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1차 망명과 반유신 민주화 운동

$19.44
SKU
97889685075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8/07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88968507502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이 도서는 김대중도서관이 장기 프로젝트로 기획 중인 김대중 연구총서 시리즈의 다섯번째로, 올해 8월 8일 김대중 납치사건(1973년 8월 8일)발생 50주년을 기억하고자 특별히 기획·출간된 연구서다. 김대중 납치사건은 한국 현대사와 한일관계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조사와 연구는 상당수 이루어졌다. 그러나 납치사건의 배경이 되는 김대중 1차 망명 활동에 대한 연구는 전무했다. 때문에 이 책은 김대중 납치사건의 배경이 되는 유신정권 초기 김대중 망명 활동의 내용과 성격을 최초로 연구한 3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미가 매우 크다. 한편,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은 2003년 11월 개관한 아시아 최초의 대통령도서관으로, 민주주의·시장경제·평화 등 김대중 전 대통령이 추구한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연구하고 관련 사료를 수집, 제공하는 전문적인 학술연구기관이다.
Contents
Ⅰ. 제1차 망명기 김대중의 미국에서의 활동 : 류상영(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전 김대중도서관 관장)

1. 서론: 김대중의 인식과 전략, 그리고 활동
2. 유신 선포와 김대중의 망명 결심
3. 김대중의 미국에서의 활동과 네트워크
(1) 교포사회 민주화 세력과의 연대와 전략
(2) 미국 주요 인사들과의 네트워크와 전략
4. 미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한미관계
(1) 박정희 정부의 미국에 대한 인식과 대응
(2) 미국의 유신정권에 대한 분석과 대응
5. 유신체제 직후 야당의 와해와 김대중 회유
6. 맺음말

Ⅱ. 김대중의 제1차 망명기 일본 활동의 의미-정계 및 언론계를 중심으로 : 정근주(호쿠세이가쿠엔 대학교 교수)

1. 들어가는 말
2. 김대중납치사건 이전의 한국 및 김대중에 대한 인식
3. 일본에서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
(1) 정계 네트워크
(2) 언론계 및 『세카이(世界)』네트워크
4. 언론을 통한 김대중의 활동 및 주장
(1) 망명 투쟁의 이유 및 유신체재에 대한 반박
(2) 한국 민주주의 정착의 문제점: 국내적 요인
(3) 한국 민주주의 정착의 문제점: 국외적 요인
(4) 통일문제와 민주화
(5) 일본의 한국 인식에 대한 문제점과 김대중의 제언
(6) 민족주의자적 면모와 자주 의지의 표출
5. 맺음말

Ⅲ. 김대중의 1차망명활동과 한민통 구상 : 장신기(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사료연구 담당)

1. 들어가는글
2. 망명 직후, 일본과 미국에서의 활동
(1) 망명투쟁 결심 과정
(2) 망명 초기 일본에서의 생활과 활동
(3) 망명 초기 미국에서의 생활과 활동
(4) 해외 한인들을 기반으로 한 조직 결성을 결심하게 된 계기
3. 한민통 결성 : 시작과 진행과정
(1) 김대중과 재일 한인 민주화 세력이 결합하게 된 배경과 원인
(2) 김대중과 재미 한인 민주화 세력이 결합하게 된 배경과 원인
(3) 한민통이 결성되기까지
4. 한민통의 성격 : 노선
(1) 김대중과 해외 한인운동가들 사이의 입장 차이의 배경
(2) 대한민국 절대지지
(3) 선민주 후통일 노선
5. 한민통의 성격 : 조직과 활동방향
(1) 조직
(2) 활동방향
6. 납치직후 한민통의 변화 방향
(1) 조직 체계 변화
(2) 노선 : 유지와 변화의 양상
7. 결론
Author
류상영,정근주,장신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95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로 한국과 동아시아 정치경제와 역사를 강의하고 있다. 학부에서부터 한국현대사에 관심이 많았고 역사적 사실과 정치경제적 이론을 접목하는 것을 연구의 본령으로 여겨 왔다. 포항제철 성공 요인에 관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면서 박태준 회장과 장시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박정희 시대에 관한 많은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관장으로서 전시실을 개관하고 사료를 발굴 보존하는 데 힘썼고, 이를 기초로 『김대중 연보 1924-2009』, 『김대중 저작목록집』, 『김대중전집 I』 등을 대표 집필하고 출간하였다. 아울러 40여 회에 걸친 인터뷰를 진행하여 〈김대중 구술사〉를 구축하였고 김대중에 관한 다수의 연구 결과를 출간하였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고, 이후 일본의 게이오대학과 캐나다의 브리티시 콜롬비아대학(UBC) 그리고 토론토대학(UofT)에서 방문 교수를 지낸 바 있다.
박정희와 김대중에 관한 그의 대표적인 연구로는, “박정희 정권의 산업화전략 선택과 국제정치경제적 맥락”(한국정치학회보, 1996); “한국의 경제발전 궤적과 박정희모델”(선인, 2006); The Park Chung Hee Era(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공저); “1962년 박정희의 통화개혁과 한국의 민족주의”(현대정치연구, 2020); “Chaebol”(Oxford University Press, 2022); 『김대중과 한일관계』(연세대 출판문화원, 2012, 국·일문, 공저); 『김대중과 대중경제론』(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국·영문, 공저); 『김대중과 한국야당사』(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국·영문, 공저); “日韓關係50年: 金大中外交を再考する”(立敎大學, 2015); The Spirit of Korean Development(Yonsei University Press, 2015); “한국 민족주의의 두 가지 길: 박정희와 김대중의 연설문 텍스트 마이닝”(현대정치연구, 2021, 공저) 등이 있다.

Sang-young Rhyu graduated from Yonsei University with degrees in political science and received his Ph.D. at Yonsei University in 1995. Since 2002, he has been teaching political economy of Korea and East Asia and Korean modern history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Yonsei University. Since his undergraduate studies, he has been interested i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has worked to combine historical facts with political and economic theory in his research. While preparing his Ph.D. dissertation on the success factors of Pohang Iron and Steel, h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Chairman Park Tae-joon and published many articles on the Park Chung-hee era. As the director of the Kim Dae-jung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at Yonsei University from 2004 to 2009, he worked tirelessly to open the exhibition room and to unearth and preserve historical materials. With this background, he served as a representative in the writing and publishing of The Chronicle of Kim Dae-jung, 1924-2009, Catalog of Kim Dae-jung’s Works, and Complete Works of Kim Dae-jung I. In addition, he conducted over 40 interviews to establish the Kim Dae-Jung Oral History Collection and published a numerous array of research on Kim Dae-jung.
He served as a senior research fellow at the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995-2001) and was a visiting professor at Keio University in Japan,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and the University of Toronto in Canada. His representative research on Park Chung-hee and Kim Dae-jung include “Park Chung-hee's Choice of Industrialization Strategies and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s”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1996, in Korea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rajectory and Park Chung-hee Model” (Sunin, 2006, in Korean), The Park Chung Hee Er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co-author), “Park Chung Hee's Monetary Reform in 1962 and Korean Nationalism” (Journal of Contemporary Politics, 2020, in Korean), “Chaebol”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Kim Dae-jung and Korea-Japan Relations (Yonsei University Press, 2012, in Korean and Japanese, co-author), Kim Dae-jung and Theory of Mass Economy (Yonsei University Press, 2012, in Korean and English, co-author), 日韓關係50年: 金大中外交を再考する” (立敎大學, 2015), The Spirit of Korean Development (Yonsei University Press, 2015), and “Two Paths of Nationalism in South Korea: A Text Mining Analysis of Official Speeches of Park Chung-hee and Kim Dae-jung” (Journal of Contemporary Politics, 2021, co-author).

延世大?政治外交?科を卒業し、同大?院で1995年に博士?位を取得した。2002年から延世大??際?大?院で韓?と東アジア政治??、韓?現代史を?えている。?部時代から韓?現代史に深い?心をもっており、?史的事?と政治??的理論を融合させることを目標としてきた。ポスコ製?の成功について博士論文を準備する過程で朴泰俊?長と長時間のインタビュ?を行い、朴正?時代について多くの?究論文を?表した。2004年から2009年まで延世大?金大中?書館の館長として、展示室をオ?プンし、資料を?掘?保存する作業を行い、これを基に「金大中年譜1924-2009」「金大中著作目?集」「金大中全集Ⅰ」などを代表執筆し刊行した。ならびに40回に及ぶインタビュ?を行い「金大中オ?ラルヒストリ?」を作成し、金大中に?する多?の?究結果を刊行した。
1995年から2000年まで、サムスン???究所で主席?究員として勤務した後、慶?義塾大?とカナダのブリティッシュコロンビア大?(UBC)、ならびにトロント大?(UofT)で客員?授を務めた。朴正?と金大中に?する代表的な?究には次のものがある。
「朴正?政?の産業化?略の選?と?際政治???の脈略」(韓?政治??報、1996);「韓?の???展の軌跡と朴正?モデル」(ソンイン、2006); The Park Chung Hee Er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共著);「1962年朴正?の通貨改革と韓?の民族主義」(現代政治?究、2020); “Chaebol” (Oxford University Press, 2022);「金大中と日韓?係」(延世大?出版文化院、2012、韓?日文、共著); 金大中と大衆??論」(延世大出版文化院、2013、韓?英文、共著); 「金大中と韓?野?史」(延世大?出版文化院、2013、韓?英文、共著); 「日韓?係50年:金大中外交を再考する」(立?大?、2005); The Spirit of Korean Development (Yonsei University Press, 2015);「韓?民族主義 二つの道:朴正?と金大中の演?文テキストマイニング」(現代政治?究、2021、共著)など。柳相榮は、常に?史がもたらす重みの前で謙?であることを心掛け、分析と結論に先だって?史現場を冷?かつリアルに描?し、探求し?けることを?究の本領としてきた。金大中と朴正??究、また韓??のグロ?バル化は彼のもう一つの目標でもある。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95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로 한국과 동아시아 정치경제와 역사를 강의하고 있다. 학부에서부터 한국현대사에 관심이 많았고 역사적 사실과 정치경제적 이론을 접목하는 것을 연구의 본령으로 여겨 왔다. 포항제철 성공 요인에 관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면서 박태준 회장과 장시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박정희 시대에 관한 많은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관장으로서 전시실을 개관하고 사료를 발굴 보존하는 데 힘썼고, 이를 기초로 『김대중 연보 1924-2009』, 『김대중 저작목록집』, 『김대중전집 I』 등을 대표 집필하고 출간하였다. 아울러 40여 회에 걸친 인터뷰를 진행하여 〈김대중 구술사〉를 구축하였고 김대중에 관한 다수의 연구 결과를 출간하였다.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고, 이후 일본의 게이오대학과 캐나다의 브리티시 콜롬비아대학(UBC) 그리고 토론토대학(UofT)에서 방문 교수를 지낸 바 있다.
박정희와 김대중에 관한 그의 대표적인 연구로는, “박정희 정권의 산업화전략 선택과 국제정치경제적 맥락”(한국정치학회보, 1996); “한국의 경제발전 궤적과 박정희모델”(선인, 2006); The Park Chung Hee Era(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공저); “1962년 박정희의 통화개혁과 한국의 민족주의”(현대정치연구, 2020); “Chaebol”(Oxford University Press, 2022); 『김대중과 한일관계』(연세대 출판문화원, 2012, 국·일문, 공저); 『김대중과 대중경제론』(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국·영문, 공저); 『김대중과 한국야당사』(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국·영문, 공저); “日韓關係50年: 金大中外交を再考する”(立敎大學, 2015); The Spirit of Korean Development(Yonsei University Press, 2015); “한국 민족주의의 두 가지 길: 박정희와 김대중의 연설문 텍스트 마이닝”(현대정치연구, 2021, 공저) 등이 있다.

Sang-young Rhyu graduated from Yonsei University with degrees in political science and received his Ph.D. at Yonsei University in 1995. Since 2002, he has been teaching political economy of Korea and East Asia and Korean modern history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Yonsei University. Since his undergraduate studies, he has been interested i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nd has worked to combine historical facts with political and economic theory in his research. While preparing his Ph.D. dissertation on the success factors of Pohang Iron and Steel, h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Chairman Park Tae-joon and published many articles on the Park Chung-hee era. As the director of the Kim Dae-jung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at Yonsei University from 2004 to 2009, he worked tirelessly to open the exhibition room and to unearth and preserve historical materials. With this background, he served as a representative in the writing and publishing of The Chronicle of Kim Dae-jung, 1924-2009, Catalog of Kim Dae-jung’s Works, and Complete Works of Kim Dae-jung I. In addition, he conducted over 40 interviews to establish the Kim Dae-Jung Oral History Collection and published a numerous array of research on Kim Dae-jung.
He served as a senior research fellow at the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995-2001) and was a visiting professor at Keio University in Japan,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and the University of Toronto in Canada. His representative research on Park Chung-hee and Kim Dae-jung include “Park Chung-hee's Choice of Industrialization Strategies and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s”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1996, in Korea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rajectory and Park Chung-hee Model” (Sunin, 2006, in Korean), The Park Chung Hee Er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co-author), “Park Chung Hee's Monetary Reform in 1962 and Korean Nationalism” (Journal of Contemporary Politics, 2020, in Korean), “Chaebol”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Kim Dae-jung and Korea-Japan Relations (Yonsei University Press, 2012, in Korean and Japanese, co-author), Kim Dae-jung and Theory of Mass Economy (Yonsei University Press, 2012, in Korean and English, co-author), 日韓關係50年: 金大中外交を再考する” (立敎大學, 2015), The Spirit of Korean Development (Yonsei University Press, 2015), and “Two Paths of Nationalism in South Korea: A Text Mining Analysis of Official Speeches of Park Chung-hee and Kim Dae-jung” (Journal of Contemporary Politics, 2021, co-author).

延世大?政治外交?科を卒業し、同大?院で1995年に博士?位を取得した。2002年から延世大??際?大?院で韓?と東アジア政治??、韓?現代史を?えている。?部時代から韓?現代史に深い?心をもっており、?史的事?と政治??的理論を融合させることを目標としてきた。ポスコ製?の成功について博士論文を準備する過程で朴泰俊?長と長時間のインタビュ?を行い、朴正?時代について多くの?究論文を?表した。2004年から2009年まで延世大?金大中?書館の館長として、展示室をオ?プンし、資料を?掘?保存する作業を行い、これを基に「金大中年譜1924-2009」「金大中著作目?集」「金大中全集Ⅰ」などを代表執筆し刊行した。ならびに40回に及ぶインタビュ?を行い「金大中オ?ラルヒストリ?」を作成し、金大中に?する多?の?究結果を刊行した。
1995年から2000年まで、サムスン???究所で主席?究員として勤務した後、慶?義塾大?とカナダのブリティッシュコロンビア大?(UBC)、ならびにトロント大?(UofT)で客員?授を務めた。朴正?と金大中に?する代表的な?究には次のものがある。
「朴正?政?の産業化?略の選?と?際政治???の脈略」(韓?政治??報、1996);「韓?の???展の軌跡と朴正?モデル」(ソンイン、2006); The Park Chung Hee Er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共著);「1962年朴正?の通貨改革と韓?の民族主義」(現代政治?究、2020); “Chaebol” (Oxford University Press, 2022);「金大中と日韓?係」(延世大?出版文化院、2012、韓?日文、共著); 金大中と大衆??論」(延世大出版文化院、2013、韓?英文、共著); 「金大中と韓?野?史」(延世大?出版文化院、2013、韓?英文、共著); 「日韓?係50年:金大中外交を再考する」(立?大?、2005); The Spirit of Korean Development (Yonsei University Press, 2015);「韓?民族主義 二つの道:朴正?と金大中の演?文テキストマイニング」(現代政治?究、2021、共著)など。柳相榮は、常に?史がもたらす重みの前で謙?であることを心掛け、分析と結論に先だって?史現場を冷?かつリアルに描?し、探求し?けることを?究の本領としてきた。金大中と朴正??究、また韓??のグロ?バル化は彼のもう一つの目標でも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