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 한겨레는 물론 인류전체가 첨예한 대립과 갈등과 투쟁과 전쟁이라는 부정성의 위력과 박멸의 의지를 견디지 못하고 집단자살로 갈 것인가, 아니면 대화와 타협과 화합과 사랑과 평화와 통일을 이끌 긍정성위력으로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의 공동체를 창조할 것인가를 결정해야만 한다. 즉 생명이냐 아니면 자살이냐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목숨은 누구에게나 가장 소중한 것이다. 어느 사회의 자살률이 증가한다는 것은 정치·경제·사회·교육 등의 환경이 모든 사람들에게 ‘너 죽고, 나 살자!’를 강요함으로써 어쩔 수 없는 최악의 선택을 할 수밖에 없도록 내몰리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지난 3천 년간 세계철학사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긍정성의 철학, 대립과 갈등을 화합과 통일로 바꿀 수 있는 우리 고유의 한철학이 이제 전쟁에서 평화로, 갈등에서 화합으로, 분열에서 통일로 향하는 새로운 시대의 철학을 제시한다.
Contents
생명이냐 자살이냐 - 더불어사는 철학, 온 이야기
서장 한철학을 열며-
1.‘한’의 문을 여는 열쇠
2. 한철학이 여는 세상
3. 집단자살과 생명의 창조력
4. 한마디의 말
5. 상생과 상쟁
6. 긍정성의 위력
7. 삼천 년간의 집단자살
8. 함께 만든 책
1장 온
1. 수렵채집시대와 사건과 의미
2. 신화시대의 추상력
3. 추상력과 온
4. 온과 100
5. 천부도와 온
6. 감과 밝 그리고 원기와 원체
2장 독선
1. 흑인에 대한 독선
2.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독선
3. 여성에 대한 독선
4. 가난한 자에 대한 독선
5. 제4차대전과 독선
6. 원자폭탄의 독선
7. 공산주의자들의 독선
8. 유태인에 대한 독선
9. 집시에 대한 독선
10. 동성애자에 대한 독선
11. 소외자들에 대한 독선
12. 생태적 신권정치의 독선
13. 부정성의 부정성
14. 승자독식주의는 독선의 독식주의이다
15. 한겨레와 긍정성의 위력
5장 생성적 존재
1. 계층이론 비판
2. 계층이론의 철학화
3. 계층이론의 전도
4. 생성 없는 생성이론
5. 역경 계사전의 계층이론
6. 한겨레의 윤리철학
7. 새로운 생성론
8. 새로운 접근 제3의 길
9. 하르트만과 과정의 원동력으로서의 수준의 차이
10. 헤라클레이토스의 재발견
11. 과정은 긍정성의 위력으로 이루어진다
12. 생성적 존재
6장 온힘 10
1. 온힘 10과 역사
3. 적정이익 10%
4. 이익사회와 공동사회의 변증법
5. 진보와 보수의 변증법
6. 경계면으로서의 온힘과 대기권
7. 한반도 내부의 온힘과 정감록변증법
8. 동서양의 온힘 10으로서의 한겨레 그리고 한철학
9. 백범 김구 선생의 온힘과 긍정성의 위력
10. 통일과 온힘
11. 그림자 없는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