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이후, K-민주주의와 문화정치

$18.36
SKU
978897696436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30 - Wed 06/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7 - Wed 05/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5/28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88976964366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촛불 이후’의 한국사회, K-민주주의의 실체를 성찰하다

얼마 전 우리말로 번역된 『어셈블리―새로운 민주주의 질서』의 저자 네그리와 하트는 2010년대에 들어 전 지구적으로 이어진 민주주의 투쟁의 중요한 고리로 촛불항쟁을 꼽고는 “한국의 사회투쟁들이 보인 끈기와 독창성에 오랫동안 감탄하며 바라봤다”면서 “이 투쟁들이 우리가 공유하는 미래를 위해 어떤 새로운 교훈을 가르쳐줄지 배우고자 한다”고 말했다. 실로 ‘촛불’은 오늘날 한국(‘K’) 민주주의의 요체가 담긴 대상이며 세계적인 주목 대상임은 분명하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주목받고 있는 ‘K방역’의 성공과 ‘촛불’에 공통된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것은―의료계를 위시한―몇몇 분야의 세계 최고의 실력과 공동체를 위한 헌신적 노력,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공공서비스 노동자들의 희생, IT 하이테크에 기반한 속도와 접속의 밀도, 자유주의적인 정부, 그리고 무엇보다도 시민들의 민주적 참여 등이다. 이 책은 바로 그 요소들과 맥락이 함께 구성하고 있는 한국 문화정치를 ‘K-민주주의’라 부르고, 그 속내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것을 국가, 근대성, 자유, 개인 같은 추상적인 큰 개념으로 프레이밍하기보다는 2016/17 촛불항쟁을 위시하여 지난 몇 년간의 시공간에 나타난 구체적인 양상을 통해 살펴보려 한다.
Contents
서문
1. ‘장수풍뎅이’들과 ‘K-민주주의’ ∥ 2. 역사와 문화, 그리고 맥락 8

1부 ‘촛불’의 문화와 대중정치

01. 누가 촛불을 들고 어떻게 싸웠나―2016/17 촛불항쟁의 문화정치와 비폭력·평화의 문제


1. 항쟁과 문화 ∥ 2. 2016/17 촛불집회의 다중적 주체와 문화적 표현 ∥ 3. ‘비폭력·평화’의 문제와 촛불의 주체성 ∥ 4. 촛불은 누구에 의해, 어디서 멈췄는가?

02. 촛불항쟁 이후의 대중민주주의와 포퓰리즘 문제

1. 두 봉기와 불안한 기대 ∥ 2. ‘민주 대 반민주’ 너머, 87년체제 청산의 과제 ∥ 3. 2000년대 이후 대중성의 구조변동과 포퓰리즘 ∥ 4. 대중정치의 정동과 지성 ∥ 5. 새로운 사회를 위한 새로운 지적 기획을

03. 촛불항쟁 이후 시민정치와 공론장의 변화―팬덤정치와 반지성주의

1. 촛불은 혁명인가 청원인가 ∥ 2. 팬덤정치의 재구성과 ‘문재인 지키기’의 심성 구조 ∥ 3. 촛불 이후의 공론장과 대중지성의 재구성 ∥ 4. 다시 ‘엘리트 대 대중’의 이분법을 넘어

04. 블랙리스트 사건의 문화사적 의미

1. 블랙리스트 사건의 총체성 ∥ 2. 블랙리스트 사건의 반민주주의 ∥ 3. 검열정치=저강도의 전쟁정치+신자유주의 공안통치 ∥ 4.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한 사회적 반응 ∥ 5. 블랙리스트 사태 극복의 노력과 그 문화사적 의미 ∥ 6. 더 풀어야 할 숙제

2부 역사전쟁과 문화정치

01. 3·1운동 100주년의 대중정치와 민족주의의 현재


1. 2000년대 이후 한국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 2. ‘관변’ 100주년 기념사업과 문화정치적 맥락 ∥ 3. 반일 보이콧 운동과 대중 민족주의의 흐름 ∥ 4. 민족주의에 대한 반작용과 원심력 ∥ 5. 민족주의를 넘어, 새로운 공동체를 꿈꾸며

02. ‘역사전쟁’과 역사영화 전쟁―근·현대사 역사영화의 재현 체계와 수용 양상

1. 영화를 통한 문화투쟁·이념전쟁 ∥ 2. ‘역사전쟁’과 역사-영화-전쟁 ∥ 3. 역사영화의 개념과 수용 체계 ∥ 4. 역사영화의 사회적 역능 ∥ 5. 근대사 역사영화의 재현 체계와 반일 민족주의 ∥ 6. 시대착오와 현대사 영화 ∥ 7. 역사영화와 역사적 상상력

03. 1980년대의 ‘역사기억’과 「응답하라 1988」

1. 「응팔」, 비판적 대중 서사인가 보수적 판타지인가 ∥ 2. 「응팔」의 ‘시간’과 역사화의 방법 ∥ 3. 보수적 유토피스틱스, 「응팔」은 86세대판 「국제시장」? ∥ 4. 기억의 현재성

3부 K-민주주의의 계급, 젠더, 세대

01. 강남역 살인사건부터 ‘메갈리아’ 논쟁까지―‘페미니즘 봉기’와 한국 남성성의 위기


1. 페미니즘 붐과 변화들 ∥ 2.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남성 담론 ∥ 3. 남성성의 자리들 ∥ 4. 남성성의 변화 가능성 ∥ 5. ‘함께 바꾸자’는 제안

02. ‘스카이캐슬’을 어떻게 부술까?―가족·계급과 교육개혁에 대한 일고

1. ‘엄친아’의 민낯? ∥ 2. 순수한(?) 자아=외모+가족 ∥ 3. 가족·계급, 그리고 학벌 ∥ 4. ‘학종 대 정시’의 매트릭스

03. 세대 담론, 그리고 영화 「1987」―586 vs 20대

1. ‘벌레 소년’의 문재인 탄핵송 ∥ 2. 2018년판 청년 세대론의 주체와 내용 ∥ 3. 영화 「1987」을 둘러싼 세대의 문화정치 ∥ 4. 586 헤게모니에 대한 반발

부록
연표: 촛불항쟁 전후(2015~2019) 한국사회와 문화정치 ∥ 참고문헌 ∥ 찾아보기
Author
천정환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부산 출생. 한국 현대 문화사와 문학사 연구자. 「‘문화론적 연구’의 현실 인식과 전망」(2007),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2013) 『근대의 책 읽기』(2003) 등을 발표하여 한국 현대문학사 연구의 폭을 넓히고, 『대중지성의 시대』(2008), 『조선의 사나이거든 풋뽈을 차라―스포츠민족주의와 식민지 근대』(2010), 『자살론―고통과 해석 사이에서』(2013),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123편 잡지 창간사로 읽는 한국 현대 문화사』(2014) 등을 썼다. 『혁명과 웃음―김승옥의 시사만화 <파고다영감>을 통해 본 4·19 혁명의 가을』(공저, 2005), 『1960년을 묻다―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공저, 2012) 등을 통해서도 역사적 문화연구, 또는 문화정치사 연구의 지평을 개척해왔다. [역사비평], [문화/과학] 편집위원. [경향신문], [한겨레] 등에 칼럼이나 기획 연재물을 실어왔고, 인문학협동조합, 민교협, 지식공유연대 등을 통해 학술 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부산 출생. 한국 현대 문화사와 문학사 연구자. 「‘문화론적 연구’의 현실 인식과 전망」(2007),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2013) 『근대의 책 읽기』(2003) 등을 발표하여 한국 현대문학사 연구의 폭을 넓히고, 『대중지성의 시대』(2008), 『조선의 사나이거든 풋뽈을 차라―스포츠민족주의와 식민지 근대』(2010), 『자살론―고통과 해석 사이에서』(2013),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123편 잡지 창간사로 읽는 한국 현대 문화사』(2014) 등을 썼다. 『혁명과 웃음―김승옥의 시사만화 <파고다영감>을 통해 본 4·19 혁명의 가을』(공저, 2005), 『1960년을 묻다―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공저, 2012) 등을 통해서도 역사적 문화연구, 또는 문화정치사 연구의 지평을 개척해왔다. [역사비평], [문화/과학] 편집위원. [경향신문], [한겨레] 등에 칼럼이나 기획 연재물을 실어왔고, 인문학협동조합, 민교협, 지식공유연대 등을 통해 학술 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