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빅히스토리 1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12.96
SKU
9791195100804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10/10
Pages/Weight/Size 188*254*20mm
ISBN 9791195100804
Description
어마어마하게 넓은 우주는 언제 어떻게 시작되고 진화했을까?



빅뱅 우주론을 기반으로 우주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과학적 원리에 따라 폭발과 급팽창이 이뤄졌는지 또 우주를 이루는 물질과 우주의 거대 구조는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하고 있다. 137억 년이라는 장구한 시간과 무한에 가까운 우주 공간 속에서 우리는 어디쯤 위치하고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일까? 우주적 관점에서 보면 우리는 단지 작고 창백한 ‘푸른점’ 안에서 살아가는 미약한 존재일 뿐이라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된다.



이런 자각은 끝없이 펼쳐진 우주와 그 우주의 극미한 구성원에 지나지 않는 우리 자신의 존재에 대해 깊은 성찰을 일으킨다.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철학적 사유에 이르게 하는 것은 빅히스토리의 관점이 지향하는 지적 흐름의 한 갈래이다. 별도의 박스로 처리한 [ZOOM IN]코너에서는 본문에서 다 풀어 놓지 못한 배경지식과 추가정보를 담아, 도플러 효과·솔베이학회·구상성단 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지식을 폭넓게 다뤘다.



또한 단편 지식이나 어려운 학술 용어는 사이드 팁을 따로 두어 독자의 궁금증과 호기심을 풀어준다. 아울러 본문의 직관적 이해를 돕는 일러스트와 인포그라피를 풍부하게 실었고, 생생한 사진자료를 통해 우리와 가장 가까운 안드로메다은하뿐만 아니라 나선은하·처녀자리은하단·오리온성운· 초신성 등 경이로운 우주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주와 세상의 모든 것이 시작된 ‘우주의 탄생’에 대한 지적인 탐험을 도와 우리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고 세상을 바라보는 거시적 안목을 키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



Contents
서문
추천사
타임라인

1 밤하늘은 왜 어두울까?

올베르스가 품은 의문
세상을 바꾼 그림 한 장
저 별은 얼마나 멀리 떨어진 것일까?
거대한 논쟁에 마침표를 찍은 허블

2 우주는 정말 불변하는 것일까?
한 줄기 빛으로부터!
슬라이퍼의 놀라운 관측
허블의 법칙, 더 빨리 멀어지는 은하들
아인슈타인의 딜레마
프리드만의 세 가지 우주 모형

3 팽창우주의 발견
아인슈타인의 고백
풍선처럼 늘어나고 있는 우주
우주에 중심은 없다
팽창우주, 올베르스의 역설을 해결하다

4 우주의 시작을 찾아서
지구가 우주보다 늙었다고?
우주의 나이를 바꾼 허블상수 전쟁
“나는 우주의 나이를 정말 모른다”
마침낸 찾아낸 우주의 나이
우주는 얼마나 큰 것일까?

5 빅뱅! 우주 대폭발의 순간
우주가 아주 작아지면
태초의 3분과 그 이후
투명해진 우주
이상한 잡음인가, 태초의 빛인가
별과 은하의 씨앗

6 우주의 운명
우주는 편평한가
우주는 점점 빠른 속도로 늘어난다
WMAP이 알아낸 우주의 현재 모습
팽창우주의 비밀을 풀어준 암흑 에너지
우주의 기원,
빅뱅이 있기 전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빅히스토리, 그 원대한 시작

빅히스토리의 관점으로 본 ‘우주의 탄생’
더 읽어보기
찾아보기
칼 세이건을 사랑하는 천문학자. 과학 저술가이자 커뮤니케이터로서 우주 과학 지식에 목마른 사람들과 성심껏 소통해 왔다. 외계 생명체를 찾는 과학 프로젝트, 세티의 한국 책임자(SETI KOREA 대표)와 메티 인터내셔널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전파 망원경으로 은하를 연구하는 중심지,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나선 은하의 물리적 특성과 암흑 물질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네덜란드 캅테인 연구소 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연세 대학교 천문대 책임연구원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이명현의 별 헤는 밤』『이명현의 과학책방』『시민의 교양과학』(공저) 『과학은 논쟁이다』(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침묵하는 우주』(공역) 등이 있다.

어릴 적 별을 보며 자랐던 삼청동 옛집에 과학책방 갈다를 열었다. 이곳에서 ‘시민의 과학화’를 꾀하는 다양한 문화 행사를 꾸리며 사람들을 만나고, 이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