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이야기 1

BOOKK(부크크) 출판사의 상품은 주문 제작 도서로 주문취소 및 반품이 불가하며, 배송완료까지 KBOOKSTORE 배송 일정 기준 +7일이 추가됩니다.
$20.49
SKU
979114101570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13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91141015701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지금 세계는 ‘팍스 아메리카나’로 표현하는 것처럼, ‘미국에 의한 세계 질서’가 지배하는 시대이다. 그런데 이것은 여전히 서구에 의한 세계 지배의 연장에 불과하다. 학자들은 또 지금의 세계 질서를 ‘포스트-식민’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19세기 이후 비서구 사회는 서양에 의해 철저하게 파괴되는 과정을 밟아왔다. 오늘날 우리의 모습은 그 결과의 투영물이다. 그 결과 이제 자신의 본래 모습이 무엇이었는지도 모르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심지어 자신의 모습을 경멸하고 비난하기까지 한다. 우리나라에서 전통에 대해 말하고 고민하게 된 것이 보편적으로 나타난 때는 주로 70년대 이후이다. 특히 80년대 이후 우리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상황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먼저 경제적 성장에 그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 성장 이후 우리는 우리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우리의 서양문화에 대한 태도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서양문화를 절대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자유주의자들이 주장하였던 전반서화론(全般西化論)이다. 둘째, 국수주의, 즉 서양문화의 배격이다. 셋째, 자국의 문화를 중심으로 서양문화를 받아들이는 태도다. 그러나 첫 번째와 두 번째 입장은 이미 실패/불가능하다고 판정되었다. 우리에게 현실적으로 주어진 길은 세 번째 입장뿐이다. 이전에 자국의 문화를 중심으로 서양문화를 수입하는 태도를 중국에서는 중체서용(中體西用), 한국에서는 동도서기(東道西器), 일본에서는 화혼양재(和魂洋才)라 불렀다. 그러나 이 입장은 동양과 서양의 대립을 전제로 한 한계가 있다. 오늘날에는 이미 통용되지 않는 태도다. 따라서 이런 방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지금 우리가 취할 방법은 자국의 문화와 서양문화의 체와 용, 도와 기, 혼과 재를 융합하는 방법-즉 우리나라로 말하면 한국문화와 서양문화를 융합하는 방법만이 있다. 달리 말하면 이것은 전통과 현대의 만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문제를 약간 추상적으로 표현하면 음양(陰陽)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음양은 대대(對待) 관계이다. 어느 하나가 우월할 수 없다. 평등한 관계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다. 무엇을 우리의 전통 혹은 문화로 삼아 서양문화를 융합할 것인가?

우리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서양문화(모든 외래문화)가 우리 문화는 아니지 않는가! 서양문화를 우리 문화로 소화하여 융합하지 않는 한에는 말이다. 따라서 철학적으로 한국문화와 서양문화를 융합하여 새롭게 우리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이 현대 한국의 동양철학이 짊어진 과제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동양과 서양 / 9

제1절 동양과 서양의 개념 / 11
제2절 동양과 서양의 세계관 / 12
1. 동양의 세계관과 서양의 세계관 / 13
2. 오리엔탈리즘 / 39
제3절 서양의 동양관과 동양에 대한 그 비판 / 42
1. 서양의 동양관 / 43
2. 서양의 동양에 대한 비판 / 47
제4절 동양 지식인의 동양 비판 / 52
1. 한국의 지식인 사회 / 52
2. 옥시덴탈리즘 / 63
제5절 서양문화에 대한 동양의 영향 / 71

제2장 중국철학 1: 유학(1) 선진유학 / 83

제1절 역사적 배경 / 85
제2절 공자 / 91
1. 인 / 93
2. 군자 / 96
3. 정치 / 100
4. 대동 / 104
제3절 맹자 / 109
1. 인성론 / 109
2. 인식론 / 115
3. 정치 / 116
제4절 순자 / 120
1. 천론 / 121
2. 인성론 / 123
3. 정치론 / 128
4. 법치 사상 / 130

제3장 중국철학 2: 유학(2) 송명 신유학 / 135

제1절 주희 / 138
1. 리기론 / 138
2. 인성론 / 144
제2절 왕양명 / 147
1. 심즉리 / 147
2. 양지와 치양지 / 149
3. 지행합일 / 154

제4장 중국철학 3: 현대 신유학 / 157

제1절 중국 전통철학과 서구 문명의 근대(성) / 159
1. 자유주의 / 160
2. 마르크스주의 / 165
3. 현대 신유학 / 167
제2절 서양문명에 대한 현대 신유학의 반응 / 174
제3절 현대 신유학에 대한 평가 / 177

제5장 중국철학 4: 도학(1) 노장철학 / 185

제1절. 노자 / 187
1. 도 / 188
2. 덕 / 190
3. 무위정치 / 191
4. 소국과민 / 193
제2절 장자 / 194
1. 인간의 자유 / 194
2. 초월과 내재의 통일 / 205

제6장 중국철학 5: 묵가 / 207

제1절 묵자라는 인물 / 210
1. 생졸 연대 / 210
2. 국적 / 211
3. 출신 / 212
4. 인품 / 213
5. 학문 / 216
6. 활동 / 219
제2절 묵자 학파에 대한 비판적 관점 / 221
1. 맹자의 비판 / 221
2. 장자의 비판 / 223
3. 기타 문헌에 보이는 비판 / 223
제3절 『묵자』 문헌의 고찰 / 224
1. 구성 / 224
2. 분류 / 225
제4절 전기 묵가 / 230
1. 형이상학 / 233
2. 정치사상 / 240
3. 사회사상 / 251
4. 경제사상 / 260
5. 예술사상 / 269
6. 전쟁관 / 271
제5절 후기 묵가 / 276
1. 분화 / 277
2. 몰락 / 279
Author
이경환
전남대학교 철학과, 동 대학원 철학과 졸업
중국사회과학원 철학박사 학위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전남대학교 철학과, 동 대학원 철학과 졸업
중국사회과학원 철학박사 학위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