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분단 보고서 1

$43.20
SKU
979116068824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5 - Wed 05/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Wed 05/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25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91160688245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우리에게 분단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우리에게 미국은 “어떤 나라”인가

이 책, 『한국 분단 보고서』는 그것이 한국의 분단에 관한 관변(官邊) 측의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일단은 보수주의적 우파의 시각에서 쓰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보고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무렵의 미국의 점령 정책, 분단의 결정 과정, 군정의 통치 목표와 통치 구조, 그리고 신탁통치와 미소공위에 관한 미국의 공식 입장이 어떠했던가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필자인 호그 박사(C. Leonard Hoag)가 미들버리대학(Middlebury College)의 교수로서 민간인 신분이기는 하지만, 이 글은 육군성 전사편찬실의 위촉으로 쓴 정책보고서(OCMH Monograph, No. 138P)이기 때문에 이것이 미국의 공식 입장이라고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며, 위에서 제기된 두 가지의 질문에 관한 해답을 얻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Contents
2023년판 역자 서문
2023년판 역자 서문: 해제(解題)를 겸하여
1992년판 역자 서문 : 미국, 그리고 방선주(方善柱) 교수에 관한 추억
1992년판 감사의 글
일러두기(약어 및 암호표)

제1부 정책과 계획(1941~1945)

제1장 한국에 관한 전쟁 초기의 계획
1. 외교 대상으로서의 한국 : 1941~1944
2. 민정을 위한 계획 : 1941~1944
3. 민정국과 국무성의 초기 계획

제2장 1945년의 전략 계획에서의 한국
1. 3성조정위원회(SWNCC)
2. 얄타회담과 그 이후
3. 일본에 관한 무력 공격 계획
4. 평화적 진주와 점령 계획
5. 포츠담의 외교
6. 38°선에서의 군사 항복

제2부 한국의 군사 점령

제3장 한국의 군사 점령에 관한 최종 계획
1. 한국에 관한 공수(空輸) 계획
2. “블랙리스트” 계획
3. “블랙리스트” 작전
4. 미 제10군의 준비와 24군단의 인계
5. 정보의 문제 : 한국
6. 정보의 문제 : 소련
7. 군정을 위한 계획
8. 인사 문제
9. 병력의 훈련

제4장 일본인·한국인과의 접촉
1. 일본인과의 무선 접촉
2. 한국인에 관한 메시지
3. 한국으로의 이동
4. 한국의 상황

제5장 점령의 수행
1. 인천 상륙
2. 남한의 공식적 항복
3. 지방의 조기 점령
4. 전술 병력에 의한 군정
5. 지방의 군정 수립

제6장 점령 초기의 문제들
1. 일본인의 철수와 한국인의 귀환
2. 일본인 관리의 확보
3. 한국의 언론
4. 언어 문제
5. 인사 문제
6. 소련과의 초기 관계

제3부 군정(軍政)

제7장 군정의 조직
1. 군정의 수립
2. 일반 조직
3. 총무과(General Affairs Section)
4. 통위부(Department of Internal Security)의 발전
5. 기획과(The Planning Section)
6. 외사과(Foreign Affairs Section)
7. 인사과(Personnel Section)
8. 회계과(Accounts Section)
9. 지방행정과(Local Administration Section)
10. 공보과(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ection)
11. 육군행정과(Army Administration Section)
12. 관재과(Property Custodian Section)
13. 일본인과 한국인이 소유한 농지의 처분

제8장 군정과 한국 정치
1. 한국인 고문(顧問)회의 설치
2. 공산주의의 문제

제9장 신탁통치와 모스크바회의
1. 신탁통치에 관한 정책
2. 모스크바회의의 결정과 한국의 반응
3. 신탁통치에 대한 책임 : 미국인가, 소련인가?
4. 커뮤니케이션의 향상을 위한 건의

제10장 모스크바의 결정에 관한 두 번의 회담
1. 미소공동회의(1946. 1. 16.∼2. 5.)
2. 미소공동위원회(1946. 3. 20.∼5. 8.)
3. 회담의 전개

제11장 미·소회담 후의 진전
1. 소련과의 관계
2. 한국의 발전
3. 한국을 위한 새로운 정책

제12장 관찰과 결론
1. 점령 이전의 시기
2. 군정(軍政)의 시기

부록
[부록1] 점령 당국의 법적 지위
[부록2] “블랙리스트”의 한국 관계 조항
[부록3] 민정의 초기 기본 지침의 요약
[부록4] 군정청 인사 기록
[부록5] 군정청 지방 조직의 인사 기록(1945. 9.~10.)
[부록6] 모스크바 외상회의에 참석한 미국 대표의 비망록(1945. 12. 17.)
[부록7] 모스크바 외상회의에 참석한 소련 대표의 비망록(1945. 12. 20.)
[부록8] 모스크바 외상회의에 참석한 미국 대표의 비망록(1945. 12. 21.)
[부록9] 미소공동위원회의 의제 - 주한미군사령부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레너드 호그,신복룡,김원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