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운기심어(雲氣心語) 1

자아-수신
$16.20
SKU
9791195681433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7/03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91195681433
Contents
운기도(雲氣道)
창도의(創道意)
서: 수행(序: 修行)
시: 심어(始: 心語)
운기원어(雲氣願語)
운기심원(雲氣心願)
운기희원(雲氣希願)
운기천(雲氣泉)
자아(自我)

1. 견아(見我)
1) 나를 제일 잘 알고 나를 가장 염려하고 진심으로 내가 잘 되기를 기원하는 것은 ‘나 자신’이다
2) 세상을 바라보는 것은 ‘나의 눈’이다
3) ‘나’는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고, 할 수 있는 것보다 할 수 없는 것이 더 많은 사람이다
4) 나는 세상의 기준도 아니고, 모범도 아니다
5) 지금 내 손가락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6) 나는 ‘어떤’ 사람인가를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이 나는 ‘누구’인가를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하고 시급한 일이다
7) 내 눈과 귀에 보이고 들리는 것이 세상사의 전부는 아니다
8) 내가 선택한 길이 내 운명의 길이고 최선의 길이다
9) 남의 얼굴에 묻은 오물(汚物)을 지적하려면 먼저 내 얼굴을 봐야 한다
10) 손안에 무엇이 있는지는 손을 쥔 사람만이 알고 있다
11) 나와 친한 사람들의 얼굴이 나의 얼굴이다
12) 타인의 삶이 ‘나의 삶’이다
13) 내 얼굴은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내 이름은 다른 사람들이 나를 부르기 위한 것이다
14) 내가 편하면 남이 힘들고 내가 힘들면 남이 편한 법이다
15) 성찰(省察)의 시작과 끝은 ‘내가 오늘 한 언행을 반추(言行 反芻)하고 바로 잡는 것’이다
16) 바닷가의 소금은 염부(鹽夫)가 만들고 내 마음속의 심한(心恨)은 내가 만든다
17) 가슴에 맺힌 한(恨)은 내가 ‘살아있다’는 증거다
18) 가슴에 한(恨)이 맺히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한(恨)을 가슴에 품고 살아가려는 ‘마음가짐’을 두려워해야 한다
19) 가슴에 한이 맺힌 사람은 말을 줄이고 손과 발을 부지런히 움직여야 한다
20) 남의 눈에서 눈물을 흘리게 하면 내 눈에서는 피눈물을 흘리게 되는 법이다
21) 죽은 뒤에 ‘이름’을 남기기 위해 애쓰는 것보다 ‘어떤 이름’을 남기기 위해 애쓰느냐가 더 중요하고 큰 의미를 갖는다
22) 자만심(自慢心)을 내세우는 삶은 빙판 위를 걷는 것과 같다
23) 목과 허리가 뻣뻣한 사람은 어두운 밤길을 혼자 걷는 사람과 다를 바 없다
24) 사람들은 대부분 남이 하는 것은 자기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5) 우매(愚昧)한 인간은 늘 자기가 다른 동식물보다 훨씬 더 진화하고 우월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26) 도적(盜賊)이 도적다울 때 세상은 살기 좋은 곳이 될 수 있다
27) 문을 열고 들어갈 때에는 반드시 문을 닫고 나올 때를 생각해야 한다
28) 개성 없이 사는 사람은 없다
29) ‘정결(淨潔)’을 초심(初心)으로 삼은 사람도 있지만, ‘오탁(汚濁)’을 초심으로 삼은 사람도 있다
30) 고목(古木)을 귀하게 여기는 사람도 있지만, 잡목(雜木)으로 여기는 사람도 있다
31) 거울은 시간을 비추는 도구다
32) 시간은 홀로 흘러가지 않는다
33)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모두 ‘지금 이 순간’ 함께하고 있다
34) 시간은 많은 것을 빼앗아 가지만, 많은 것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35) 물리적인 시간을 뒤로 돌리는 것은 신(神)도 할 수 없는 일이다
36) 흐르는 물을 되돌리면 흙탕물이 될 뿐이다
37) 과거는 과거이기 때문에 아름다운 것이다
38) 과거는 ‘칼집 속의 칼’과 같다
39) 사시사철 똑같은 모습으로 서 있는 나무는 없다
40) 시간의 흐름과 세월의 변화는 갓난아기를 사람으로 바꾸어 놓는다
41) 지나친 화장(化粧)은 심신을 병들게 하는 독초(毒草)와 같다
42) 인생을 낭비하건 허비(人生 浪費 虛費)하건 세월은 흘러간다
43) 가정(假定)은 사람의 의욕을 상실케 하고 심신을 병들게 하는 해로운 생각이다
44) 환상(幻想)은 사람을 파멸로 이끌어 가는 요물(妖物)이다
45) 평지(平地)에서 잘 달리는 사람은 험지(險地)에서도 잘 달리는 법이다
46)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은 사소(些少)해 보이는 것들이다
47) 흰 머리카락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은 없다
48) 착한 마음을 가지면 평온한 삶을 살 수 있다
49) 괴롭고 힘들게 살려면 내가 남에게 해준 것만 기억하면 된다
50) 외모가 뛰어나고 똑똑하며 인간성 좋고 건강하고 유능하기도 한 사람은 이상세계(理想世界)에나 존재하는 사람이다
51) 이상은 신의 세계이고 현실은 인간의 세계다

2. 인성(人性)
1) 양심과 신(良心 神)은 새의 양 날개와 같다
2) 인간 정기(人間 精氣)의 진화는 신체의 변화와 더불어 이루어졌다
3) 양심(良心)은 인간다움을 결정짓는 첫째 요소(要素)다
4) 인간의 본능과 비인간화는 함께 발맞춰 간다
5) 인성(人性)은 나무뿌리와 같다
6) 인성(人性)은 눈으로 볼 수 없지만 ‘인성의 발현(發現)은 눈으로 볼 수 있다
7) 가치관과 인생관(價値觀 人生觀)은 인간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성요소(人性要素)다
8) 가치관과 인생관은 사람의 눈, 귀와 같고 인내는 손발과 같다
9) 사람의 어리석음은 인성(人性)을 의복이나 장신구 정도로 여기게 한다
10) 사람의 마음속에는 마음으로 보고 듣고 보듬어주는 눈과 귀, 손이 자리 잡고 있다
11) 세상 사람들이 서로 ‘같음’과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인류가 인간성을 회복하는 첫걸음이다
12) 심성(心性)은 인간적인 환경 속에서 탄생하고 성장한다
13) 심성(心性)은 나뭇가지와 같아서 솟아나거나 휘어진 방향으로 계속해서 뻗어가고 자라는 법이다
14) 올바른 심성은 평정심이며 평상심 항상심(心性 平靜心 平常心 恒常心)이다
15) 착한 심성을 가진 사람은 늘 주위를 두루 살핀다
16) 사람의 손길은 마음이 가는 곳으로 향하고, 발길은 눈이 바라보는 곳으로 향한다
17) 미안함을 느끼고 잘못을 시인하며, 사과(是認 謝過)하는 것은 인간이 지닌 아름다운 심성이다
18) 신분(身分)은 인간의 심성을 바꾸기도 하는 위력적인 존재다
19) 사람의 심성은 날카로운 비수(匕首)와 같다
20) 한눈에 심성을 판단하는 것은 신(神)도 할 수 없는 일이다
21) 선한 마음은 물과 같고 악한 마음은 물감과 같다
22) 사람의 심신(心身)은 꽈배기와 같다
23) 그릇은 크기나 모양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재질 또한 중요하다
24) 은기지심(銀器之心)
25) 몸집이 크다고 해서 마음까지 큰 것은 아니다
26) 파란 마음을 가진 사람에게는 하늘이 파랗게 보이고, 검은 마음을 가진 사람에게는 검게 보이기 마련이다
27) ‘질투와 시기심(嫉妬 猜忌心)’에 젖은 삶은 검은색 안경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것과 다르지 않다
28) 사람은 선천적으로 거짓된 말과 행동을 하게끔 되어있는 존재다
29) 인간은 거짓을 즐기고 거짓에 환호하며, 생명 유지와 관계없는 짓을 일상적으로 하는 기이(奇異)한 존재다
30) 울음은 웃음보다 더 강력한 인간의 원초적 본성(原初的 本性)이다
31) 사람은 속성상 좋은 일보다는 나쁜 일을, 잘한 것보다는 잘못한 것에 더 관심을 갖고 따지려 한다
32) 봄날의 새싹은 파랗고 겨울의 낙엽은 노랗다
33) 개미의 발걸음과 인간의 발걸음은 그 지향점(指向點)이 다르지 않다
34) 장벽(障壁)은 바람의 방향을 바꾸고 햇빛을 막아 그늘을 만든다
35) 담장 안을 들여다보려면 담장 높이보다 키가 커야 한다
36) 사람들은 꽃의 아름다움에는 관심을 갖지만, 꽃의 줄기와 잎사귀에는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는다
37) 어린나무의 모습을 보면 성장한 모습을 짐작할 수 있고, 씨앗이 떨어진 땅을 보면 어떤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릴지 짐작할 수 있다.
38) 나무가 튼실하다고 해서 나무에 열리는 열매가 전부 튼실한 것은 아니다
39) 사람은 부모에게서 외모만 물려받는 게 아니다
40) 홀로 걷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의 심정을 헤아릴 수 있다
41) 인간의 사고방식(思考方式)은 ‘나무껍질’과 같다
42) 반딧불이는 스스로 불빛을 내지만 양초는 누군가가 불을 붙여야 비로소 불빛을 낼 수 있다
43) 흰 눈이 쌓인 곳에서 사는 사람은 소금더미를 보면 흰 눈을 떠올리고 소금밭에서 사는 사람은 흰 눈 더미를 보면 소금을 떠올린다
44) 소인배(小人輩)는 소인배일 뿐이다
45) 소인배(小人輩)에게는 ‘잘못한 일’이 없고, ‘잘한 일’만 있다
46) 사람의 눈과 입, 귀는 대나무와 같다
47) 50cm 높이 의자에 앉은 사람은 50cm 높이로 사물을 보고, 1m 높이 의자에 앉은 사람은 1m 높이로 사물을 바라보는 법이다
48) 신체가 더러운 사람은 어두운 곳을 좋아하고, 깨끗한 사람은 밝은 곳을 좋아하는 법이다
49) 개를 기르는 사람은 개를 닮아가고,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은 고양이를 닮아간다
50) 성한 콩 1알은 10명의 목숨을 살리지만, 썩은 콩 1알은 10명의 목숨을 빼앗는다
51) 보통 사람은 ‘눈’으로만 세월을 보고 느끼지만, 현명한 사람은 ‘눈과 마음’으로 보고 느낀다

3. 수심(修心)
1) 관운천지인(觀雲天地人)
2) 땅의 길은 누구나 볼 수 있는 길이지만, 하늘의 길은 누구나 볼 수 있는 길이 아니다
3) 사람의 뇌(腦)는 피부와 뼈로 둘러싸여 있어서 물로는 씻을 수 없다
4) 사람의 뇌(腦)는 거대한 산이나 바다와 다르지 않아 그 크기와 깊이를 헤아리기가 어렵다
5) 평온한 마음은 눈을 뜬 상태에서만 이룰 수 있다
6) 사물(事物) 보기를 마무리하는 것은 ‘마음’이다
7) 제아무리 큰 다이아몬드 원석이라고 해도 그 가치는 세공장인의 손에 의해 좌우되는 법이다
8) 연못의 물을 맑게 하기 위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밑바닥에 있는 퇴적물을 퍼내는 것이다
9) ‘배우고 익히고 실행하는 것’이 수도인(修道人)이 할 일이다
10) 그릇에 담아놓은 물은 시간이 지나면 증발해서 허공으로 사라진다
11) 수련(修練)은 계단 오르기와 같다
12) 조용한 빈방에 홀로 앉아 눈을 감고 있는다고 해서 마음이 저절로 맑아지는 것은 아니다
13) 옷을 빨아 빨랫줄에 널었다고 해서 마음 놓고 낮잠을 자서는 안 된다
14) 시끄러운 곳이건 한적한 곳이건 정기(精氣)를 집중할 수 있다면 그곳이 바로 ‘수도장(修道場)’이다
15) 수도는 이타행(修道 利他行)이다
16) 칼날을 잘 벼른 칼은 음식 재료를 베지만, 제대로 벼르지 않은 칼은 사람의 살을 벤다
17) 정기의 수련(修練)에 그치는 사람은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지만, 수행(修行)하는 사람은 부귀영화를 누릴 수 없다
18) 수련은 거울을 지니고 다니는 것과 같다
19) ‘지혜(知慧)’는 자신의 무지(無知)와 어리석음의 인정과 더불어 싹트기 시작한다
20) 어리석은 사람은 모르는 것을 안다고 말하지만, 현명한 사람은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말한다
21) 어리석은 사람은 과시(誇示)하기 위해 지식을 쌓고, 현명한 사람은 실생활에 활용하기 위해 지식을 쌓는다
22) 나이가 많아지면 우매(愚昧)한 사람은 피부를 씻고 닦지만, 현명(賢明)한 사람은 마음을 씻고 닦는다
23) 과거는 현자에게는 명경(賢者 明鏡)이고, 우자에게는 화근(愚者 禍根)이다.
24) 지식은 고대의 유물(知識 古代 遺物)과 같아서 사람에 따라 의미와 가치가 달라진다
25) 그릇에 아름다운 그림을 많이 그려 넣을수록 음식을 담기가 어려워진다
26) 그릇 안의 그림과 무늬는 빈 그릇일 때 진가(眞價)를 발휘한다
27) 옥으로 만든 고운 그릇도 깨끗이 씻고 닦지 않으면 더러워져서 오래지 않아 버려지게 된다
28) 마무리하는 행주가 깨끗해야 그릇을 깨끗이 닦을 수 있다
29) 의사라고 해서 병에 걸리지 않고 항상 건강하며, 종교직 종사자가 늘 올바른 행실을 하는 것은 아니다
30) 마음을 다스리려 하지 말고, 마음을 추스르는 방법을 터득해야 한다
31) 두려움은 인간 존재성의 뿌리다
32) 불안(不安) 심리의 대부분은 무지(無知)에서 비롯된다
33) 사심은 사심(邪心 些心)에서 시작된다
34) 사념(邪念)은 어둠 속에서 고독을 즐기며 발동(發動)할 날을 손꼽아 기다린다
35) 원망(怨望)은 발바닥에 난 종기와 같다
36) 불평불만은 자기의 무지와 무능을 감추고 부인하면서 시작된다
37) 원망하는 마음은 가시와 같고 포용하는 마음은 솜사탕과 같다
38) 늙어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은 ‘공부와 연구’이다
39) ‘따라 하기와 흉내 내기’ 그리고 ‘이어가기’가 아니었다면 인간은 존재할 수 없었다
40) 가르침과 배움은 두 개의 짧은 다리와 두 개의 긴 다리를 가진 동물과 같다
41) 잘 익은 과일은 입을 즐겁게 하고 몸에 영양분을 공급하지만, 설익은 과일은 입을 더럽히고 몸에 해악을 끼친다.
42) 사람은 생각하는 만큼 지혜로워지고, 움직이는 만큼 건강해진다
43) 공부를 열심히 해서 지식을 많이 쌓은 사람은 애벌레와 다르지 않다
44) 세상은 인생의 학교이고, 자연은 가장 좋은 스승이다
45) 나무가 공예전문가의 손을 거치면 공예품이 되고, 주방전문가의 손을 거치면 주방제품이 된다
46) 세상에는 나만 알고 남들은 모르는 것이 있고, 남들은 알고 나만 모르는 것이 있다
47) 세상 사람들 모두가 하는 일이라고 해도 하지 않는 사람이 있고, 세상 사람들이 모두 하지 않는 일이라도 누군가 하는 사람이 있다
48) 곡예운전이나 난폭운전은 다른 운전자들의 양보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49) 차가운 물이나 단단한 얼음덩어리도 열을 가하면 끓는 물이 되고, 펄펄 끓는 뜨거운 물이라도 상온에 두면 차가운 물이 되는 법이다
50) 희생과 살생(犧牲 殺生)을 판가름하는 것은 인간의 의식과 행동이다
51) 내가 직접 보고 듣고 확인한 것을 믿고 따라야 실수를 줄일 수 있다
52) ‘쓴맛’, ‘단맛’ 가려 먹기보다 나쁜 것은 ‘쓴소리’, ‘단 소리’ 가려듣기다
53) 아기가 일어서기를 시작할 때 스스로 일어서면 비교적 긴 시간 서 있지만, 부모가 일으켜 세웠을 때에는 금방 주저앉는다
54) 아기가 처음으로 일어서서 걸으려면 주변에 무언가 짚고 일어서거나 의지할 수 있는 것이 있어야 한다
55) 아기가 기어 다니고 일어서서 걷다가 마침내 어른이 되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56) 눈을 감으면 보이는 것은 없어지지만, 여전히 귀는 소리를 듣고 코는 냄새를 맡는다
57) 남의 눈과 귀가 없으면 사람의 입은 커지고 손과 발은 거칠어진다
58) 인간의 삶은 ‘눈은 위로 향하고, 발은 아래로 향하는’ 것이어야 한다
59) 인간의 눈은 하늘과 땅의 중간을 바라보게 되어있다
60) 사람의 눈을 가리는 것은 하늘에 먹구름이 낀 것과 같은 것이다
61) 속이 텅 빈 깡통보다 더 시끄러운 것은 ‘조약돌 몇 개가 든 빈 깡통’이다
62) 웃음은 웃음으로 이어지고 울음은 울음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63) 웃고 싶으면 웃는 표정을 지으면 되고, 울고 싶으면 우는 표정을 지으면 된다
64) 비와 눈은 지상(地上) 어디든 가리지 않고 내려와 물줄기를 이루며 묵묵히 흘러간다
65) 젊은 육체는 의지를 받쳐 주지만, 노쇠한 육체는 받쳐주지 못한다

4. 근신(謹愼)
1) 나를 ‘이기는 것’보다 나를 ‘낮추는 것’이 더 쉽고 간편한 일이다
2) 이기심은 이기행과 자타공멸로 이어지고, 이타심은 이타행과 자타공생으로 이어진다(利己心 利己行 自他共滅 利他心 利他行 自他共生)
3) 근신(勤愼)하는 모습은 발밑에서 개미를 찾는 것과 다르지 않다
4) 나를 낮추는 것은 샘물가에 물컵을 갖다놓는 것과 같다
5) 인사할 때 고개를 숙이는 정도는 근신의 척도(謹愼 尺度)다
6) 나를 드러내지 않는 것이 겸손(謙遜)의 전부는 아니다
7) 자연의 고마움을 모르는 인간은 미물(微物)만도 못한 존재다
8) 늘 미소 지으며 고개 숙여 인사하면 적(敵)을 만날 기회가 줄어든다
9) 뇌(腦)는 머리뼈 안에서 보호받는 연약한 존재다
10) 그릇된 지식은 머리를 무겁게 하고, 올바른 지식은 머리를 가볍게 한다
11) 아는 것이 많으면 두뇌가 커지고, 말이 많으면 입이 커진다
12) 혼자 있을 때에는 머리를 조심해야 하고, 둘이 있을 때에는 입을 조심해야 한다
13) 원칙은 징검다리와 같다
14) 강물을 건널 때에는 강물이 깊건 얕건 간에 조심해야 한다
15) 사람의 의지(意志)는 ‘방향(方向)’이 ‘정도(程度)’ 못지않게 중요하다
16) ‘나’를 알아야 극기(克己)할 수 있다
17) 극기는 나를 향한 것이 아니라 남을 향한 것이다
18) 극기는 밑 빠진 항아리에 물을 붓는 것과 같다
19) 예쁜 만두를 빚으려면 만두소를 적당히 눌러주어야 한다
20) 종기가 완전히 곪아야 비로소 웃을 수 있게 된다
21) 옳지 않은 일을 하는 사람은 세상에 단 한 명도 없다
22) 손과 발이 입보다 앞서가면 나중에 후회할 일이 많아지게 된다
23) 사람들이 구름의 그늘에서 시원할 수 있는 것은 구름이 태양의 빛과 열기를 막아주기 때문이다
24) 정상에 오르는 것은 많은 사람 앞에 벌거벗고 서 있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것이다
25) 진정한 용기는 사과와 사죄(眞正 勇氣 謝過 謝罪)의 말로부터 시작된다
26) 자리에 누울 때에는 반드시 누울 자리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
27) 비 오는 날에는 가장 멋진 자세를 취해도 그림자가 생기게 할 수 없다
28) 사람이 아무리 빨리 달려도 태양이 있는 한 자신의 그림자를 없앨 수 없다
29)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받지 않는 것은 불필요한 자존심의 발로가 아닐 수 없다
30) 부끄러운 것은 남에게서 도움을 받은 것이 아니라 도움을 받은 대가로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지 않는 것이다
31) 문을 열 때에는 나를 향해 열고, 문을 닫을 때에는 뒤를 돌아봐야 한다
32) 우산이 크면 비는 많이 가릴 수 있지만, 시야(視野)는 좁아진다

5. 정사(正邪)
1) ‘사실’은 ‘진실’보다 힘이 세다
2) 99.99%의 확률이 사실을 진실로 확정 짓는 것은 아니다
3) 대다수 사람이 십중팔구 ‘진실은 오직 하나’라고 생각한다
4) 한 사람이 행하면 부정이나 불공정(不正 不公正)한 것이더라도 여러 사람이 행하면 정당하고 공정(正當 公正)한 것이 된다
5) 진리는 단순하지만 진리를 찾는 길은 지난(至難)하듯이, 진실 또한 단순하지만 진실에 이르는 길은 고난(苦難)한 법이다
6) 카멜레온은 수시로 몸의 색깔을 바꾼다
7) 거짓은 ‘거짓’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8) 동굴에 들어가 본 사람의 말은 ‘머리와 가슴’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사진이나 그림으로 본 사람의 말은 ‘머리’로만 받아들여진다
9) 거짓은 유령 같은 존재다
10) ‘초승달과 그믐달’을 구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11) 사과 맛은 ‘사과 맛’이 아니고, 귤 맛은 ‘귤 맛’이 아니다
12) 그림자는 사물의 모습이 비친 것에 지나지 않는다
13) 사람들은 선물의 값어치가 포장 상자의 모양과 같으리라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14) 큰 거짓말은 과욕(過慾)을 미끼로 삼는다
15) 진실은 ‘사실’이라는 유리그릇에 담긴 내용물과 같다.
16) 진실에 대한 오해는 진실만이 풀 수 있다
17) 진심과 정성(眞心 精誠)은 잘 닦여진 등산로와 같다
18) 양심(良心)은 인간만이 지키고 따르는 것이다
19) 선선악악(善善惡惡)
20) 선인(善人)은 남을 이롭게 하는 사람이고, 악인(惡人)은 남에게 해를 가하는 사람이다
21) 악한 사람과 상대하기 위해서는 악한이 되어야 하고, 선한 사람과 상대하기 위해서는 선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22) 세상에는 절대 선인(善人)이 없듯이 절대 악인(惡人)도 없다
23) 착한 사람은 작은 일에도 고마움과 미안함을 느끼지만, 나쁜 사람은 큰일에도 고마움이나 미안함을 느끼지 않는다
24) 사악한 사람은 감미로운 목소리로 속삭이면서 사람들의 입에 달콤한 사탕과 과자를 듬뿍 넣어준다
25) 유령과 사후세계는 사악한 사람들이 전유물(專有物)처럼 애용하는 미혹 수단(愛用 迷惑 手段)이다
26) 세상에 악마(惡魔)는 없지만, 악마 같은 인간(人間)은 있다
27) 사악(邪惡)한 인간은 ‘논리 함정’과 ‘논리 덫’을 이용해 뭇사람들을 유혹하고 조정하며 사리사욕을 채운다
28) 사람 위에 군림하며 사람을 부리는 것은 짐승이 사냥감을 갖고 노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짓이다
29) 나쁜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은 사람을 만나거나 직업을 선택할 때 ‘부귀영화(富貴榮華)’를 최우선 순위의 기준으로 삼는다
30) 사람들이 정의(正義)의 실현에 환호하며 박수를 치는 것은 ‘이기, 나약, 탐욕(利己, 懦弱, 貪慾)에서 기인(起因)한 행동이다
31) 아기가 놀라서 울 때 지혜로운 엄마는 아기를 품 안에 안고 젖을 물린다
32) 어둠은 불편하고 두렵기도 하지만, 눈부심이 없어서 눈이 피로를 느끼지 않고 편히 잠들 수 있게 한다
33) 사람은 방안에서 유리창 밖을 내다보며 즐기지만, 동물이나 곤충은 유리창 때문에 다치거나 생명을 잃기도 한다
34) 사진을 확대하면 할수록 사진 속 얼굴은 점점 더 흐려지고 알아보기 어려워진다
35) 의사(醫師)는 병(病)을 고치기도 하고 만들기도 하는 사람이다
36) 대중매체(大衆媒體 Mass Media)는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고’ ‘들려주는’ 기능을 하도록 만들어진 생활수단이다
37) 대중매체는 사물의 모양이나 크기, 색깔 등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요술경(妖術鏡)과 같다
38) 배고픈 사람에게 음식을 주면 감사(感謝)의 말을 듣지만, 배부른 사람에게 음식을 주면 홀대(忽待)의 말을 들을 수 있다
39) 손바닥이 가리는 것은 ‘눈’이지, ‘해’가 아니다
40) 천국과 지옥은 신(神)의 작품이 아니다
41) 천상에도 지하(天上 地下)에도 죽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은 없다

6. 욕심(慾心)
1) 하늘이 끝없이 높고 바다가 한없이 넓다고 해도, 인간의 욕심에 비하면 한낱 티끌에 불과하다
2) 욕심은 인간의 천성(慾心 人間 天性)이다
3) 인간은 너나 할 것 없이 이런저런 욕심(慾心)으로 가득 찬 큰 짐 꾸러미를 등에 지고 한평생을 산다
4)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갖고 싶은 것’이지, ‘부족한 것’이 아니다
5) 무욕도 욕심(無慾 慾心)이다
6) 개미 100마리가 하루 종일 먹는 음식을 다 합쳐도 사람 한 명이 먹는 한 끼 음식의 십 분의 일도 되지 않는다
7) 꿈은 이루어지지만, 환상은 사라지는 법이다
8) 제아무리 크고 아름다운 건축물이라도 산이나 바다보다 크거나 아름답지 않고, 단단한 바위와 쇠도 시간이 지나면 흙으로 돌아간다
9) 잠을 충분히 자고 배가 부른 아기는 울지 않는다
10) 어리석은 마음은 과욕과 오욕(過慾 汚慾)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11) 노욕(老慾)은 거울을 외면하면서 시작된다
12) 과욕필화(過慾必禍)
13) 집착은 화의 근원(執着 禍 根源)이다
14) ‘약점과 욕심(弱點 慾心)’은 사람을 낚기 위한 좋은 미끼다
15) 세상이 어지럽고 혼탁(混濁)한 것은 한 사람이 ‘돈, 명예, 권력’을 모두 가지려 하고,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16) 원하는 것을 얻으면 오래 소유하고 싶고, 원하는 자리에 오르면 오래 머무르고 싶은 것이 사람들의 한결같은 바람이다
17) 가진 자는 못 가진 자의 것을 가지려 하고, 못 가진 자는 가진 자의 것을 가지려 하는 법이다
18) 허기진 물고기의 눈에는 그물코가 대문짝만하게 보이는 법이다
19) 파리는 먹을 것을 보면 언제 어디서든 물불을 가리지 않고 덤벼든다
20) 쌀통이 비어야 쌀을 넣을 수 있다
21) ‘육체의 짐’은 가방과 같고, ‘마음의 짐’은 의복과 같다
22) 부귀영화는 양심과 반비례(富貴榮華 良心 反比例)하기 마련이다
23) 불붙지 않은 줄을 보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불붙은 부분의 한 뼘 옆을 잘라버리는 것이다
24) 무리의 맨 뒤는 그 뒤를 따르는 무리의 맨 앞이 된다
25) 부모는 늙어 죽을 때까지 ‘자식(子息)’이 ‘자식(子息)’이기를 바란다
26) ‘천수(天壽)를 누리고 고통 없이 편안하게 죽음을 맞으려는 바람’은 인간의 가장 크고 그릇된 욕심이다

7. 애증(愛憎)
1) ‘사랑과 미움’은 하늘을 흘러가는 구름과 같다
2) 사랑과 미움은 태양의 열기와 같다
3) 애정(愛情)은 지붕과 같다
4) 사랑을 얻는 데 필요한 것은 ‘진정으로 사랑하는 진실한 마음’이다
5) 사랑의 기쁨은 ‘주는 데’ 있다
6) ‘사랑’은 사람을 움직이는 데 매우 위력적인 수단 중 하나다
7) 사람을 화나게 하거나 슬프게 하기 위해서는 ‘한마디의 말’로 충분하지만, 기쁘거나 즐겁게 하려면 ‘열 마디의 말’이 필요하다
8) 내가 사랑하던 사람도, 나를 사랑하던 사람도, 내가 미워하던 사람도, 나를 미워하던 사람도 모두 언젠가는 내 곁을 떠난다
9) 웃음과 울음은 긍정?부정의 양면성을 갖고 있다
10) 웃고 싶을 때 웃고, 울고 싶을 때 울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11) 넘어진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일어나는 데 도움이 되는 손길이다
12) 기쁨은 ‘불’과 같고, 슬픔은 ‘물’과 같다
13) 재회(再會)의 기쁨은 인내(忍耐)의 결실이다
14) 상처는 누가, 언제, 어떻게 만져도 아픈 법이다
15) 미워하는 것은 환한 대낮에 손전등을 켜고 다니는 것과 같고, 사랑하는 것은 어두운 밤에 손전등 없이 사람의 뒤를 따라가는 것과 같다
16) 증오(憎惡)는 품 안에 칼을 지니고 있는 것과 같고, 분노(忿怒)는 자기 몸을 칼로 찌르는 것과 같다
17) 원한(怨恨)은 얼굴에 묻은 얼룩과 같고, 용서는 얼룩을 지우는 것과 같다
18) 얼굴에 묻은 얼룩이나 가슴에 맺힌 응어리는 빨리 씻고 해소해야 한다
19) 말만으로 이루어지는 용서(容恕)는 없다
20) 돌을 던진 사람에게는 돌이 아닌 떡이나 빵을 던지는 것이 좋다
21) 복수(復讐)는 얼굴의 주름을 늘리는 행위다
22) 복수는 항상 제일 약한 사람을 향하는 법이다
23) 악연도 인연(惡緣 因緣)이다
24) 나에게 음식을 주는 사람은 육체의 은인(肉體 恩人)이고, 옳은 말을 해주는 사람은 정기의 은인(精氣 恩人)이다
25) 병원에 가면 세상 사람들이 모두 환자 같아 보이고, 유원지에 가면 세상에는 온통 행복하고 즐거운 사람들만 있는 것처럼 생각되는 법이다.
26) 돈으로 얻는 행복은 돈의 액수만큼 지속되고, 손과 발로 얻는 행복은 손발을 움직일 때까지 지속된다
27)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 많다고 해서, 미워하는 사람이 없다고 해서 행복한 삶은 아니다
Author
이윤호
1955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 미동초등학교, 수송중학교와 보인상고를 졸업했다. 이후 숭전대 법학과와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을 거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한전선과 경향신문사에서 관리 및 영업업무를 담당했고,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관동대학교 한국언론재단에서 언론학과 홍보학 및 미디어교육 강사로 활동했다. 미디어평론가 홍보컨설턴트 미디어교육컨설턴트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광고로 본 한국 한국인』 (2002년 문화관광부 추천도서 선정), 『한국언론과 광고윤리』, 『중등교사를 위한 미디어교육 길잡이(공저)』, 『운기각행』, 『·한국신문의 광고윤리에 관한 분석적 연구』 등이 있다.
1955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 미동초등학교, 수송중학교와 보인상고를 졸업했다. 이후 숭전대 법학과와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을 거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한전선과 경향신문사에서 관리 및 영업업무를 담당했고,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관동대학교 한국언론재단에서 언론학과 홍보학 및 미디어교육 강사로 활동했다. 미디어평론가 홍보컨설턴트 미디어교육컨설턴트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광고로 본 한국 한국인』 (2002년 문화관광부 추천도서 선정), 『한국언론과 광고윤리』, 『중등교사를 위한 미디어교육 길잡이(공저)』, 『운기각행』, 『·한국신문의 광고윤리에 관한 분석적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