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역사교과서 1

선사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37.80
SKU
979119077754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5/16
Pages/Weight/Size 182*257*20mm
ISBN 9791190777544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현재 대한민국 학생들은 검인정 역사 교과서를 통해 역사를 배우고 있다. 검인정교과서는 특정 출판사가 학자들과 교사들이 같이 편찬한 교과서를 출판하면 정부에서 합격·불합격 여부를 심사해서 합격한 교과서를 말한다. 따라서 국가가 제시한 집필 기준에 따르지 않으면 탈락하기 때문에 그 틀에서 벗어날 수 없다.

『대한민국 역사교과서』는 국가의 검열 과정이 없는 자유발행제 역사 교과서로 자유발행제 교과서는 학자들과 교사들이 검열 과정이 없이 학문의 다양성에 바탕을 두고 자유롭게 편찬하는 교과서를 말한다. 현재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 자유발행제 체제를 따르고 있다. 자유발행제 교과서는 검인정교과서보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고방식을 키워준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체제인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역사 교과서는 체제보다 그 내용이 중요한데, 『대한민국 역사교과서』의 내용은 대내적으로 민족 자주사관, 대외적으로 평화·공존 사관의 관점으로 서술하였다. 서술 체계는 구석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민족사의 발전 과정을 고르게 서술하였고, 서술 분량은 구석기부터 현대까지 각 단원을 고르게 서술하여 일관된 관점을 가지도록 하였다. 서술 특징으로는 각 시기가 모두 우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다.




Contents
자유발행제 역사교과서를 간행하면서

Ⅰ. 선사시대

1.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① 구석기시대와 인류 진화
② 신석기시대와 신석기혁명
2. 우리 민족의 선사시대
①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② 우리 민족의 직접적 조상들은 신석기인들
③ 동이족 요하 문명과 홍산 문화
④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

Ⅱ.역사시대의 전개와 고조선

1. 고조선 건국과 발전
①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하다
② 고조선 강역과 나라의 성격
2. 고조선 시기의 중원과 일본
① 중원 여러 민족과 국가들
② 고조선 주민들의 일본열도 진출
③ 고조선과 중원 국가들의 경계
3. 기자조선과 위만조선
① 삼조선과 기자조선
② 위만조선에 대한 이해
4.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① 위만조선과 한나라의 전쟁
② 한사군과 낙랑군
5. 고조선 경제·사회·문화
① 고조선의 경제
② 고조선의 법과 세금
③ 고조선의 종교
④고조선의 과학기술
⑤고조선의 문학과 예술

Ⅲ. 여러 나라 시대의 전개

1. 부여
①부여의 건국과 발전
②부여의 정치와 사회
③부여의 대외관계
④부여의 쇠퇴와 멸망
2. 삼한
①삼한의 실체
②삼한과 고구려, 백제, 신라
③마한의 멸망
④삼한의 풍속
3. 신라 전기사
①신라의 건국사화와 그 성격
②전기 신라의 발전
③전기 신라의 행정조직
4. 고구려 전기사
①고구려의 건국
②고구려 초기 도읍지와 강역
③전기 고구려의 정치제도와 영토확장
④후한과의 충돌
5. 백제 전기사
①백제 건국사화
②백제 건국 연대와 초기 도읍지
③백제 전기 중앙행정 조직
④백제 전기의 외교와 전쟁
6. 가야
①가야의 건국과 그 강역
②가야의 성장과 멸망
③가야계의 일본열도 진출
7. 최씨낙랑국
①최씨낙랑국의 기원
②낙랑군이 평양에 있었다고 조작한 유적과 유물들
③북한학계에서 발굴한 낙랑국 유적과 유물들
8. 읍루·동옥저·예
①읍루·동옥저·예의 위치
②서쪽에서 동쪽으로 이주한 국가들
③예와 예맥
④민족귀속성
⑤건국과 멸망시기
9. 왜
①왜국의 위치
②왜의 이동사

Ⅳ. 다섯 나라 시대의 통합과 발전

1. 백제 중기사
①백제의 성장과 고구려와의 충돌
②대륙을 경영하다
③열도를 경영하다
2. 고구려 중기사
①고구려와 선비족
②중기 고구려의 시련과 극복
③광개토대왕의 영토확장
④장수왕의 평양천도
3. 신라 중기사
①중기 신라의 비약적 발전
②진흥왕대 신라의 비상
4. 다섯 나라의 경제·사회·문화
①다섯 나라의 경제
②다섯 나라 시대의 수공업과 상업
③다섯 나라의 자연과학과 금속 기술
④다섯 나라 시대의 사회
⑤다섯 나라 시대의 생활풍습
⑥다섯 나라 시대의 문화

Ⅴ. 세 나라 시대와 동아시아 대전

1. 고수대전
①세 개의 전선을 가졌던 고구려
②제1차 고수대전
③제2차 고수대전
④제3차 고수대전과 수나라의 멸망
2. 고당대전
①당나라가 들어서다
②제1차 고당전쟁
③제2차 고당전쟁
3. 오국대전
①신라와 백제의 충돌
②신라, 당나라와 영토 분할 협정을 맺다
③백제, 멸망하다
④고구려, 멸망하다
4. 신당대전
①당나라, 영토 분할 협정을 어기다
②당나라를 패퇴시키다

Ⅵ. 두 나라 시대와 후기 세 나라 시기

1. 북조 대진국
①대진 건국
②대당 전쟁과 진국의 발전
③진의 사회구조
④진의 대외관계
⑤진의 경제와 사회문화
⑥진의 쇠퇴와 멸망
2. 남조 대신라
①대신라 출범과 그 강역
②후기 신라의 경제와 문화
③대신라의 문화
3. 후기 세 나라 시기
①서라벌의 번영과 지방의 위기
②후기 신라의 위기
4. 후기 세 나라 시기가 전개되다
①전국적인 농민봉기와 후기 세 나라 시기
②왕건이 궁예를 내쫓고 즉위하다
③삼한을 통합하다

Ⅶ. 고려시대

1. 고려 전기의 정치
①고려시대의 대외관계
②고려 건국과 체제 정비
③통치 체제를 정비하다
④문벌 귀족사회의 성립과 서경 천도 운동
⑤고려 전기의 대외전쟁
2. 고려 후기의 정치
①무신정권의 성립
②원의 침략과 항전
③고려 후기의 정치변화
④자주 노선의 등장과 갈등
⑤위화도 회군과 고려의 멸망
3. 고려의 경제
①고려의 기본경제구조
②신분별 경제활동
4. 고려의 사회
①고려의 사회구조
②백성들의 생활모습
③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5. 고려의 문화
①고려문화의 기본성격
②불교의 발전과 개혁운동
③과학기술의 발달
④여러 문화의 발달
Author
대한민국 역사교과서 편찬위원회
대한민국 역사교과서 편찬위원회는 역사 바로잡기라는 기치 아래 바른역사학술원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가 결성한 단체이다.
바른역사학술원은 2016년 미래로 가는 바른역사협의회의 학술조직으로 출범해서 학술지 《역사와 융합》을 2017년 12월부터 매년 2회씩 발행했고, 2024년부터 매년 6회씩 발행하고 있다. 현재 인문·사회학자를 중심으로 160여 명의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다. 《역사와 융합》은 2023년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에 등재되어 국내·외적으로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바른 한국사를 전 세계에 전파하고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는 1999년 중화 사대주의 노론사관과 일제 식민사관의 왜곡에서 벗어나 우리 역사의 바른 길을 찾고자 창립되었다. 바른역사학술원의 자매 연구기관으로 소속 회원들이 저술, 강연, 학술대회, 답사 등을 통해 바른 한국사를 연구하고 그 성과를 사회구성원들과 공유하려 노력하고 있다.
대한민국 역사교과서 편찬위원회는 역사 바로잡기라는 기치 아래 바른역사학술원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가 결성한 단체이다.
바른역사학술원은 2016년 미래로 가는 바른역사협의회의 학술조직으로 출범해서 학술지 《역사와 융합》을 2017년 12월부터 매년 2회씩 발행했고, 2024년부터 매년 6회씩 발행하고 있다. 현재 인문·사회학자를 중심으로 160여 명의 회원들이 활동하고 있다. 《역사와 융합》은 2023년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에 등재되어 국내·외적으로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바른 한국사를 전 세계에 전파하고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는 1999년 중화 사대주의 노론사관과 일제 식민사관의 왜곡에서 벗어나 우리 역사의 바른 길을 찾고자 창립되었다. 바른역사학술원의 자매 연구기관으로 소속 회원들이 저술, 강연, 학술대회, 답사 등을 통해 바른 한국사를 연구하고 그 성과를 사회구성원들과 공유하려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