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헌법재판소 및 대법원 등에서 다양한 판례가 축적되고 있다. 군인사법 분야에 있어서도 국민의 권리의식의 강화로 인해 다양하게 소송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판례가 집적되고 있다. 이러한 판례의 형성은 인사 실무뿐만 아니라 군인사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책은 군인사법에 대한 기본적인 해설서라기보다는 군인사법상 주요 쟁점에 대한 연구논문과 중요 판례에 대한 평석 등을 한데 모은 전문적인 연구서이다. 군인사법을 연구하거나 군인사법 실무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추천할 만한 서적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편 총칙
1. 무관후보생의 법적 지위에 대한 고찰
제2편 복무
2. 사관학교 퇴교 후 임용된 하사의 법적 지위
3. 의무장교(醫務將校)의 의무복무기간
(서울고등법원 2003. 11. 14. 선고 2003누3460 판결)
제5편 전역
8. 현역복무부적합조사위원회의 법적 성격(대법원 2008. 6. 26. 선고 2008두5186 판결)
9. 현역복무부적합전역 사유 해당 여부(대법원 2004. 2. 13. 선고 2003두6696 판결)
10. 현역복무부적합전역제도의 개선방안
제6편 권리와 의무
11. 군인의 신분보장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2. 지휘관의 정신병력이 있는 병사에 대한 관리 책임-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13. 군인사법상의 기소휴직제
14. 기소휴직자가 공소 기각된 경우 봉급 차액 지급 여부(대법원 2004. 8. 20. 선고 2004다22377 판결)
15. 군인사법상의 육아ㆍ임신ㆍ출산휴직제
제7편 보수
16. 자살한 군인의 국가유공자(순직군경) 해당 여부(대법원 2004. 3. 12. 선고 2003두2205 판결)
17. 영내 자살사고에 대한 보상 및 배상-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18. 영내 자살사고 예방 및 사후 대책-법적 배상 및 보상을 중심으로
19. 군인연금법 위헌 판결의 소급효(대법원 2009 6. 11. 선고 2008두21577 판결)
20. 반국가 행위자에 대한 급여제한
21. 명예전역수당 환수처분의 법적 근거(서울고등법원 2009. 2. 12. 선고 2008누26543 판결)
22. 명예전역수당지급제도의 개선방안
23. 명예전역수당의 결정권자(서울고등법원 2004. 10. 28. 선고 2003누20366 판결)
24. 국립묘지 안장대상자에 대한 법적 검토
제8편 징계
25. 군인 징계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제9편 보칙
26. 군인사법상 약식명령이 확정된 자에 대한 법적 지위
27. 선고유예의 유죄판결을 받은 자에 대한 인사처리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