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east)·서(west)·남(south)·북(north) 사방에서 벌어지는 새로운 세상일이 뉴스(NEWS)이다.”
20세기 이후 뉴스는 대량생산 과정을 통해 폭발적인 영향력을 확장해나간다. 1800년 조지 워싱턴의 사망 소식이 미 북부지역까지 전달되는 데 3주일이나 걸린 반면, 1963년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 소식은 사건 발생 30분 이내에 전 미국인의 70%가 알게 됐다. 이렇듯 신속성과 전파성이 현대 뉴스의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넘쳐나는 정보는 뉴스와 언론을 결코 현대인의 일상적 삶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도구로 삶의 깊은 곳에 들어앉게 했다.
본격적으로 도래한 디지털 시대는 뉴스에 대한 기존의 패러다임을 뛰어넘어, 모든 사람이 뉴스의 소비자인 동시에 생산자인 시대이다. 시도 때도 없이 일상을 파고드는, 이른바 ‘가짜뉴스’는 탄생 과정에서의 애교 또는 실수의 수준을 넘어 의도적 왜곡을 통해 혼란스런 정보를 제공하는 등, 사회 병리 현상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이 즈음에 ‘뉴스란 무엇인가’를 다시 인식하고, 뉴스를 만들어온 우리 언론과 언론인들의 발자취를 돌아봄으로써 현실을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한국 언론인들이 그동안 뉴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왔는지, 한국 언론만의 뉴스 가치가 미국으로 대표되는 서구 언론의 뉴스 가치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기존 연구 및 실제 사례들을 통해 통시적, 공시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 언론이 가지는 뉴스관 및 뉴스 사회학적 특성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더불어 한국 언론을 일구어 왔던 유명 언론인들이 써내려갔던 주옥같은 문장들을 한데 모아 감상하면서, 디지털 언론 시대의 글쓰기에 대한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
Contents
저자의 말
들어가며
1부 뉴스의 창(窓)으로 본 한국 언론
1장 뉴스란 무엇인가 10
뉴스는 ㅁㅁㅁ 다 12
왜 뉴스가 되나…뉴스 가치 18
규범적 뉴스 가치 21 | 실용적 뉴스 가치 24
뉴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뉴스의 사회학 30
조직론적 접근 32 | 문화적 배경 40 | 언론모델 44
한국에서의 뉴스 가치 연구 49
뉴스의 개념 49 | 실증 분석 53 | 문화 비교 59 | 기존 연구의 한계 62 2장 한국 언론인의 뉴스관 64
어떻게 볼 것인가 67
책 속에 담긴 생각 69
현대적 뉴스관의 태동 74
규범적 뉴스 가치에 대한 입장 81
진실성 81| 진실성을 확보하는 3가지 방법 92 | 정확성 110 | 균형감각 115 | 도구적 언론관 122
실용적 뉴스 가치에 대한 입장 136
사회적 중요 137 | 새로움 139 | 수용자 관련 140 | 흥미 145
뉴스 사회학적 쟁점에 대한 입장 161
편집권 161 | 사회적 책임 168
뉴스를 둘러싼 또 다른 쟁점들 173
뉴스 제작자: ‘기자론’에 대한 입장 173 | 뉴스 콘텐트: ‘문장론’에 대한 입장 176
한국 언론의 두 가지 전통 186 3장 한국의 뉴스, 미국의 뉴스 190
어떻게 비교할 것인가 192
뉴스 룸 들여다보기 197
뉴스 제작 현장의 선택 200
한·미 간 뉴스 가치의 8가지 차이 207
뉴스의 정의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 208 | 한국과 미국은 다르다…뉴스 가치의 충돌 212
한국 뉴스의 여섯 가지 문제점 231
이것이 문제다 231
서로 다른 생각들 243
무엇을 할 것인가…한국 저널리즘의 지평 확산을 위한 제언 247
2부 한국 언론을 빛낸 사람들
4장 한국 언론 명문 열전
뉴스의 온도 254
김동성 한국 최초의 현대적 현장 탐사 기사 257
조덕송 일세를 풍미한 ‘조대감’의 체험 기록 265
최병우 상징의 미학, 불후의 명 르포르타주 272
천관우 정론직필의 기개 넘친 꼿꼿한 문장 279
오소백 영원한 사회부장의 세상 이야기 287
최석채 반골 논객의 거침없는 권력 비판 사설 297
홍승면 말의 글로 쓴 ‘화이부동’의 명 칼럼 305
안병찬 “취재 현장에 산다”, 최후의 목격자 312
선우휘 휴머니즘 담긴 훈훈한 인생의 대화록 318
박권상 ‘자유언론’의 원칙주의 저널리스트 325
김중배 독재에 맞선 절필의 고독한 함성 332
유경환 서정적 묘사와 따뜻한 이야기의 시인 340
김성우 낭만적 칼럼니스트, 인생에의 깊은 관조 345
김영희 공부하는 대기자 60년의 현장기 354
장명수 상식의 언어로 써내려간 ‘장칼’의 전설 365
김훈 거리의 현장에서 부르는 펜의 노래 374
3부 디지털시대의 언론
5장 디지털 시대의 소통 384
인간, 그 미약한 존재의 한계 386
인간, 그 미약한 존재의 한계 2 390
도망가든지, 싸우든지 391 | 던바의 법칙 394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법 396
바야흐로 플랫폼 시대 400
디지털 디바이드 2.0 시대 403
빅데이터 시대 유감 406
슬로 라이프를 위하여 409 6장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412
인간, 그 미약한 존재의 한계를 넘어서 414
희미해지는 육필의 기억 415
아날로그 시대의 반격 418
가장 멍청한 세대 420
Mr. Robot, 아 유 레디? 423
로봇이 과연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 424 | 표현력과 수사학을 잃어가는 시대 426
디지털 글쓰기의 미래…지좋앞몰 428
6단어로 쓰는 소설 429 | 한 줄짜리 뉴스 429
뉴스의 미래…당신은 이글을 어디까지 읽을 수 있을까 432
뉴스를 모르면 불안한 사람들 432 | 얄팍한 지식만 판치는 디지털 세상 433 | 의미와 해석을 제공하는 뉴스를 찾아서 434
미주 436
별첨 뉴스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는 전·현직 국내 언론인의 주요 저술서 456
찾아보기 460
Author
홍병기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 중앙일보 입사 이후 사회부·산업부·경제부 기자와 경제부 차장 등을 거쳐, JTBC 정책기획실장, 보도국 취재담당 부국장과 중앙일보 선데이담당 기획에디터, 심의실장을 역임했다. 현재 선임기자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 중앙일보 입사 이후 사회부·산업부·경제부 기자와 경제부 차장 등을 거쳐, JTBC 정책기획실장, 보도국 취재담당 부국장과 중앙일보 선데이담당 기획에디터, 심의실장을 역임했다. 현재 선임기자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