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터치리스, 홈워킹…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10년의 변화가 1년 안에 일어났다!
미래를 새롭게 그려야 할 10대를 위해 ICT 전문가들이 말하는가장 현실적이고 생생한 미래 직업의 세계!
『10대가 알아야 할 미래 직업의 이동』은 ICT 전문가인 저자들이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미래가 어떻게 변하는지, 앞으로 어떤 직업이 유망한지, 비전 있는 직업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더불어 유망 직업군을 지식 중심 직업, 기술 중심 직업, 예술 중심 직업, 더불어 사는 삶에 관심이 큰 직업 등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공부하라’라는 잔소리 대신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왜 공부가 필요한지를 명쾌하게 전달함으로써 10대들의 진로 고민에 충실하게 답하고 있다.
Contents
프롤로그 | 코로나 팬데믹이 더욱 앞당긴 새로운 세상 앞에서
Part 1 ‘나’를 마주하다
01 세상의 중심은 나
02 나를 발견하는 시간: 이력서·자기소개서 써 보기
03 생각의 힘: 보일 때까지 생각하라
04 경험이 적성을 만든다
05 틀을 깨고 세상 밖으로
김영미 쌤의 칼럼 ① ‘나’를 잊고 사는 아이들
Part 2 10년 후, 달라질 미래
01 20세기 영어 = 21세기 ICT
02 인간은 필요 없다?
03 세상을 보는 눈
04 나만의 무기가 필요하다
05 10개의 직업
김영미 쌤의 칼럼 ② 사회가 변해도 아이들의 꿈은 늘 같다?
Part 3 나의 미래를 찾아서
01 지금은 사라진, 그리고 곧 사라질 직업들
02 미래에 주목받을 직업의 주요 특징
03 지식 중심 직업의 미래
04 기술 중심 직업의 미래
05 예술 중심 직업의 미래
06 더불어 사는 삶에 관심이 큰 직업의 미래
김영미 쌤의 칼럼 ③ 우리 모두는 나무다
Part 4 미래를 위한 준비
01 국·영·수보다 중요한 미래 찾기 공부
02 4차 산업혁명 이해하기
03 인문학적 지식은 IT를 이해하는 기본
04 세상의 트렌드에 우리의 감각을 열자
05 나만의 자유 학기제를 디자인하라
06 미래 직업 찾기: 지도 그리기
김영미 쌤의 칼럼 ④ 진짜 해 주고 싶은 말
주요 용어 해설
Author
박종서,신지나,민준홍
KT경제경영연구소, 미디어본부 등에서 25년간 ICT 연구와 뉴 BM사업을 추진했다. 특히 KT경제경영연구소에서 데이터의 미래 가치와 자산화에 관심을 갖고 데이터 마이닝 전문가로 경력을 쌓았으며, 미디어본부에서는 신규 미디어 서비스 등의 콘셉트 개발과 론칭을 다수 추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통신법 개정이 통신 시장 참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이를 발판으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에서 미디어 경영론 강의를 하며 미디어법 개정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경기도청 빅데이터 담당관으로 재직하며 차세대 ICT 융합 기반 미디어, 빅데이터 분야의 이론과 실제를 접목하는 사업을 진행하였고 현재는 선문대학교 국제경제통상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KT경제경영연구소, 미디어본부 등에서 25년간 ICT 연구와 뉴 BM사업을 추진했다. 특히 KT경제경영연구소에서 데이터의 미래 가치와 자산화에 관심을 갖고 데이터 마이닝 전문가로 경력을 쌓았으며, 미디어본부에서는 신규 미디어 서비스 등의 콘셉트 개발과 론칭을 다수 추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통신법 개정이 통신 시장 참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이를 발판으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에서 미디어 경영론 강의를 하며 미디어법 개정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경기도청 빅데이터 담당관으로 재직하며 차세대 ICT 융합 기반 미디어, 빅데이터 분야의 이론과 실제를 접목하는 사업을 진행하였고 현재는 선문대학교 국제경제통상학과에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