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철학사 1

지중해세계의 철학
$43.20
SKU
978896445152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2/05
Pages/Weight/Size 153*224*40mm
ISBN 9788964451526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서구 편향적인 철학사를 지양하며
보편적인 시각으로 세계철학을 바라본다.


『세계철학사』 3부작은 철학이라는 행위가 주로 유라시아 대륙에서 진행되었고 근대 이전에는 동과 서의 철학 전통이 따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1권을 '지중해세계의 철학'에 그리고 2권을 '아시아세계의 철학'에 할애한다. 그 후 마지막 3권에서는 지리적 기준이 아니라 시대적 기준에 입각해 '근현대 세계의 철학'을 살펴본다. 저자는 서구 편향적인 철학사를 지양하면서 유라시아 대륙 전체를 놓고서 보다 보편적인 시각으로 철학사를 보려 했다는 점이 이 책의 특장점이다.

지금까지 수많은 철학사가 나왔지만 서양 철학사, 중국 철학사, 한국 철학사, 인도 철학사처럼 특정 지역, 언어권을 다룬 철학사가 대부분이었다. 심지어 '세계철학사'라는 이름을 단 대표적인 저작들 조차 실질적으로는 서구의 철학사에 머문다는 점을 저자는 지적한다. 허구에 가까운 역사 서술은 결국 오늘날의 일방적인 세계화를 낳았다. 오늘날 세계화의 흐름은 어떤 정신적 준비나 사상적 비전을 가지고서 이루어진 것이 전혀 아닌 것이다. 저자가 세계철학사를 쓰고자 한 데에는, 단순히 철학의 역사를 정리해보고자 하는 동기만이 아니라, 편견이 낳은 사유의 정향을 타개하고 허울 좋은 '글로벌 스탠더드'를 넘어 진정한 보편성을 찾고자 하는 의욕이 작용했다고 밝히며 시리즈의 시작 1권에서 고중세 유라시아 서쪽에서 전개된 지중해세계의 철학을 설명한다.
Contents
여는 말

1부

1장 철학의 탄생

§1 ‘헬라스’라는 곳
§2 그리스의 역사: 체험과 표현
§3 정의를 찾아서
§4 철학의 탄생

2장 퓌지스의 탐구
§1 ‘탄생’의 문제
§2 최초의 ‘철학자’들
§3 구체와 추상
§4 종교와 과학
§5 수학적 세계

3장 자연철학과 존재론
§1 ‘정신’의 발견
§2 생성의 로고스
§3 인식, 종교, 윤리
§4 ‘비판철학’의 등장
§5 일자의 존재론
§6 존재, 무, 생성
§7 엘레아학파를 넘어

4장 현상과 실재
§1 다자와 운동의 사유
§2 동인을 사유하다
§3 생명, 인식, 정화
§4 철학자들의 사표
§5 모나스/모나드
§6 이성적 세계관
§7 ‘원자’의 등장
§8 우발적인 세계
§9 인식과 윤리

5장 “너 자신을 알라”
§1 그리스의 계급 투쟁
§2 소피스트들의 등장
§3 고르기아스의 테제
§4 퓌지스와 노모스
§5 위대한 생애
§6 “그대의 영혼을 돌보라”

6장 이상과 현실(플라톤)
§1 ‘철학 체계’란 무엇인가
§2 플라톤: 서양 철학의 원점
§3 영혼으로서의 이데아
§4 진리로서의 이데아
§5 본(?으로서의 이데아
§6 ‘폴리스’와 ‘폴리테이아’
§7 정의란 무엇이고 정의로운 국가는 어떤 국가인가
§8 다섯 가지의 정체
§9 통치자들을 어떻게 뽑을 것인가

7장 현실과 이상(아리스토텔레스)
§1 학문의 분류
§2 논리학의 창조
§3 개념과 판단
§4 분석론과 변증론
§5 퓌지스의 탐구
§6 운동의 설명
§7 탁월한 존재들: 우주, 신, 영혼
§8 가장 근원적인 물음: 존재 물음
§9 인간적인 행복의 추구
§10 현실 국가의 정치학

2부

8장 구원에의 갈구

§1 에피고넨의 시대
§2 회의주의의 발흥
§3 진정한 쾌락을 찾아서: 에피쿠로스학파
§4 그레코-로망 시대의 정수: 스토아철학
§5 로마 정신으로서의 스토아철학
§6 지중해세계의 종교사상들

9장 신과 인간 그리고 세계
§1 동방세계와 서방세계
§2 이슬람세계의 종교사상
§3 이슬람 철학의 성립
§4 이븐 루쉬드의 철학
§5 이슬람에서 서방으로
§6 스콜라철학의 도래: 존재론과 정치철학
§7 아리스토텔레스 혁명과 스콜라철학의 흥륭
§8 중세의 황혼

10장 ‘인간적인 것’의 발견
§1 국가의 탄생
§2 자본주의의 탄생
§3 인본주의의 발흥
§4 자아의 발견
§5 자연의 새로운 상

맺는 말

인물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
Author
이정우
1959년 충청북도 영동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공학, 미학, 철학을 공부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로 석사학위를, 미셸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98년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2000~7년 철학아카데미 원장, 2009~11년 어시스트윤리경영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소운서원 원장(2008~),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2012~)로 활동하고 있다.

소운의 사유는 ‘전통, 근대, 탈근대’를 화두로 한 보편적인 세계철학사의 서술, ‘시간, 생명, 사건’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생성존재론의 구축, 그리고 ‘타자-되기의 윤리학’과 그 정치철학적 구체화의 세 갈래로 전개되어왔다. 철학사적 저술로는 『신족과 거인족의 투쟁』(한길사, 2008), 『세계철학사1: 지중해세계의 철학』(도서출판 길, 2011), 『소은 박홍규와 서구 존재론사』(도서출판 길, 2016) 등이 있고, 존재론적 저술로는 『사건의 철학』(그린비, 2011), 『접힘과 펼쳐짐』(그린비, 2011) 등이 있으며, 실천철학적 저술로는 『천하나의 고원: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돌베개, 2008), 『전통, 근대, 탈근대』(그린비, 2011), 『진보의 새로운 조건들』(인간사랑, 2012) 등이 있다. 현재는 『세계철학사 3: 근현대세계의 철학』, 『다양체론: 기하학에서 건축까지』를 집필하고 있다.
1959년 충청북도 영동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공학, 미학, 철학을 공부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로 석사학위를, 미셸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98년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 2000~7년 철학아카데미 원장, 2009~11년 어시스트윤리경영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소운서원 원장(2008~),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2012~)로 활동하고 있다.

소운의 사유는 ‘전통, 근대, 탈근대’를 화두로 한 보편적인 세계철학사의 서술, ‘시간, 생명, 사건’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생성존재론의 구축, 그리고 ‘타자-되기의 윤리학’과 그 정치철학적 구체화의 세 갈래로 전개되어왔다. 철학사적 저술로는 『신족과 거인족의 투쟁』(한길사, 2008), 『세계철학사1: 지중해세계의 철학』(도서출판 길, 2011), 『소은 박홍규와 서구 존재론사』(도서출판 길, 2016) 등이 있고, 존재론적 저술로는 『사건의 철학』(그린비, 2011), 『접힘과 펼쳐짐』(그린비, 2011) 등이 있으며, 실천철학적 저술로는 『천하나의 고원: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돌베개, 2008), 『전통, 근대, 탈근대』(그린비, 2011), 『진보의 새로운 조건들』(인간사랑, 2012) 등이 있다. 현재는 『세계철학사 3: 근현대세계의 철학』, 『다양체론: 기하학에서 건축까지』를 집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