 싶은 ‘인생의 말’이다.
1957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청양에서 자랐다. 1985년 『민중교육』지에 시 「너희들에게」 외 4편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이 일로 필화를 겪었으며 그 후 두 차례 학교 현장을 떠나기도 하였다. 2012년 그동안 근무한 학교에서 퇴임하였고, 청소년들이 평화롭기 위해서는 어른들이 먼저 평화로워야 한다는 취지에서 ‘청소년평화모임’ 일을 10년째 하고 있다.

시 쓰기와 어린이 청소년 문제에 관심이 많아 『산』, 『소금 울음』 같은 시집과 『이빨 자국』, 『불량 아이들』 같은 청소년 소설, 『넌 혼자가 아니야』, 『쥐똥나무 똥똥이』, 『전쟁 말고 평화를 주세요』 같은 동화와 그림책을 펴내기도 하였다.

요즘엔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밥 먹고, 산에 가고, 글 쓰고, 책 읽는 일을 주로 한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 행동 반경이 좁아지면서 그야말로 단출한 생활을 한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그런 생활 속에 걸러져 나온 것들이다. 내가 듣고 읽고 생각한 말이나 문장을 고갱이 삼아 그것에 관련한 사유를 짧게 풀어낸 것이다. 인생을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나누고 싶은 ‘인생의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