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신앙 1

$33.35
SKU
978895638588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8/06/30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56385884
Categories 인문 > 종교학/신화학
Description
「한국민속학」21호(1988)부터 40호(2004)까지 실린 논문들과 「한국민속학보」3호(1994)부터 11호(2000, 폐간)까지 발표된 논문들 중 편집 위원회가 주제별로 구분하여 엮어 총 9권으로 기획한 『한국민속학학술총서』 중 5권으로 삼산신앙의 성립과 전개, 전북지역 마을굿의 구조와 의미, 강원도 팔봉산 당산제고 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수록하고 있다.
Contents
『한국민속학 학술총서』발간에 붙여

동제 전승주체의 변화 / 강정원
1. 서론 - 문제제기 및 조사지의 일반적 배경
2. 민속학과 동제 - 기존 연구의 검토
3. 동제의 전승과 변화
4. 동제 전승주체의 변화
5. 결론

업신(神)의 성격과 다른 가택신(家宅神)과의 친연성(親緣性) / 김명자
1. 서론
2. 업신의 대상과 성격
3. 업신과 다른 가택신과의 친연성
4. 업신의 존재의의(存在意義)
5. 결론

삼산신앙(三山信仰)의 성립과 전개 - 여타 종교·사상과의 습합(習合 )을 중심으로 - / 김문태
1. 서론
2. 삼산신앙의 실체와 의미
3. 삼산신앙과 팔관회
4. 삼산신앙과 도교
5. 삼산신앙의 일본 이식
6. 결론

신라금관을 통해 본 신조사상과 신수사상 - 재론(再論) / 김병모
1. 연구사
2. 관(冠)과 모(帽) - 남자의 모 여자의 <굴레>
3. 금관이 발견된 유적과 주인공의 성별
4. 신라 금관의 주인공들은 모두 남자였을까? 그들은 모두 왕이었을까?
5. 금관 주인공의 생존연대
6. 신라금관에 보이는 장식의 의미
7. 자연수지형(自然樹枝形)과 직각수지형(直角樹枝形) 장식의 구분
8. 나무디자인의 해석
9. 곡옥의 유무는 무엇을 암시하는가
10. 개별 금관의 주인공
11. 결론

한국 가톨릭에 수용된 민간신앙적 요소 / 김영수
1. 서론
2. 한국 가톨릭에 수용된 민간신앙적 요소
3. 한국 가톨릭에 내재된 민간신앙적 요소의 의미
4. 결론

전북지역 마을굿의 구조와 의미 / 김월덕
1. 서론
2. 전북지역 마을굿의 구조
3. 전북지역 마을굿의 의미
4. 결론

강원도(江原道) 팔봉산(八峯山) 당산제고(堂山祭考) / 김의숙
1. 서론
2. 팔봉산 신앙(信仰)과 당산제(堂山祭)
3. 삼부인신의 정체(正體)
4. 결론

도불(道佛)의 점성사상(占星思想)과 점복신앙(占卜信仰) / 김일권
1. 서론
2. 도교의 성관(星官) 체계와 불교의 성만다라(星曼茶羅)
3. 도불의 북두칠성(北斗七星) 관념과 점성적 운용
4. 불교의 구요(九曜) 관념과 서역 천문사상과의 교섭
5. 맺음말 : 도불의 점성사상(占星思想)과 본명성(本命星) 관념

해안지방(海岸地方) 도깨비신앙(信仰)의 전승양상(傳承樣相)에 대한 고찰(考察) / 김종대
1. 서론
2. 도깨비 신앙의 전승양상
3. 도깨비신앙의 존재의미(存在意味)와 그 성격(性格)
4. 결론

동제당 철마 봉안 사례 연구 - 대장장이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 김태우
1. 서론
2. 철마 봉안 실태와 특징
3. 대장장이의 철마 봉안 배경
4. 철마 봉안 목적과 수용 과정
5. 결론

전남지방(全南地方)의 주당(周堂)맥이 고찰(考察) / 나경수
1. 서론
2. 자료의 실제(實際)
3. 자료의 검토(檢討)
4. 치료(治療)의 상징체계(象徵體系)
5. 문화사적(文化史的) 의의(意義)
6. 결론

안도(安島) 당제(堂祭)의 구조(構造)와 기능(機能) / 나경수
1. 서론
2. 마을의 유래와 현황
3. 당제의 구조
4. 당신(堂神)의 직능(職能)
5. 결론

곡령신앙론(穀靈信仰論) / 남근우
1. 농경세시와 곡령신앙
2. 곡령의 신체와 제장의 변천 문제
3. 가신제와 ‘씨’의 계승의례
4. 곡령의 재생공간과 여성원리

횡성군 지역의 복술 연구 / 박관수
1. 서론
2. 복술의 활동
3. 복술의 신관
4. 복술의 무속적 행위
5. 결론

서울 지역 한 집성촌 마을신앙의 성격과 전승 의미 - 강일동 산치성(山致誠)을 중심으로 - / 박선애
1. 서론
2. 산치성의 전승실태와 영험성
3. 산치성 제의의 혈연집단적 성격
4. 도시개발로 인한 산치성의 전승위기
5. 결론 : 산치성 전승의 현대적 의미

삼신 신앙에 나타난 생명 이해에 관한 연구 / 박일영
1. 서론 : 생명의 주관자인 삼신
2. 민간신앙에서 본 삼신과 생명
3. 샤머니즘에서 본 삼신과 생명
4. 결론 : 삼신 신앙과 생명의 원리

동제에 있어서 걸립의 문제 - 한국과 일본의 걸립패 활동방식을 중심으로 - / 박전열
1. 동제에 있어서의 걸립의 의미
2. 걸립패의 방문 범위와 방식
3. 걸립패의 방문범위 확대의 의미

서남해안 멍텅구리배[?船網漁船]의 어로신앙에 관하여 - 낙월도(落月島)의 사례를 중심으로 - / 박종오
1. 서론
2. 멍텅구리배 구조 및 어로관행
3. 낙월도의 어로신앙
4. 멍텅구리배의 세물 상차림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한국민속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