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수사론 1

$34.02
SKU
978892681265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08/30
Pages/Weight/Size 176*248*30mm
ISBN 9788926812655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범죄수사에 관한 이해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정리한 책이다. 제1장은 수사의 이론, 제2장은 수사의 개시, 제3장은 수사 및 범죄피해, 제4장은 현장수사활동, 제5장은 조사 및 수사서류 작성요령, 제6장은 과학수사, 제7장은 수사행정으로 총 7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아울러 경찰공무원 채용시험에도 도움이 되도록 개정 및 제정된 법률을 반영하여 엮었다.
Contents
제1장 수사의 이론
제1절 수사의 기초이론
1. 수사의 개념
2. 수사의 의미
3. 수사의 성격
4. 수사의 목적
5. 수사의 성질
6. 수사의 기본이념
7. 수사의 대상
8. 수사의 조건
제2절 범죄수사의 원리
1. 범죄수사의 가능성
2. 범죄의 징표(徵表)
3. 수사선
4. 범죄수사의 추리
5. 범죄수사의 제 원칙
6. 사법경찰관의 마음가짐
제3절 수사기관
1. 한국의 수사기관
2. 외국의 수사기관
3. 경찰의 수사권 독립
4. 경찰의 수사조직

제2장 수사의 개시
제1절 수사의 단계
1. 수사의 전개과정
2. 수사종결처분1
제2절 수사첩보
1. 수사첩보
2. 범죄첩보
제3절 수사자료
1. 수사자료
2. 수사수단
제4절 수사의 단서
1. 수사의 단서
2. 수사단서의 종류

제3장 수사 및 범죄피해
제1절 수사본부 운용
1. 수사본부 운용의 목적
2. 수사본부 설치 대상 중요사건
3. 수사본부의 설치
4. 수사본부의 설치장소
5. 수사본부의 구성
6. 수사본부요원의 파견요청
7. 비치서류
8. 수사본부의 해산
9. 계속수사
제2절 수사의 지휘
1. 의의
2. 수사지휘의 내용
제3절 수사와 언론관계
1. 대언론 관계의 일반원칙
2. 언론사 취재요청에 대한 협조방법
3. 언론과의 인터뷰 방법
4. 보도자료 작성 제공 요령
5. 문제성 보도에 대한 법적 대응
제4절 수사와 인권
1. 불심검문 시의 인권보장 조치
2. 국가인권위원회법의 시행 관련 조치
3. 경찰장구 등의 사용
4. 철야신문과 인권보호
제5절 범죄피해자의 보호
1. 범죄피해
2. 범죄피해자를 위한 각종 제도

제4장 현장수사활동
제1절 초동수사
1. 초동수사의 의의
2. 초동수사의 목적
3. 초동수사의 진행
제2절 긴급배치
1. 긴급배치의 개념
2. 긴급배치의 실시
3. 긴급배치의 종별 및 사건범위
4. 긴급배치의 발령권자
5. 긴급배치의 생략 및 해제사유
6. 보고 및 조정
7. 교양훈련 실시
제3절 변사사건 처리요령
1. 변사체의 의의
2. 변사사건 처리의 목적 및 처리방침
3. 변사체의 발견 및 보고사항
4. 검시의 대행
5. 검시 시의 조사사항
6. 검시에 연속된 수사
7. 사체의 인도
8.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통보
9. 사법검시(檢視)와 행정검시(檢視)
10. 변사자의 수배요령
제4절 현장관찰
1. 현장관찰의 의의
2. 현장관찰의 목적
3. 현장관찰의 요령
제5절 기초수사
1. 기초수사의 개념
2. 기초수사의 유용성
3. 기초수사의 내용
제6절 탐문수사
1. 탐문수사의 개념
2. 탐문수사 시 사전준비
3. 탐문의 방법
4. 면접의 요령
5. 질문방법
6. 탐문상의 주의
7. 탐문의 종결
8. 탐문 후의 조치
제7절 감별수사
1. 감별수사의 개념
2. 감별수사의 원리
3. 감별수사의 가치
4. 감 수사 시 유의사항
5. 감별수사 방법
제8절 유류품 수사
1. 유류품 수사의 개념
2. 유류품 수사의 종류
3. 유류품의 가치(효용성)
4. 유류품 수사의 방법
5. 유류품 수사의 착안점
6. 유류품 수사의 실행
7. 유류품의 수사상 유의사항
제9절 장물수사
1. 장물수사의 개념
2. 평소의 준비
3. 장물수사의 방법
4. 장물수사의 종류
5. 장물발견 후의 수사
제10절 알리바이(Alibi) 수사
1. 알리바이의 개념
2. 알리바이 수사의 중요성
3. 알리바이의 종류
4. 알리바이 수사의 문제점
5. 알리바이 수사의 방법
제11절 수법수사
1. 수법수사의 개념
2. 범죄수법의 의의
3. 범죄수법의 특성
4. 범죄수법 파악을 위한 현장관찰의 착안점
5. 범죄수법자료
6. 수법조회
제12절 공조수사
1. 공조수사의 개념
2. 공조수사의 종류
3. 공조수사의 수단과 효과 및 성질
제13절 수배 및 조회제도
1. 수배제도
2. 수배의 종류
3. 조회제도
제14절 미행ㆍ잠복감시
1. 미행ㆍ잠복감시의 개념
2. 미행과 잠복의 이동(異同)
3. 중요성
4. 미행ㆍ잠복감시의 준비
5. 미행ㆍ잠복감시의 종류
제15절 체포
1. 체포의 요령
2. 체포 시의 유의사항
3. 연행요령

제5장 조사 및 수사서류 작성요령
제1절 조사요령
1. 조사의 의의
2. 조사의 목적
3. 조사의 요령
4. 피의자 조사 시의 유의사항
5. 피의자의 조사요령
제2절 수사서류 작성요령
1. 수사서류의 의의
2. 수사서류의 성격
3. 수사서류의 작성근거
4. 수사서류의 종류
5. 수사서류의 작성
6. 수사서류 작성방법
7. 수사서류 작성상의 원칙
8. 송치서류 작성방법
9. 수사자료표의 작성
10. 수사서류 및 장부의 보존기간

제6장 과학수사
제1절 과학수사의 의의
1. 의의
2. 과학수사의 중요성
3. 국내 과학수사조직
제2절 범죄감식
1. 의의
2. 범죄감식의 중요성
3. 범죄감식의 분류
제3절 현장감식ㆍ사진촬영
1. 현장감식
2. 사진촬영
제4절 법의학
1. 사망
2. 사체현상
3. 손상
4. 질식사
5. 화상사
제5절 지문감식
1. 지문의 의의
2. 지문의 2대 특징
3. 지문의 효용
4. 지문의 연혁
5. 지문분류 방식
6. 지문분류 방법
7. 지문의 종류
8. 현장지문의 발견방법과 증명력의 보존
9. 지문의 채취방법
10. 지문의 채취요령
11. 지문채취용 시약
제6절 족흔적 감식
1. 족흔적의 의의
2. 족흔적의 종류
3. 족흔적의 이용
4. 족흔적의 검색 및 보존방법
5. 족흔적의 채취방법
제7절 법의 혈청학(Forensic Serology)
1. 의의
2. 대상이 되는 증거물
제8절 DNA분석 분야
1. 유전자
2. 유전자지문(DNA Fingerprint)
3. 유전자지문 감식
4. 유전자지문 감식이 가능한 시료 및 양
5. DNA분석을 위한 증거물 채취요령
6. 유전자정보은행
제9절 거짓말탐지기(Polygraph)
1. 의의
2. 피검사의 대상
3. 거짓말탐지기의 종류 및 구조
4. 거짓말탐지기 검사결과의 증거능력
5. 거짓말탐지기 검사의 효용
6. 거짓말탐지기 수사 시의 유의사항
7. 거짓말탐지기 검사절차
제10절 문서감정
1. 문서감정
2. 필적감정
3. 인영감정
제11절 성문감정
1. 성문감정의 개념
2. 성문감정의 대상
3. 용의자의 음성녹음 시 주의사항
4. 감정의뢰 시 주의사항
제12절 법최면수사
1. 최면수사의 의의
2. 최면수사의 대상
3. 최면수사의 효과
4. 최면수사의 증거능력
5. 최면수사의 주의사항
제13절 기타 감정법
1. 슈퍼임포즈법(Superimposition method)
2. 토양검사법
3. 고무감식법
4. 중성자 방사화분석법
5. 특수적외선 사진촬영장비
6. 유류감정법
7. 수사식물학
8. 법곤충학

제7장 수사행정
제1절 유치장 보호근무
1. 유치의 개념
2. 근거법규
3. 유치장 간수근무의 중요성
4. 유치장 관리책임
5. 유치인보호관의 근무자세
6. 피의자 수용절차
7. 유치인보호근무의 요령
8. 유치장 비치서류
9. 유치인 사고방지대책
10. 사고발생에 대한 조치
11. 유치인의 급양위생
12. 접견 또는 물품접수
13. 유치인의 석방
14. 유치인 인권침해 진정권의 보장
제2절 호송
1. 호송의 의의
2. 호송의 중요성
3. 호송의 종류
4. 호송관리 책임
5. 호송관
6. 호송 출발 전의 조치
7. 호송 중 유의사항
8. 호송비용의 처리
9. 사고발생 시의 조치요령
10. 호송 후의 조치
제3절 우범자 첩보 수집
1. 우범자의 정의
2. 우범자의 구분
3. 우범자의 편입
4. 심사위원회
5. 첩보 수집
6. 소재불명자의 처리
7. 우범자 전산 입력 및 전출
8. 우범자 전산입력카드의 폐기
9. 지도감독
제4절 범죄통계
1. 의의
2. 범죄통계원표의 종류
3. 전산입력보고 및 분석활용
4. 범죄통계원표 작성
5. 보존 연한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황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