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가시 1
千家詩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12/1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9706405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천가시』 1권이다. 아동 학습서로서, 중국 문학의 최고점에 있는 당송시를 쉽게 익히고 외울 수 있도록 편집한 책이다. ≪삼자경≫, ≪백가성≫, ≪천자문≫과 함께 ‘삼백천천’이라 하여 중국 4대 몽학서로 자리잡고 있다. 이 책의 제목인 “천가시”는 “천 명의 작가들의 시”라는 뜻이지만 실제 지금 전하는 판본은 당, 송, 명대의 시 중에 청소년들이 쉽게 익힐 수 있는 것을 모으되 학습 단계에 맞도록, 난이도를 고려하여 외우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것들을 세 사람의 손을 거치면서 증편된 것이다.
Contents
○ 책머리에
○ 일러두기
○ 해제
Ⅰ. ≪천가시≫의 유래
1. 유극장劉克莊
2. 사방득謝枋得
3. 왕상王相
Ⅱ. ≪천가시≫의 판본
Ⅲ. ≪천가시≫의 내용
Ⅳ. ≪천가시≫의 영향
1. ≪천가시≫의 성행
2. ≪신동시神童詩≫
3. ≪속천가시續千家詩≫
4. ≪국조천가시國朝千家詩≫
5.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와의 관계
Ⅴ. ≪천가시≫의 오류
Ⅵ. 결언
094 천가시1/2
卷一 : 五絶(五言絶句)
001: '春眠' 봄 새벽잠(孟浩然)
002: '訪袁拾遺不遇' 원습유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함(孟浩然)
003: '道郭司倉' 곽사창을 보내며(王昌齡)
004: '洛陽道' 낙양의 거리(儲光羲)
005: '獨坐敬亭山' 경정산에 홀로 앉아(李白)
006: '登鵲樓' 관작루에 올라(王之渙)
007: '觀永樂公主入蕃' 영락공주가 변방으로 시집가는 것을 보고(孫)
008: '伊州歌' 이주의 노래(蓋嘉運)
009: '左掖梨花' 좌액의 배꽃(丘爲)
010: '思君恩' 임금의 은혜를 그리워하며(令狐楚)
011: '題袁氏別業' 원씨 별장에 들렀다가(賀知章)
012: '夜送趙縱' 밤에 조종을 보내며(楊炯)
013: '竹裏館' 죽리관(王維)
014: '送朱大入秦' 주대를 장안으로 보내며(孟浩然)
015: '長干行' 장간의 노래(崔顥)
016: '詠史' 역사를 노래함(高適)
017: '罷相作' 재상직에서 물러나며(李適之)
018: '逢俠者' 협객을 만나(錢起)
019: '江行望匡廬' 강을 따라 여행하며 광려산을 바라보다(錢起)
020: '答李瀚' 이한에게 보내는 답장(韋應物)
021: '秋風引' 가을 바람(劉禹錫)
022: '秋夜寄丘員外' 가을밤 구원외랑에게(韋應物)
023: '秋日' 가을에(耿)
024: '秋日湖上' 가을 호숫가에서(薛瑩)
025: '宮中題' 궁중에서(文宗皇帝)
026: '尋隱者不遇' 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함(賈島)
027: '汾上驚秋' 분수 가에서 가을이 왔음을 보고 놀람(蘇)
028: '蜀道後期' 촉도에 늦게 도착함(張說)
029: '靜夜思' 고요한 밤 고향 생각(李白)
030: '秋浦歌' 추포의 노래(李白)
031: '贈喬侍郞' 교시랑에게(陳子昻)
032: '答茂陵太守' 무릉 태수에게 답함(王昌齡)
033: '行軍九日思長安故園' 중양절 행군 중 장안의 옛 별장을 그리워하며(岑參)
034: '怨' 첩여의 원망(皇甫)
035: '題竹林寺' 죽림사에서(朱放)
036: '三閭廟' 굴원의 사당(戴叔倫)
037: '易水送別' 역수의 송별(駱賓王)
038: '別盧秦卿' 노진경을 이별하며(司空曙)
039: '答人' 남에게 대답함(太上隱者)
卷二 : 五律(五言律詩)
040: '幸蜀回至劍門' 촉으로 행차하였다가 돌아오는 길에 검문에 이르러(玄宗皇帝)
041: '和晉陵陸丞相早春遊望' 진릉 육승상의 ‘초봄 나들이’ 시에 화답함(杜審言)
042: '蓬萊三殿侍宴奉勅終南山' 봉래 세 궁궐에서 잔치를 모시면서 명을 받들어 종남산을 노래함(杜審言)
043: '春夜別友人' 봄밤에 친구를 이별하며(陳子昻)
044: '長公主東莊侍宴' 장녕공주의 동쪽 별장 잔치를 모시면서(李嶠)
045: '恩賜麗正殿書院賜宴應得林字' 여정서원을 지어 잔치를 열어주시면서 ‘林’자를 주어 시를 짓도록 함에 응함(張說)
046: '送友人' 친구를 보내며(李白)
047: '送友人別蜀' 친구를 촉으로 보내면서 이별함(李白)
048: '次北固山下' 북고산 아래에 머물며(王灣)
049: '蘇氏別業' 소씨 별장(祖詠)
050: '春宿左省' 봄에 문하성에 숙직을 하며(杜甫)
051: '題玄武禪師屋壁' 현무선사의 집 벽에 시를 지음(杜甫)
052: '終南山' 종남산(王維)
053: '寄左省杜拾遺' 문하성 두보에게 보냄(岑參)
054: '登總持閣' 총지각에 올라(岑參)
055: '登州城樓' 연주성의 누대에 올라(杜甫)
056: '杜少府之任蜀州' 두소부가 임지 촉주로 감에(王勃)
057: '送崔融' 최융을 보내면서(杜審言)
058: '扈從登封途中作' 등봉에 호종하면서 도중에 지음(宋之問)
059: '題義公禪房' 의공선방을 노래함(孟浩然)
060: '醉後贈張九旭' 취한 뒤 장욱에게(高適)
061: '玉臺觀' 옥대관(杜甫)
062: '觀李固言司馬題山水圖' 이고가 자신 아우 사마의 산수도를 보여주며 글을 청하기에(杜甫)
063: '旅夜書懷' 여행 중 밤에 책을 읽으며 느낀 바(杜甫)
064: '登岳陽樓' 악양루에 올라(杜甫)
065: '江南旅情' 강남 여정(祖詠)
066: '宿龍興寺' 용흥사에 숙박하며(毋潛)
067: '破山寺後禪院' 파산사 뒤의 선원(常建)
068: '題松汀驛' 송정역을 노래함(張祜)
069: '聖果寺' 성과사(釋 處)
070: '野望' 들을 바라보며(王績)
071: '送別崔著作東征' 최저작랑의 동정을 송별하며(陳子昻)
072: '妓納晩際遇雨'(一) 기녀를 데리고 더위를 피하러 갔다가 저녁 무렵 비를 만남(杜甫)
073: '妓納晩際遇雨'(二) 기녀를 데리고 더위를 피하러 갔다가 저녁 무렵 비를 만남(杜甫)
074: '宿雲門寺閣' 운문사 절간에 자면서(孫)
075: '秋登宣城謝眺北樓' 가을에 선성의 사조 북루에 올라(李白)
076: '臨洞庭' 동정호에서(孟浩然)
077: '過香積寺' 향적사를 찾아 나서서(王維)
078: '送鄭侍御謫中' 정시어가 민중으로 귀양감을 보내면서(高適)
079: '秦州雜詩' 진주 잡시(杜甫)
080: '禹廟' 우임금의 사당(杜甫)
081: '望秦川' 진천을 바라보며(李)
082: '同王徵君洞庭有感' 왕징군과 함께 한 동정호에서의 감회(張謂)
083: '渡楊子江' 양자강을 건너며(丁仙芝)
084: '幽州夜歌' 유주의 밤 노래(張說)
卷三 : 七絶(七言絶句)
085: '春日偶成' 봄에 우연히 지음(程顥)
086: '春日' 봄날(朱熹)
087: '春宵' 봄밤(蘇軾)
088: '城東早春' 성 동쪽의 이른 봄(楊巨源)
089: '春夜' 봄밤(王安石)
090: '初春小雨' 이른 봄 가랑비(韓愈)
091: '元日' 정월 원단(王安石)
092: '上元侍宴' 정월 대보름 잔치를 모시면(蘇軾)
093: '立春偶成' 입춘 날에 우연히 지음(張)
094: '打毬圖' 공치는 놀이의 그림(晁說之)
095: '宮詞'(一) 궁사(王建)
096: '宮詞'(二) 궁사(林洪)
097: '華淸宮' 화청궁을 노래함(杜常)
098: '淸平調詞' 청평조사(李白)
099: '題邸間壁' 객사의 벽에 쓴 시(鄭會)
100: '絶句' 절구(杜甫)
101: '海棠' 해당(蘇軾)
102: '淸明' 청명(杜牧)
103: '淸明' 청명(王禹)
104: '社日' 사일(張演)
105: '寒食' 한식(韓)
106: '江南春' 강남의 봄(杜牧)
107: '上高侍郞' 고시랑에게 올림(高蟾)
108: '絶句' 절구(僧 志南)
109: '遊小園不値' 작은 정원에 놀러 갔다가 사람을 만나지 못함(葉紹翁)
110: '客中行' 나그네 되어(李白)
111: '題屛' 병풍에 시를 써넣음(劉季孫)
112: '漫興' 만흥(杜甫)
113: '慶全庵桃花' 경전암의 복사꽃(謝枋得)
114: '玄都觀桃花' 현도관의 복사꽃(劉禹錫)
115: '再遊玄都觀' 다시 현도관을 찾았더니(劉禹錫)
116: '州西澗' 저주 서쪽의 석간수(韋應物)
117: '花影' 꽃 그림자(蘇軾)
118: '北山' 북산(王安石)
119: '湖上' 호숫가에서(徐元杰)
120: '漫興' 만흥(杜甫)
121: '春晴' 맑은 봄 날씨(王駕)
122: '春暮' 봄 저녁에(曹)
123: '落花' 낙화(朱淑貞)
095 천가시2/2
卷三 : 七絶(七言絶句)-이어서
124: '春暮遊小園' 봄 저녁 작은 정원에서 놀며(王淇)
125: '鶯梭' 꾀꼬리 북(劉克莊)
126: '暮春卽事' 늦봄에(葉采)
127: '登山' 등산(李涉)
128: '蠶婦吟' 누에치는 부인의 노래(謝枋得)
129: '晩春' 늦은 봄(韓愈)
130: '傷春' 봄의 애처로움(楊萬里)
131: '送春' 봄을 보내며(王令)
132: '三月晦日送春' 삼월 그믐날 봄을 보내며(賈島)
133: '客中初夏' 나그네 길의 초여름(司馬光)
134: '有約' 약속이 있었네(趙師秀)
135: '初夏睡起' 초여름 낮잠에서 깨어나(楊萬里)
136: '三衢道中' 삼구를 지나는 길에(曾幾)
137: '卽景' 눈앞에 펼쳐진 경물(朱淑貞)
138: '夏日' 여름날(戴復古)
139: '晩樓閒坐' 늦게 누대에 올라 한가히 앉아(黃庭堅)
140: '山居夏日' 산중의 여름 생활(高騈)
141: '田家' 농가(范成大)
142: '村莊卽事' 농촌 생활(翁卷)
143: '題榴花' 석류꽃을 노래함(韓愈)
144: '村晩' 농촌 저녁(雷震)
145: '茅' 초가집 처마(王安石)
146: '烏衣巷' 오의향(劉禹錫)
147: '送使安西' 안서로 사신가는 친구를 보내며(王維)
148: '題北碑' 북사의 비석을 노래함(李白)
149: '題淮南寺' 회남사를 읊음(程顥)
150: '秋月' 가을달(程顥)
151: '七夕' 칠석(楊朴)
152: '立秋' 입추(劉翰)
153: '七夕' 칠석(杜牧)
154: '中秋' 중추(蘇軾)
155: '江樓有感' 강가 누대에 올라(趙)
156: '西湖' 서호(林升)
157: '西湖' 서호(楊萬里)
158: '湖上初雨' 호수에서 비를 만남(蘇軾)
159 '入直' 숙직에 들며(周必大)
160: '水亭' 물가의 정자(蔡確)
161: '禁鎖' 궁궐 자물쇠(洪咨)
162: '竹樓' 대나무 누각(李嘉祐)
163: '直中書省' 중서성에 숙직하며(白居易)
164: '觀書有感' 책을 보며 느낀바 있어(朱熹)
165: '泛舟' 배를 띄움(朱熹)
166: '冷泉亭' 냉천정(林)
167: '冬景' 겨울 풍경(蘇軾)
168: '楓橋夜泊' 풍교에 배를 대고 밤을 보내며(張繼)
169: '寒夜' 찬 밤(杜)
170: '霜月' 가을 달(李商隱)
171: '梅' 매화(王淇)
172: '早春' 이른 봄(白玉蟾)
173: '雪梅'(其一) 눈 속의 매화(1)(盧梅坡)
174: '雪梅'(其二) 눈 속의 매화(2)(盧梅坡)
175: '答鍾弱翁' 종약옹에게 답함(牧童)
176: '秦淮夜泊' 밤중에 진회에 배를 대고(杜牧)
177: '歸雁' 돌아가는 기러기(錢起)
178: '題壁' 벽에 쓴 시(無名氏)
卷四 : 七律(七言律詩)
179: '早朝大明宮' 대명궁의 이른 아침 조회(賈至)
180: '和賈舍人早朝' 가사인의 조조시에 화답함(杜甫)
181: '和賈舍人早朝' 가사인의 조조시에 화답함(王維)
182: '和賈舍人早朝' 가사인의 조조시에 화답함(岑參)
183: '上元應制' 정월 대보름 임금의 명에 응해 글을 지음(蔡襄)
184: '上元應制' 정월 대보름 임금의 명에 응해 글을 지음(王珪)
185: '侍宴' 잔치를 모시면서(沈佺期)
186: '答丁元珍' 정원진에게 답함(歐陽修)
187: '揷花吟' 머리에 꽃을 꽂으며(邵雍)
188: '寓意' 뜻에 붙여(晏殊)
189: '寒食' 한식(趙鼎)
190: '淸明' 청명(黃庭堅)
191: '淸明' 청명(高)
192: '郊行卽事' 교외 나들이(程顥)
193: '韆' 그네(僧 惠洪)
194: '曲江對酒'(一) 곡강에서 술을 마주하며(1)(杜甫)
195: '曲江對酒'(二) 곡강에서 술을 마주하며(2)(杜甫)
196: '黃鶴樓' 황학루(崔顥)
197: '旅懷' 나그네 회포(崔塗)
198: '答李' 이담에게 답함(韋應物)
199: '淸江' 맑은 강(杜甫)
200: '夏日' 여름(張)
201: '輞川積雨' 망천의 오랜 비(王維)
202: '新竹' 새로 자란 대나무(黃庭堅)
203: '表兄話舊' 이종 사촌과 옛이야기 나누며(竇叔向)
204: '偶成' 우연히 지음(程顥)
205: '遊月殿' 달담 전각에 노닐며(程顥)
206: '秋興'(一) 가을 감흥(1)(杜甫)
207: '秋興'(二) 가을 감흥(2)(杜甫)
208: '秋興'(三) 가을 감흥(3)(杜甫)
209: '秋興'(四) 가을 감흥(4)(杜甫)
210: '月夜舟中' 달밤 배 안에서(戴復古)
211: '長安秋望' 장안의 가을(趙)
212: '新秋' 가을이 시작되어(杜甫)()
213: '中秋' 중추(李朴)
214: '九日藍田會飮' 중양절 남전에서 함께 술을 마시며(杜甫)
215: '秋思' 가을의 상념(陸游)
216: '與朱山人' 주산인에게(杜甫)
217: '聞笛' 젓대 소리 들으며(趙)
218: '冬景' 겨울 풍경(劉克莊)
219: '冬至' 동지(杜甫)
220: '梅花' 매화(林逋)
221: '自詠' 스스로 읊음(韓愈)
222: '干戈' 전쟁(王中)
223: '歸隱' 은거하리라(陳)
224: '時事行' 세태를 노래함(杜荀鶴)
225: '送天師' 장천사를 보내며(寧獻王)
226: '送毛伯溫' 모백온을 보내며(明 世宗)
○ 부록
≪운대천가시韻對千家詩≫ 원본影印
Author
사방득,유극장,집,왕상,임동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