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학회 산하 문화연구회는 우리 사회의 미디어 문화와 관련된 현안을 주목하고 함께 논의하는 장을 마련해왔다. 다수 문화연구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이루어진 이번 책 작업은 ‘TV 이후의 텔레비전’이라는 책의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대중문화 생산에 중심축을 이루었던 텔레비전이 최근 몇 년간 다양한 미디어의 등장 및 사회문화적 조건의 변화와 함께 어떠한 문화 정경을 만드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과거에는 TV 수상기가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는 유일한 플랫폼이고 지상파 방송이 텔레비전 콘텐츠의 생산과 유통에 주축을 이루었던 ‘TV의 시대’였다면, 지금은 채널의 복수화, 텔레비전의 디지털화, 텔레비전 시청 플랫폼의 다양화, 네트워크화 등 텔레비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른바 ‘포스트 TV 시대’가 도래했다. 총 15명의 문화연구자들이 이러한 ‘포스트 TV 시대’의 텔레비전 문화를 징후적으로 살필 수 있는 다양한 지점들을 짚어내고자 했으며, 두 차례에 걸친 라운드 테이블을 통해 서로의 시각과 연구 내용을 공유했다. 이 책은 이러한 협업의 결과물이다.
Contents
책을 내며
제1부 조망
제1장 | ‘포스트 텔레비전론’의 교차점 _전규찬
제2장 | 트랜스 미디어 환경과 ‘Me-TV’의 함의
제2부 재현·재연
제3장 | 라이프스타일과 라이프스타일 텔레비전 _이설희
제4장 | 영화보다 더 로맨틱한 열흘간의 사랑 여행 _김영찬
제5장 | 한국 리얼리티쇼의 집합주의와 정서적 평등주의 _김수정
제3부 차이
제6장 | TV가 제시하는 사랑할/받을 자격과 한국 사회 20대 청춘들이 이를 소비하는 방식 _홍지아
제7장 | 노년 드라마의 재매개와 재현 관습 _이경숙
8장 | 지역 텔레비전의 지역성과 신자유주의 _이오현·한선
제9장 | 스타 해외 봉사 프로그램과 가난에 관한 담론 _박지훈·류경화
제4부 역사·기억
제10장 | ‘팩션’과 ‘혼종성’의 시대, 텔레비전 사극의 변화하는 함의 돌아보기 _이기형·권숙영
제11장 | 텔레비전 토크와 탈북 여성들의 기억 만들기 _태지호·황인성
Author
전규찬,한국방송학회 문화연구회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방송영상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위스콘신대 저널리즘스쿨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강원대 신문 방송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한국언론정보학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살아남은 아이》(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디지털 디스커넥트》 등이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방송영상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위스콘신대 저널리즘스쿨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강원대 신문 방송학과에서 부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한국언론정보학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살아남은 아이》(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디지털 디스커넥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