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는 2015년부터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미래준비위원회와 KISTEP, KAIST가 힘을 모아 대한민국을 변화시킬 중요 미래 이슈를 분석하여 출간해온 ‘10년 후 대한민국’ 시리즈의 다섯 번째 책으로, 기존의 생산 및 제조 시스템에 소위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과거와 달리 네트워크,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으로 소비자의 소비 성향이 직접 반영되고, 제조가 서비스로 확대되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생산과 소비가 결합되는’ 가히 혁명적인 구조 변화를 다룬 책이다.
『10년 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는 초연결성, 융합 등으로 대변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생산과 소비가 융합되는 ‘생산과 소비 혁명의 의미’와 그에 따른 미래전략의 필요성 제기, 주요국 대응 현황 고찰에서부터 생산과 소비 혁명의 동인 및 주요 트렌드, 혁신 사례 소개 등을 통한 생산과 소비의 변화 전망, 생산과 소비의 변화 속에서 우리의 현주소와 주요 산업 분야별 전망, 미래형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 생산?소비 영역의 혁신 창출 역량 제고, 제도와 인프라 마련, 새로운 문화와 윤리 확립 등 생산과 소비 혁명 시대와 관련된 미래전략을 총망라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직접 생산?제조를 담당하고 있는 기업은 물론이고, 거기에서 일하는 개인들, 그리고 대한민국을 운영하며 미래 경쟁력을 찾고 있는 정부와 사회에 대해 제대로 된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