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내용
1)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설문도구 개발 및 실태조사
2)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3)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법ㆍ제도 현황 및 개선방안
4)연도별 추진게획
3.연구방법
1)문헌연구
2)전문가 자문회의
3)양적연구
4)국외출장
5)협동연구 추진
6)기타 연구추진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1.정신건강의 개념
1)정신건강의 정의
2)아동ㆍ청소년의 정신건강
2.정신건강 관련 주요 변인
1)개인영역
2)가족영역
3)지역사회 영역
4)학교영역
3.정신건강 관련 국내외 실태
1)국외
2)국내
제3장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1.모집단 분석
2.표본설계
1)표본크기 및 층화
2)표본 배분
3)표본 추출
3.실사 설계
1)리스트 정제 및 사전 접촉
2)학교방문 조사원 모집 및 교육
3)실사 진행
4)조사표 검증 및 자료 처리
4.조사 표본 수 및 응답자 특성
5.조사내용
6.주요 조사 결과
1)개인영역
2)가족영역
3)지역사회 영역
4)학교영역
제4장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정책 현황
1.국내의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정책 현황
1)우리나라 아동ㆍ청소년 대상의 정신건강 증진 정책의 목표
2)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검진 사업 및 정신건강 증진 관련 서비스 정책 현황
2.외국의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정책 현황
1)미국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
2)캐나다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
3)영국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
4)호주의 아동ㆍ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정책
5)세부 정책 사례
3.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정책의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FGI 및 델파이 조사
1)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에 관한 FGI 조사결과
2)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정책 개선을 위한 델파이 조사결과
4.소결
제5장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법ㆍ제도 현황
1.국내의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법ㆍ제도 현황
1)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법ㆍ제도 연구의 필요성
2)국내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법ㆍ제도 현황 고찰
2.외국의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법ㆍ제도 현황
1)독일의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관련 법ㆍ제도 현황
2)미국의 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관련 법ㆍ제도 현황
3.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법ㆍ제도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1)전문가 의견조사 개요
2)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및 시사점
4.소결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결론
1)아동ㆍ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연구
2)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저책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3)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관련법ㆍ제도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2.정책제언
1)총괄부문
2)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부문
3)아동ㆍ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법ㆍ제도 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