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이론적 배경
1. 질적 패널조사 설계 및 방법
2. 청소년의 성인기 전이와 자립 관련요인
Ⅲ. 학교 밖 청소년 양적 패널분석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소결 및 논의
Ⅳ. 학교 밖 청소년 질적 패널분석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소결 및 논의
Ⅴ.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협동연구)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소결 및 논의
Ⅵ. 학교 밖 청소년 규모와 국내ㆍ외 지역사회 지원사례
1. 학교 밖 청소년의 규모
2. 한국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관련 정책 현황
3. 외국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체계: 외국사례
Ⅶ.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시사점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Autho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세종시에 위치한 청소년 분야 국내 유일의 국책연구기관으로 1989년 설립된 이래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연구에 매진해 왔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학교 밖 청소년ㆍ이주배경 청소년ㆍ가출 청소년 등 취약 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정책, 청소년 인권정책 등 다양한 연구를 추진 해 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지역 생태, 그리고 미래 사회 변화와 관련된 연구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세종시에 위치한 청소년 분야 국내 유일의 국책연구기관으로 1989년 설립된 이래 청소년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연구에 매진해 왔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 학교 밖 청소년ㆍ이주배경 청소년ㆍ가출 청소년 등 취약 위기 청소년을 지원하는 정책, 청소년 인권정책 등 다양한 연구를 추진 해 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지역 생태, 그리고 미래 사회 변화와 관련된 연구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