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작가가 『유시민의 논술 특강』에서 논술 교양서로 적극 추천한 책!
20가지 주제를 따라가는 세계 고전의 핵심을 이 한 권에 담았다!
모든 논리적 글쓰기를 아우르는 고전 100종!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에게 읽힌 고전은 논술의 좋은 양식이다. 이 책은 논술을 처음 시작하는 이들을 위해 기획된 것으로, 다양한 생각을 담은 고전을 20개의 주제별로 분류하여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매일 하루 10분 20가지 주제의 인문 고전을 따라가면서 수능 세대의 문해력을 높인다. ‘삶의 자세’, ‘인간 소외’, ‘과학 기술과 과학철학’, ‘법과 도덕’, ‘여성’, ‘교육’, ‘소수자와 인권’ 등 총 20개의 주제 당 평균 5종의 고전을 소개한다. 법정의 『무소유』를 비롯하여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등의 쟁점을 제기하고 전체 줄거리를 요약한다. 아울러 ‘한 구절 경구’와 ‘문답 하나’, 저자를 소개하여 이해를 심화한다.
Contents
1부 삶의 자세
1. 삶의 자세에 대한 뱃사공의 충고 : 권근 〈주옹설〉
2. 소유와 무소유의 가치 : 법정 〈무소유〉
3. 하늘에서 잠시 빌린 인생 : 이곡 〈차마설〉
4. 극한 상황에서 발휘되는 인간의 휴머니즘 : 알베르 카뮈 《페스트》
5. 가치 있는 비행 : 리처드 바크 《갈매기의 꿈》
2부 인간 소외
6. 우정은 상점에서 팔지 않는다 :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7. 벌레가 되어버린 인간 : 프란츠 카프카 《변신》
8. 부조리한 사회와의 동행 : 알베르 까뮈 《이방인》
9. 소유 양식에서 존재 양식으로 : 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
10. 대중문화의 대중 소외 : 데이비드 리스먼 《고독한 군중》
3부 정보화 사회
11. 정보화 사회의 전망과 실현 : 앨빈 토플러 《제3의 물결》
12. 정보 통제의 어두운 전망 : 조지 오웰 《1984》
13. 정보화 사회의 그늘 : 데이비드 솅크 《데이터 스모그》
14. 속도 숭배의 이면 : 피에르 쌍소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
15. 느림의 가치 : 밀란 쿤데라 《느림》
16. 정보화 사회의 사회상 : 다니엘 벨 《정보화 사회의 사회적 구조》
4부 과학기술과 과학철학
17. 디스토피아의 미래상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18. 과학 발전은 패러다임의 전환 :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19. 삶의 부분과 전체로서의 과학 : 하이젠베르크 《부분과 전체》
20. 열린 사고로서의 과학 : 칼 포퍼 《열린사회와 그 적들》
21. 진화하는 과학철학 : 앨런 차머스 《현대의 과학철학》
5부 환경
22. 중간기술의 지혜 : 에른스트 슈마허 《작은 것이 아름답다》
23. 물리학의 사회학적 변용 : 제레미 리프킨 《엔트로피》
24. 지구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생명체 : 제임스 러브록 《가이아》
25. 자연은 침묵으로 경고한다 :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26. 생태론적 삶을 위한 단상 : 김종철 《간디의 물레》
6부 생명 윤리
27. 의사는 죽음의 약을 주지 않는다 : 히포크라테스 《의학 이야기》
28. 동물의 생명윤리 : 피터 싱어 《동물해방》
29. 자살은 개인의 문제인가? : 에밀 뒤르켐 《자살론》
30.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대화 : 도정일·최재천 《대담》
7부 개인과 사회
31. 인간과 사회의 관계 :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32. 닫힌사회의 전형 : 조지 오웰 《동물농장》
33. 사회는 만인의 투쟁의 장 : 토머스 홉스 《리바이어던》
34. 사회적 개인의 곤경 : 라인홀드 니버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35. 근대 자유 정치의 이론서 : 존 로크 《통치론》
8부 갈등과 합리적 의사 결정
36. 갈등의 합리적 조정 : 마이클 샌덜 《정의란 무엇인가》
37. 소시민의 갈등과 해소 방식 :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38. 교실 사회로 본 권력의 흥망사 : 이문열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39. 정부에 저항해야 할 권리 : 헨리 데이비드 소로 《시민의 불복종》
40. 최소 수혜자에게 우선 혜택을 : 존 롤스 《사회정의론》
9부 법과 도덕
41. 삼권 분립의 사상적 기초 :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
42. 직무와 인륜 사이 : 여불위 《여씨춘추》
43. 법과 양심의 사이에서 : 빅토르 위고 《레 미제라블》
44. 도덕과 종교의 두 기준 : 앙리 베르그송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45. 법과 인륜 사이의 정당한 기준 : 공자 〈논어〉
10부 여성
46. 남녀의 역할은 정해진 것인가? : 마가렛 미드 《세 부족사회에서의 성과 기질》
47. 여성은 제2의 성이다 :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48. 여성의 여성 인식 :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
49. 욕망하는 여성의 사회적 배경 : 구스타브 플로베르 《마담 보바리》
50. 유럽을 울린 여성주의 : 헨리크 입센 《인형의 집》
11부 학문과 진리 탐구
51. 경험적 지식만이 진리다 : 프랜시스 베이컨 《신기관》
52. 의심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 르네 데카르트 《방법서설》
53. 학문의 목적은 덕성 완성 : 순황 《순자》
54. 진리 인식의 방법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55. 인문학 위기의 대안 : 아르놀트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2부 교육
56. 창의적 교육 이론의 철학적 기초 : 장 자크 루소 《에밀》
57. 동양 영재 교육의 기원 : 맹자 《맹자》
58. 만남을 통한 전인격의 대화 : 마르틴 부버 《나와 너》
59. 대안 교육의 실험 : A. S. 니일 《서머힐》
60. 억압받는 자를 위한 교육 : 파울로 프레이리 《페다고지》
61. 디지털 교육의 역습 : 닐 포스트먼 《교육의 종말》
13부 인간과 경제
62. ‘보이지 않는 손’의 경제 : 애덤 스미스 《국부론》
63. 기독교와 자본주의 :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64. 세계화의 그림자 : 마르틴·슈만 《세계화의 덫》
65. 세계화는 지구적 약탈이다 : 앤서니 기든스 《질주하는 세계》
66. 자본주의적 삶을 넘어 : 니어링 부부 《조화로운 삶》
14부 문화
67. 식인도 풍습 : 레비스트로스 《슬픈 열대》
68. 동양을 바라보는 서구인의 시선 :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69. 문화의 힘에 대한 관점 : 조지프 나이 《소프트 파워》
70. 전 국토가 박물관인 나라 :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1. 문화다원론의 지리적 요소 : 제리미 다이아몬드 《총 균 쇠》
15부 역사
72. 역사를 보는 눈 : 자와할랄 네루 《세계사 편력》
73. 문명론적 역사주의의 걸작 : 아놀드 토인비 《역사의 연구》
74. 인간을 중심에 두고 역사를 읽는 법 : 사마천 《사기》
75. 역사는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 : 신채호 《조선상고사》
76. 근대 합리적 역사주의의 고전 : 에드워드 카 《역사란 무엇인가》
16부 근대 이성비판
77. 근대의 주체와 객체의 구분 : 르네 데카르트 《성찰》
78. 도구적 이성에 대한 비판 :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일차원적 인간》
79. 대중 사회에서의 비판적 이성 : 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계몽의 변증법》
80. 패스트푸드의 합리성과 비합리성 : 조지 리처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81. 새로운 근대성에 대한 경고 : 박이문 《생태학적 합리성과 아시아 철학》
17부 예술
82. 예술의 목적은 무엇인가? : 톨스토이 《예술이란 무엇인가》
83. 예술의 효용은 무엇인가? : 정약용 〈악론〉
84. 예술혼과 현실 사이 : 황순원 〈독 짓는 늙은이〉
85. 서양미술사를 읽는 밝은 눈 : 에른스트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86. 미술 감상의 지평 : 최순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18부 소수자와 인권
87. 다름에 대한 편견 : 타하르 벤 젤룬 《인종차별, 야만의 색깔들》
88. 서로 다름을 읽는 문학의 걸작 : 조너선 스위프트 《걸리버여행기》
89. 소수자 문제의 시각 : 박재동 외 《사이시옷》
90. 아름다운 영혼과 신체 : 장영희 《내 생애 단 한 번》
19부 국제관계
91. 냉전의 흔적 : 새뮤얼 헌팅턴 《문명의 충돌》
92. 문명의 공존 가능성 : 하랄트 뮐러 《문명의 공존》
93. 문명의 공존을 위한 제언 : 세예드 모함마드 하타미 《문명의 대화》
94. 미국적 패권 전략의 전망 : 이매뉴얼 월러스틴 《미국 패권의 몰락》
95. 철학자가 구상한 세계 평화의 이론 : 임마누엘 칸트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20부 언어와 언론
96. 언어와 정신의 관계 : 허웅 〈말과 생각〉
97. 언어의 한계에 대한 고찰 :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논고》
98. 언어와 언론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문제들 : 버트란트 러셀《철학의 문제들》
99. 문장에 대한 밝은 생각 : 이태준 《문장강화》
100. 현대 언론과 미디어의 속성 :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Author
이시연,함영대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조의 주자학적 [대학] 해석과 성왕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학교에서 ‘미래를위한 동아시아 고전의 이해’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동아시아 경전 해석과 주자학, 조선 유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 「정조의 ‘만천명월 주인옹’ 천명에 대한 의미 재고」 등이 있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의 ‘SKKU논문대상’에서 2차례 장려상을 수상한 바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조의 주자학적 [대학] 해석과 성왕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학교에서 ‘미래를위한 동아시아 고전의 이해’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동아시아 경전 해석과 주자학, 조선 유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 「정조의 ‘만천명월 주인옹’ 천명에 대한 의미 재고」 등이 있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의 ‘SKKU논문대상’에서 2차례 장려상을 수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