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제왕들의 정치 필수 지침서로 인식되었던 진덕수陳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가 최근 정치 지도자의 리더십과 관련하여 많은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번에 심경호·김우정 교수의 번역으로 최초로 선보이는 육지陸贄의 『당육선공주의唐陸宣公奏議』 역시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성종 때 시강관 이우보李祐甫는 『대학연의大學衍義』 경연經筵의 “예로부터 위태롭고 어지러운 세상에서도 일찍이 충언이 없던 적은 없었다”는 부분에서 “육지는 말을 다하여 극진히 간하니, 덕종德宗이 비록 다 쓰지는 않았으나 혹 때로 억지로 그 말을 따랐으므로 당나라가 망하는 데에 이르지 않았습니다.”라 하고, 영사領事 노사신盧思愼은 "예로부터 신하로서 주의奏議의 정성스럽고 간절함이 육지만한 이가 없었습니다."라 할 정도로 육지는 충언을 다한 신하의 대표격으로 인식되었다. 그렇다면 육지는 과연 어떤 인물인가.
육지는 당나라 역사상 안록산·사사명의 난亂 이후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를 살았던 양심적인 관료이자 정책 입안과 실행의 달인이었다. 당나라 사회 모순이 격화하여 덕종(779~805) 즉위 후 반란이 일어나 국가질서가 붕괴된 때에 육지는 난정亂政 수습의 방안을 제시하여 실행한 인물이다. 『당육선공주의唐陸宣公奏議』는 육선공陸宣公의 주의奏議를 모은 책으로, 육선공은 육지를 말하고, 주의는 임금에게 당대의 여러 문제와 관련한 신하의 생각을 올리는 글을 말한다.
곧 육지가 덕종에게 올린 글들의 모음이다. 임금은 신하의 간언諫言을 통해 통치의 올바른 방향을 잡을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 임금의 입장에서 신하의 간언은 감언甘言이 아닌 듣기 싫은 고언苦言이 되기 십상이다. 그렇다 해도 신하된 입장에서 감언敢言하지 않을 수 없으니 이 『당육선공주의』는 리더를 보좌하는 사람들이 갖추어야 할 직언의 필요성과 함께 지도자의 경청의 리더십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하겠다.
奏草 제3권
1. 奉天에서 여러 신하를 자주 대하고 아울러 論事함을 허락해주기를 청하는 奏狀 奉天請數對群臣兼許令論事狀 / 182
2. 奉天에서 尊號의 加字에 대하여 논하는 奏狀 奉天論尊號加字狀 / 213
3. 尊號에 대하여 거듭 논하는 奏狀 重論尊號狀 / 217
4. 奉天에서 赦書의 事條에 대하여 논하는 奏狀 奉天論赦書事條狀 / 223
奏草 제4권
1. 奉天에서 翰林學士에게 陞職을 내리려 하는 것을 논하는 奏狀 奉天論擬與翰林學士改轉狀 / 231
2. 奉天에서 瓊林庫와 大盈庫를 파할 것을 청하는 奏狀 奉天請罷瓊林大盈二庫狀 / 236
3. 奉天에서 蕭復의 의혹을 해명하여 논하는 奏狀 奉天論解蕭復狀 / 251
4. 奉天에서 袁高 등을 천거하는 奏狀 奉天薦袁高等狀 / 258
5. 奉天에서 李晟이 관할하는 兵馬에 대해 논하는 奏狀 奉天論李晟所管兵馬狀 / 262
6. 奉天에서 李建徽와 楊惠元 두 節度兵馬使를 함께 옮길 것을 논하는 奏狀 奉天奏李建徽楊惠元兩節度兵馬狀 / 269
7. 御駕가 梁州로 행차하였을 때 오이와 과일을 진상한 사람을 관직에 임명하려는 것을 논하는 奏狀 駕幸梁州論進獻瓜果人擬官狀 / 275
8. 오이와 과실을 진상한 사람을 관직에 임명하려는 것을 다시 논하는 주장 又論進瓜果人擬官狀 / 278
奏草 제5권
1. 興元에서 姜公輔의 의혹을 해명하여 논하는 奏狀 興元論解姜公輔狀 / 287
2. 姜公輔에 대해 다시 답하여 논하는 奏狀 又答論姜公輔狀 / 303
3. 興元에서 曲環이 거느리고 있는 장수와 병졸들을 후하게 장려하기를 논하는 奏狀 興元論請優?曲環所領將士狀 / 310
4. 興元에서 蕭復의 의혹을 해명하여 논하는 奏狀 興元論解蕭復狀 / 315
5. 蕭復에 대한 일을 다시 답하여 논하는 奏狀 又答論蕭復狀 / 319
6. 興元에서 역적 속에서 잇달아 行在所로 온 관원들에 대하여 논하는 奏狀 興元論續從賊中赴行在官等狀 / 323
奏草 제6권
1. 興元에서 吐蕃 尙結贊이 군대를 거느리고 돌아간 것을 경하하는 奏狀 興元賀吐蕃尙結贊抽軍?歸狀 / 339
2. 興元에서 渾?과 李晟 등 諸軍兵馬가 스스로 기회를 취할 수 있도록 請許하는 奏狀 興元奏請許渾?李晟等諸軍兵馬自取機便狀 / 351
3. 興元에서 李楚琳을 다독일 것을 청하는 奏狀 興元請撫循李楚琳狀 / 359
4. 興元에서 中官 및 朝官에게 定難功臣의 名號를 하사하는 일에 대하여 논하는 奏狀 興元論中官及朝官賜名定難功臣狀 / 368
5. 興元에서 渾?에게 詔書를 내려 난리 통에 잃어버린 나인 등을 찾는 일을 논하는 奏狀 興元論賜渾?詔書爲取散失內人等議狀 / 375
6. 御駕가 궁궐로 돌아가게 되어 출발할 날짜를 논하는 奏狀 ?駕將還宮闕論發日狀 / 385
7. 趙貴先의 죄를 용서해줄 것을 청하는 奏狀 請釋趙貴先罪狀 / 389
8. 李楚琳을 교체하는 일을 논하는 奏狀 論替換李楚琳狀 / 397
9. 河中을 회복한 후 군사를 파할 것을 청하는 奏狀 收河中後請罷兵狀 /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