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한의학에서 한약의 잠재적 독성에 대한 언급은 3세기의 신농본초경과 16세기의 본초강목에 있었다. 이후에는 한약의 안전성에 대한 한의학 분야의 내부적 노력과 고심이 부족한 면이 있었으며,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처방에 따른 한약의 안전성 문제 또한 부각되고 있다.
한의학에서의 질병 처방에는 인체를 바라보는 동양철학적 바탕이 기본이나, 한약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보다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의학과 독성학이라는 전혀 다른 학문의 기초를 가진 두 저자는 치열한 학문적 논쟁을 거치면서 한약독성학을 저술하였다. 독성 가능성에 대한 근원적인 요인을 드러내지 않으면 보다 안전한 한약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책은 한약의 독성에 대해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방법과 과학적인 모델을 제시하는 첫걸음이다.
Contents
책을 발간하면서
제1장 한약과 한약독성학의 개념
1. 한의학의 개념
2. 한약과 생약의 구분
3. 한약 및 생약으로 이용되는 재료
1) 식물성 한약
2) 동물성 한약
3) 광물성 한약
4. 한약의 미세동정과 거시적 동정
1) 미세동정의 요소
2) 한약재의 거시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3) 거시적 동정의 과학적 이해
5. 한약의 주요 성분과 식물성 천연화학물질
6. 한약독성학의 개념
1) 한약과 양약의 차이점
2) 한약독성학의 역사적 인식
3) 독성학과 한약독성학의 개념
7. 한약독성학의 접근방법과 범위
1) 한약의 독물동태학
2) 독성기전의 핵심원리인 생체전환(Biotransformation)과 생체활성화(Bioactivation)
3) 생체내 4대 거대분자와 독성물질 간의 상호작용
4) 주요 한약재의 약리와 독성
제2장 한약의 독물동태학
1. 독물동태학의 개념
2. 한약의 흡수와 특성
3. 한약의 생체전환 또는 대사 특성
1) 한약의 장내 생체전환과 유효성분의 생성
2) 한약의 P450대사와 영향
3) 한약의 소장 및 간에서 대사의 안정성
4) 한약대사의 개인차
4. 한약의 분포(Distribution)와 배출(Excretion)
제4장 독물독력학: 활성중간대사체에 의한 4대 거대분자의 손상
1. 활성중간대사체에 의한 DNA손상
1) DNA손상의 종류
2) DNA손상의 기전
3) 염기와 염색체수준의 돌연변이
4) 단일 및 복수작용기성 알킬화-유도물질
2. 활성중간대사체에 의한 단백질 및 지질 손상
1) 활성중간대사체에 의한 단백질 손상
2) 활성중간대사체에 의한 지질 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