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본성과 행위 1

사회심리 서론|행위로 만들어지는 인간 본성 : 습관과 충동
$21.60
SKU
979119560344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2/10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91195603442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행위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인간 본성!


인간은 자연 속에서 이미 완성된 존재로 태어나지 않는다. 인간은 자연 속 경험으로서 행동과정을 거쳐 자기를 만들어가는 존재이다. 곧 자연 속에서 이미 완성된 어떤 존재로 태어나지 않은 인간은, 자연 속에서 자기 행동으로 다르게 바뀌어가는 중이다. 인간이 만들어낸 온갖 제도 역시 자연 속 경험인 만큼 결코 완결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대개 온갖 제도에 사로잡혀 그것이 바뀔 수 있는 것을 미처 모르고 살아간다. 이것이 속박이고 압박이며 불행이다.

듀이에게 사람이 불행한 것은 자기가 어떤 제도에 사로잡혀 살고 있는지를 미처 깨닫지 못하는 탓이다. 그러한 깨달음은 ‘해방’이며, 그것도 ‘위대한 해방’이다. 위대한 해방을 맞이하여, 사람들은 자기들이 살아갈 새로운 사회를 재구성해야 한다. 새롭게 재구성되는 사회는 민주주의이어야 한다. 민주주의는 사람들 사이에 어떤 차별과 구분이 없다는 평등주의 이념이다. 이러한 이념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그것이 언제 실현될지도 모른다. 확실한 건 그것은 우리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공동체 이념이라는 것이다.

듀이의 이러한 사상은 미국의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전반에 걸쳐, 특히 현대 정치철학에도 깊게 드리워진다(역자 해제 중 ‘만들어지는 공동체’ 부분 참조). 이러한 사상을 듀이는 『민주주의와 교육Democracy and Education』(1916), 『철학의 재구성Reconstruction in Philosophy』(1920), 『경험과 자연Expe?rience and Nature』(1925), 『경험으로서 예술Art as Experience』(1933) 등등에서 펼친다.
Contents
일러두기

-이 책을 펴내면서

머리말

1 장 행위과정에서 습관의 역할

1. 사회적 관계 맺기로서 습관
2. 습관과 의지
3. 성품과 행위과정
4. 관습과 습관
5. 관습과 도덕
6. 습관과 사회심리

2장 행위과정에서 충동의 역할

7. 충동과 습관변화
8. 충동의 신축성
9. 변화하는 인간 본성
10. 충동과 습관의 충돌
11. 본능의 분류방식
12. 배타적이지 않은 본능
13. 충동과 사유

존 듀이의 서론

-역자 해제
-찾아보기
Author
존 듀이,최용철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 교육운동가로서 기능심리학을 주창하였으며 미국의 학교 제도에 막대한 영향을 준 진보주의를 이끈 대표적 인물이다. 존 듀이는 미국 버몬트 주 버링톤에서 태어났으며 1879년 버몬트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철학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1884년 그곳에서 헤겔의 순수 이성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졸업 후 조지 실버스터 모리스의 도움으로 미시건 대학교의 교수진으로 임용되었다.

1894년 시카고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자신의 지식에 대한 경험주의적 신념과 학교 제도에 대한 실용주의적 주장을 펼쳤으며 시카고 대학에 재직하는 동안 존 듀이는 네개의 주요한 저작을 발표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시카고 실험 학교를 창립하여 자신의 주장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장을 만들었다. 이 기간에 발표된 그의 주요 저작은 1903년 『논리이론에 대한 연구(Studies in Logical Theory)』라는 제목으로 출간되기도 했다. 이후 콜럼비아 대학교로 이직하였으며 이 후 평생동안 이 대학의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 교육운동가로서 기능심리학을 주창하였으며 미국의 학교 제도에 막대한 영향을 준 진보주의를 이끈 대표적 인물이다. 존 듀이는 미국 버몬트 주 버링톤에서 태어났으며 1879년 버몬트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철학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1884년 그곳에서 헤겔의 순수 이성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졸업 후 조지 실버스터 모리스의 도움으로 미시건 대학교의 교수진으로 임용되었다.

1894년 시카고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자신의 지식에 대한 경험주의적 신념과 학교 제도에 대한 실용주의적 주장을 펼쳤으며 시카고 대학에 재직하는 동안 존 듀이는 네개의 주요한 저작을 발표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시카고 실험 학교를 창립하여 자신의 주장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장을 만들었다. 이 기간에 발표된 그의 주요 저작은 1903년 『논리이론에 대한 연구(Studies in Logical Theory)』라는 제목으로 출간되기도 했다. 이후 콜럼비아 대학교로 이직하였으며 이 후 평생동안 이 대학의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