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연령대 여성빈곤이 확대되어 가고 있으나 이에 대한 관심과 구체적인 실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여성 근로빈곤의 문제를 노동시장 측면에서 조망하고 이에 대한 정책을 모색하고 있다. 근로의 문제로 빈곤을 해결하는 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근로연령대인 15세 이상 54세 이하 인구 중에서 가구균등화소득의 중위소득 60% 미만인 상대적 빈곤인구로 정의하고, 이들의 특성과 노동시장 현황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문제
4. 연구의 방법
Ⅱ. 문헌연구와 정책 동향
1. 문헌연구
가. 왜 여성 근로빈곤 이슈에 주목해야 하는가?
나. 여성의 취업은 가구빈곤을 완화하는가?
다. 정부의 여성 고용지원정책은 빈곤완화에 도움을 주는가?
2. 정책의 흐름과 여성 근로빈곤 이슈들
가. 근로연계 복지정책의 개념정의와 대상 사업
나. 근로연계 복지정책의 흐름
다. 정책에서 나타난 여성 빈곤의 이슈들
Ⅲ. 여성근로빈곤의 변화
1. 여성 빈곤의 규모
가. 절대적 빈곤기준을 사용한 여성빈곤의 규모
나. 상대적 빈곤기준을 사용한 여성빈곤의 규모
다. 남녀 빈곤의 규모
2. 빈곤 여성 가구주
가. 노동시장 참여 현황
나. 인적자본 현황
3. 빈곤 여성 개인
가. 노동시장 참여현황
나. 인적자본 현황
4. 소결
Ⅳ. 여성근로빈곤 정책의 효과
1. 분석대상과 방법
가. 분석대상 정책
나. 분석방법
2. 분석결과
가. 취업변화에 미치는 정부정책의 효과 분석
나. 빈곤상태변화에 미치는 취업의 효과 분석
다. 취업지원정책이 빈곤상태 변화에 미치는 이중차이 효과
3.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