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언어를 가르치는 교사나 배우는 학생들 모두 어휘와 문법을 배우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그러나 면 대 면의 상황이 많아지는 요즘 세상에서는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바야흐로 한국어 교육에서도 담화와 화용으로의 화려한 외출이 시작되었다. 이 책에는 이러한 고민에 푹 빠진 연구자들의 치기 어린 좌충우돌이 담겨 있다. 물론 그 좌충우돌에는 문법의 경계 넓히기라는 큰 꿈이 담겨 있다.
Contents
프롤로그
제1부 문법의 경계 넓히기
언어적 장치의 화용적 특징, 공손성
1.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수, 문제의 발견
2. 형태에서 화용으로, 관점의 전환
3. 한국어의 공손성 전달 수단, 그 언어적 장치들
4. 형태로부터 출발한 의미, 활용어미와 공손성
5. 화용적 발상으로의 전환, 이후의 연구들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의미 기능 습득
1. 지시어, 멀고도 험한 한국어 학습
2. 한국어 지시의 분류와 지시어의 의미 기능
3.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4.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지시어 사용 양상
5.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사용에 대한 해석
6. 제안과 전망
한국어 부사어 위치에 대한 화용론적 해석과 학습자의 이해
1. 부사어 위치 학습에서 직면한 학습자의 어려움
2. 한국어 부사어의 위치에 나타난 문제
3.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4. 부사어 위치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이해
5. 제안과 전망
직시의 관점에서 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습득
1. 개념의 시간, 표현의 시제
2. 시제 습득에 대한 연구의 흐름
3.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4. 시간과 시제 표현의 일치 여부에 따른 시제 인식
5. 담화 주제에 따른 시제 사용
6. 제안과 전망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발달 관계
1. 문법과 화용, 불가분의 관계
2.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관계에 주목한 연구들
3. 한국어 양태 표현의 특성
4.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5.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발달 관계
6. 제언과 전망
제2부 담화 속에서 담화 바라보기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문어 텍스트에 나타난 대용의 응결장치
1. 응결장치, 그 다양한 표정
2. 응결장치에 대한 앞선 연구의 발자취
3. 응결장치 그리고 대용
4.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5. 구어, 문어 텍스트 속 대용의 응결장치
6. 제안과 전망
한국어 학습자 설명 담화에서의 관계적 응집성
1. 담화를 담화답게, 설명되지 않는 문제
2. 응집성의 새로운 시각, 관계적 응집성
3. 연구를 위한 최적의 방법
4. 관계적 응집성 사용,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간격
5. 숙달도에 따른 학습자의 관계적 응집성 사용
6. 제안과 전망
?에필로그
?집필자 소개
?논문 출처
?부록 1: 주요 용어
?부록 2: 담화?화용 연구에서의 자료 수집 방법
Author
이해영,박선희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교수로 이화여대 외국어교육 특수대학원 원장직과 언어교육원 원장직을 역임하였다. 이중언어학회장과 이중언어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각종 학술 활동뿐만 아니라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자문위원회 자문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 등의 정부 단체 위원으로 활동해 왔다.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교수로 이화여대 외국어교육 특수대학원 원장직과 언어교육원 원장직을 역임하였다. 이중언어학회장과 이중언어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각종 학술 활동뿐만 아니라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자문위원회 자문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 등의 정부 단체 위원으로 활동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