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는 12개의 분과회를 구성하고, 분과위원장들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한국학과 조선학, 그 쟁점과 코리아학의 모색”이라는 공동의 연구주제로 이 책을 기획하였다. 1권에서는 언어·문학·역사·철학종교·예술의 영역에서, 2권에서는 정치·법률·사회·교육·민족통일·과학기술 영역에서 분단학문의 역사를 반추하고 코리아학의 길을 모색하는 연구성과를 담았다.
제1권 언어분과에서는 ‘남북 언어규범의 현황과 쟁점’, 문학분과에서는 ‘민족문학과 남북문학의 비교 연구’, 역사분과에서는 ‘분단사학의 극복을 위한 모색’, 법률분과에서는 ‘북한의 입법 및 법학연구 동향’, 철학종교분과에서는 ‘북한 종교사상 연구의 현재’, 예술분과에서는 ‘남북 공연 예술의 양상과 과제’를 주제로 정하였다.
Contents
발간사
[언어] 남북 언어 규범과 코리언 언어생활의 차이
남북 언어 규범의 어제와 오늘 /최호철- 북한 ??조선말규범집??(2010)의 개정과 의미 -
남북 언어 규범 통일의 두 가지 선결 과제 /이상혁- 규범 총칙 및 자모 이름과 순서를 중심으로 -
북한 드라마 ?우리 이웃들?을 통해 본 남북 언어 /서민정
[문학] 민족문학과 남북문학의 비교
민족문학의 두 얼굴/김성수- 한국문학과 조선문학의 헤게모니 쟁투로서의 개념사 -
북한 고전문학 자료 현황과 연구 동향 /김종군
재일조선인 시인 金時鐘의 언어 세계 /오카자키 료코- 2000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
심훈의 ‘주의자 소설’ 삼부작과 코민테른 ‘12월 테제’ /이해영
[역사] 분단사학의 극복을 위한 모색
남북한 한국 고대사연구 쟁점 검토 /조법종
남북 근현대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김재웅
이행기정의와 제주 4·3 /문경수- 일본에서 보는 시각 -
[철학종교] 북한 종교사상 연구의 현재
최봉익의 청허휴정의 사상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그 의의 /이병욱
북한 주민들의 종교적 심성(心性) 연구 /이지범
[예술] 남북 공연 예술의 양상과 과제
남·북 공연 교류의 흐름과 특이성 /한경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은 시대’의 경음악 노선 /모리 토모오미- 모란봉악단, 청봉악단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