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譯註 주례주소周禮注疏1』은 『예기禮記』, 『의례儀禮』와 함께 ‘삼례三禮’의 하나인 『주례』의 주소注疏를 역주한 첫 번째 책이다. 『주례』는 중국 고대 주周나라의 왕실 제도와 열국의 제도를 기록한 책으로 정확한 성립 시기는 분명치 않으나 전국시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주례』의 본래 서명은 『주관周官』이었는데, 전한前漢 유흠劉歆이 ‘주례’라고 명칭하면서 이렇게 불리기 시작하였으며, 후한後漢 말엽에 정현鄭玄이 ‘삼례三禮’ 『주례』, 『의례』, 『예기』에 모두 주를 달면서 『주례』라 하였다.
후한의 정현이 주석을 가하여 『주례주周禮注』를 편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당唐나라의 가공언賈公彦이 소疏를 달아 『주례정의周禮正義』를 편찬하면서 십삼경주소十三經註疏의 반열에 들었다.
『주례』의 체제는 「천관天官」(국정國政), 「지관地官」(교육敎育), 「춘관春官」(예법禮法?제전祭典), 「하관夏官」(군정軍政), 「추관秋官」(형벌刑罰), 「동관冬官」(토목공사土木工事) 총 6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관」을 제외한 각 편은 크게 서두의 ‘서관序官’ 부분과 ‘직문職文’ 부분으로 나누어, ‘서관’에서는 해당 장관의 주요 직무와 속관屬官의 조직 및 인원수를 기록하고, ‘직문’에서는 해당 속관의 구체적인 직무들을 차례대로 서술하였다.
『주례』는 우리나라 삼국시대 백제百濟의 육좌평六佐平 제도는 비록 편의적이고 부분적이긴 하나 『주례』의 육관六官 제도와 유사하다. 고려는 왕실의 예전禮典에서 『주례』 「춘관春官」의 오례五禮(길吉?흉凶?빈賓?군軍?가례嘉禮)의 틀을 그대로 수용하였으며, 국자감國子監에서는 『주례』를 교육과정의 교재로 삼았다. 조선 초기의 법전인 『경제육전經濟六典』, 『경국대전經國大典』 등은 『주례』의 육전六典 체제 아래 정리되었다. 세종世宗은 『주례』를 16책 단행본으로 발간하여 보급하였다. 허목許穆, 윤휴尹?, 정약용丁若鏞은 『주례』에 대한 연구저술을 남겼다.
『역주 주례주소1』은 해제解題와 범례 및 「주례소서周禮疏序」, 「서주례폐흥序周禮廢興」, 제1권 「천관총재天官?宰」, 제2권 「태재大宰」로 구성되어 있다. 『주례』의 본문, 정현의 주, 가공언의 소 순으로 실었으며 원문과 번역문 및 역주를 함께 실어 가독성을 살렸다. 또한 각종 도판자료를 함께 제시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앞으로 전체 15책의 『역주 주례주소』로 완간될 예정이다.
오늘날 『주례』는 학자들에게 그 사료적 가치가 집중되고 있다. 『주례』는 주나라의 제도를 담고 있지만 서주西周 시대의 작품도 아니고 주공周公의 작품도 아니다. 그러나 수많은 서주의 사료를 보존하고 있고 춘추전국 시기의 사료 또한 보존하고 있으므로 고대사古代史 연구의 유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또한 『주례』에는 더 나은 제도, 문화, 규범을 통해 인간 삶의 조건을 개선하려는 고대인의 이상이 담겨 있으니, 그 이상을 제도화하려는 인간 본성에 대해 사유하게 한다. 『주례』에 대한 깊이 있고 과학적인 이해는 동아시아 전통사회의 국가제도, 법률체계, 국제관계, 유교의례, 사회조직, 규범체계에 대한 정확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다. 『주례』적 사유와 무관하지 않은 우리에게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