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보리행론 강해 1

대승불법의 정수, 팔만사천법문의 심요!
$37.80
SKU
978895746627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6/4 - Mon 06/1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30 - Mon 06/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2/08
Pages/Weight/Size 152*224*35mm
ISBN 9788957466278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입보리행론』은 대승불교의 핵심인 보리심과 공성의 가르침과 수행법을 간명한 게송으로 전하는, 티베트불교에서 종파를 초월하여 모든 수행자들이 반드시 배우고 수행하는 논서이다.

이 『강해』는 오명불학원을 설립하여 수많은 제자들을 정법의 길로 이끈 진메이펑춰 린포체의 설법을 정리한 것으로, 『입보리행론』에 대한 가장 방대한 해설서이다. 샨티데바의 게송 하나하나에 알기 쉽고 상세한 설명을 붙이고 있는데, 자신의 직간접 수행 경험과 수많은 대승경론, 심지어 중국 고전까지 넘나드는 풍부한 해설은 강한 흡인력과 설득력으로 보리심을 불러일으키고 참된 보살행으로 나아가게 이끌어 준다.
Contents
개정판 역자 서언 5
머리말 9
감사의 글 14
일러두기 18

해제 27
1. 논의 이름 설명 27
2. 원저자 적천보살寂天菩薩의 전기 34
3. 법을 강의하고 듣는 법도 43
1) 불법을 강술하는 방식 43
2) 제자가 법을 듣는 방식 49
3) 법을 강의하고 듣는 것을 원만하게 함 52

제1품 보리심의 이익 57
1. 번역의 예경과 논을 짓는 이유 59
1) 번역의 예경 59
2) 논을 짓는 이유 61
2. 보리심이 의지하는 바를 밝힘 75
1) 가만신暇滿身은 얻기 어려운 것임을 사유함 75
2) 착한 마음을 내기가 어려움을 사유함 80
3. 보리심의 이익을 사유함 83
1) 보리심의 이익을 모두 밝힘 83
(1) 능히 무거운 죄를 소멸함 83
(2) 능히 묘한 약을 얻음 87
(3) 구하는 바를 능히 판단함 90
(4) 지극히 공경하고 귀의함 92
2) 보리심의 이익을 비유함 95
(1) 하열함을 수승함으로 바꿈의 비유 95
(2) 진귀하여 얻기 어려움의 비유 96
(3) 과果를 얻음이 한량없음의 비유 99
(4) 두려움을 능히 제거함의 비유 101
(5) 중죄를 능히 멸함의 비유 106
3) 경전을 인용하여 증명함 107
4) 보리심의 이익을 따로 밝힘 108
(1) 보리심의 종류 108
(2) 원願보리심의 이익 113
(3) 행行보리심의 이익 114
4. 보리심의 이익의 증거 117
1) 경전을 인용하여 증명함 117
2) 이치로써 성립함 119
(1) 원願보리심의 이익을 얻는 이치 119
(2) 행行보리심의 이익을 얻는 이치 129
5. 발심한 공덕을 갖춤 136
6. 보살을 공경히 찬탄함 150

제2품 업장業障참회 155
1. 삼보에 헌공함 157
1) 목적과 대상 157
2) 법신에 헌공함 159
(1) 주인 없는 물건을 공양함 159
(2) 자신의 마음을 공양함 168
(3) 생각으로 떠올린 물건을 공양함 172
2. 삼보를 예경하고 찬탄함 193
1) 입으로 찬탄함 193
2) 몸으로 찬탄함 194
3. 삼보에 귀의함 197
4. 사력四力으로 참회함 202
1) 죄를 벗어나는 힘 202
(1) 죄를 삼보전에 고하여 참회함 202
(2) 속히 참회를 이루는 인연 228
2) 삼보를 의지하는 힘 239
(1) 종합적으로 삼보를 의지함 239
(2) 별도로 보살을 의지함 242
3) 대치하는 힘 251
(1) 미혹을 질병으로 비유해 대치함 251
(2) 미혹을 위험함에 비유해 대치함 257
(3) 잠시만의 안정을 속히 대치하길 권함 259
4) 죄를 범하지 않기를 서원하는 힘 265

제3품 보리심을 지니다 277
1. 전행前行 279
1) 자량을 모아 쌓음 279
(1) 공덕을 따라 기뻐함 279
①하사도下士道의 수희 281
②중사도中士道의 수희 282
③상사도上士道의 수희 283
(2) 법륜 굴리시기를 청함 285
(3) 부처님이 세상에 주하시길 청함 286
2) 자기 마음을 승화시킴 290
(1) 몸과 재물을 다 보시한 선근 290
(2)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는 인연 이루기를 원함 297
①진심으로 마음을 닦다 297
②보리심을 발하는 것의 합리성 300
③몸을 보시함 302
(3) 구하는 바의 인연을 이루기를 원함 307
2. 바로 보리심을 발함 324
3. 보리심을 결론지어 찬탄함 331
1) 보리심을 얻은 환희를 사유함 331
2) 보리심이 능히 남을 이롭게 함을 생각함 342
(1) 능히 고苦의 과보를 제거함 342
(2) 능히 고의 원인을 멸함 345
(3) 능히 보람됨을 얻음 348
4. 결론 353

제4품 불방일不放逸 359
1. 방일하지 않음을 간략히 설함 361
2. 방일하지 않음을 널리 설함 363
1) 보리심을 지니는 것을 신중히 함 363
(1) 마땅히 보리심의 인연을 버리지 아니함 363
(2) 보리심에 허물이 되는 것을 버림 381
2) 출리심과 계율을 닦음 388
(1) 죄악을 신중하게 방호함 388
(2) 열심히 선행을 닦음 400
3) 힘을 다해 번뇌를 끊음 418
(1) 번뇌의 허물과 환란을 생각함 420
(2) 번뇌를 참지 못함 438
(3) 분발하여 번뇌를 멸함 458
(4) 미혹이 제거되면 다시 돌이키지 못함 463
3. 결론 477

제5품 바른앎(正知)을 지키다 481
1. 마음을 지켜 보호하는 요의 484
1) 마음을 엄호하면 능히 일체를 보호함 484
(1) 마음을 수호해야 함을 모두 설함 484
(2) 마음을 방종한 환란 485
(3) 마음을 수호한 공덕 487
2) 마음을 수호함이 일체를 수호함이 되는 도리 490
(1) 환란이 마음에 의함 490
(2) 6바라밀을 실천함이 마음에 의함 499
①보시를 마음에 의지하다 499
②계를 청정하게 하는 것을 마음에 의지하다 502
③편안하게 참는 것을 마음에 의지하다 504
④정진하는 것을 마음에 의지하다 510
⑤고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마음에 의지하다 514
⑥반야를 마음에 의지하다 517
3) 마땅히 마음을 수호함을 부지런히 함 520
(1) 간략히 설함 520
(2) 널리 설함 524
2. 마음을 수호하는 방편(바른 앎, 바른 마음집중) 535
1) 간략히 설함 535
2) 널리 설함 539
(1) 바른 앎이 없는 환란 539
(2) 바른 앎을 수호하는 방편(바른 마음집중을 수호함) 548
3. 바른 앎, 바른 마음집중으로 마음을 수호함 562
1) 율의계律儀戒를 배움 562
(1) 몸 마음 뜻을 청정하게 함 562
(2) 수호하여 물러나지 않게 함 588
2) 섭선법계攝善法戒를 배움 625
(1) 계를 배우지 않는 원인을 끊음 625
(2) 마땅히 좋은 방편으로 선을 닦음 651
Author
샨티데바,진메이펑춰 린포체,수다지 켄포,지엄
더할 나위 없는 무량한 지혜를 갖춘 승자이신 부처님의 아들. 속명은 산티바르마(Santi-varma)이며, 8세기 경 인도 날란다 승원에서 나가르주나의 대승불교 가운데 중관학을 선양한 학자이며 승려이다. 남인도 사우라아슈트라 국의 왕자로 왕위에 오르기 하루 전 꿈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출가수행의 길을 걸었다. 문수보살로부터 목검을 하나 받고 여덟 가지 완전한 깨달음을 얻었다. 대중 앞에서 스스로 체득한 지혜의 경지에서 흘러나오는 『입보리행론』을 송독한 후 인도 전역을 돌며 불법을 설파하고 중생을 제도하였으며, 『대승집보살학론』, 『제경집요』 등 다수의 논전을 지었다.
더할 나위 없는 무량한 지혜를 갖춘 승자이신 부처님의 아들. 속명은 산티바르마(Santi-varma)이며, 8세기 경 인도 날란다 승원에서 나가르주나의 대승불교 가운데 중관학을 선양한 학자이며 승려이다. 남인도 사우라아슈트라 국의 왕자로 왕위에 오르기 하루 전 꿈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출가수행의 길을 걸었다. 문수보살로부터 목검을 하나 받고 여덟 가지 완전한 깨달음을 얻었다. 대중 앞에서 스스로 체득한 지혜의 경지에서 흘러나오는 『입보리행론』을 송독한 후 인도 전역을 돌며 불법을 설파하고 중생을 제도하였으며, 『대승집보살학론』, 『제경집요』 등 다수의 논전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