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실학 그 의미와 발전 1

$28.08
SKU
978894990901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2/11/28
Pages/Weight/Size 148*210*30mm
ISBN 9788949909011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Contents
간행사

동아시아 실학의 개념정립을 위하여|임형택
1. '동아시아 실학'이란 개념문제
2.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역사적 의미의 실학의 기원
3. 동아시아 실학의 범위, 그 중심과 외연
4. 맺음말

磻溪 柳馨遠의 變法論的 實學風|김태영
1. 머리말
2. 반계의 실리론
3. 반계에서 조선 실학의 탄생
4. 반계의 현실 개혁 구상
5. 반계 실학의 변법론
6. 반계 실학의 특성과 의미

시대는 동아시아의 '新實學'을 부르고 있다|葛-晋
1. 머리말
2. '신실학' 구축의 방법
3. '신실학' 구축을 위한 원칙

實心實學 개념의 역사적 사명|오가와 하루히사
1. 前言
2. 전근대(근대이전)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3. 實心實學의 實心은 왜 중요할까
4. 結語

실천 윤리학과 실학 : 도덕수양에 대한 다산의 접근|Don Baker

丁若鏞 四書詮釋의 체계와 그 의의|蔡振豊
1. 동아시아 朱熹四書學의 전개
2. 동아시아 朱熹四書學의 전환
3. 茶山 四書學의 발생 의의
4. 다산이 스스로 체계를 세운 四書學
5. 맺음말: 동아시아 四書學에서 茶山 四書學의 의의

實學에서의 漢詩, 漢詩에서의 實學 - 그 시각과 연구방법|진재교
1. 머리말
2. 한문학과 실학의 접속, 그 메신저 '현실'
3. 실학의 관점으로 본 한시
4. 한시의 관점으로 본 실학
5. 맺음말

제10회 東아시아 實學 국제학술회의 종합토론 녹취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경기문화재단실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