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학」21호(1988)부터 40호(2004)까지 실린 논문들과 「한국민속학보」3호(1994)부터 11호(2000, 폐간)까지 발표된 논문들 중 편집 위원회가 주제별로 구분하여 엮어 총 9권으로 기획한 『한국민속학학술총서』 중 5권으로 삼산신앙의 성립과 전개, 전북지역 마을굿의 구조와 의미, 강원도 팔봉산 당산제고 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수록하고 있다.
Contents
『한국민속학 학술총서』발간에 붙여
동제 전승주체의 변화 / 강정원
1. 서론 - 문제제기 및 조사지의 일반적 배경
2. 민속학과 동제 - 기존 연구의 검토
3. 동제의 전승과 변화
4. 동제 전승주체의 변화
5. 결론
업신(神)의 성격과 다른 가택신(家宅神)과의 친연성(親緣性) / 김명자
1. 서론
2. 업신의 대상과 성격
3. 업신과 다른 가택신과의 친연성
4. 업신의 존재의의(存在意義)
5. 결론
삼산신앙(三山信仰)의 성립과 전개 - 여타 종교·사상과의 습합(習合 )을 중심으로 - / 김문태
1. 서론
2. 삼산신앙의 실체와 의미
3. 삼산신앙과 팔관회
4. 삼산신앙과 도교
5. 삼산신앙의 일본 이식
6. 결론
신라금관을 통해 본 신조사상과 신수사상 - 재론(再論) / 김병모
1. 연구사
2. 관(冠)과 모(帽) - 남자의 모 여자의 <굴레>
3. 금관이 발견된 유적과 주인공의 성별
4. 신라 금관의 주인공들은 모두 남자였을까? 그들은 모두 왕이었을까?
5. 금관 주인공의 생존연대
6. 신라금관에 보이는 장식의 의미
7. 자연수지형(自然樹枝形)과 직각수지형(直角樹枝形) 장식의 구분
8. 나무디자인의 해석
9. 곡옥의 유무는 무엇을 암시하는가
10. 개별 금관의 주인공
11. 결론
한국 가톨릭에 수용된 민간신앙적 요소 / 김영수
1. 서론
2. 한국 가톨릭에 수용된 민간신앙적 요소
3. 한국 가톨릭에 내재된 민간신앙적 요소의 의미
4. 결론
전북지역 마을굿의 구조와 의미 / 김월덕
1. 서론
2. 전북지역 마을굿의 구조
3. 전북지역 마을굿의 의미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